A Development of Enhanced Automatic Lineament Extraction Algorithm and its Application

자동 선구조 추출 알고리즘의 개발과 적용사례

  • Published : 2003.02.01

Abstract

The lineament extraction from satellite images is important in the geologic studies including groundwater and mineral exploration, groundwater survey, natural hazard analysis, and many others. The lineaments in remote sensing images are identified by the difference of pixel values or brightness. Since the visual interpretation is apt to be influenced by the knowledges and experiences, many of the automatic lineament detection algorithms are developed to ensure the objectives and efficient outputs. DSTA (dynamic segment tracing algorithm) is one of such algorithms, which can be applied to not only mountainous area but also alluvial area. However, when the alluvial area is wider than mountain region, somewhat severe noises are generated. To reduce such noises, AERA (alluvial effect reducing algorithm) is proposed and tested for the image which contains mountains, cultivated land and urban area. Upon the application of AERA, alluvial effects in lineament extraction from satellite image are substantially reduced.

위성영상에 나타나는 선구조는 화소의 명암차에 바탕을 두어 육안판독이나 자동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보통 육안판독은 다양한 보조자료와 연구자의 경험적 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더욱 객관적이고 신속한 자동선구조 추출 알고리즘들이 필요하다. 산악지형 외에도 충적층 요소까지 고려하여 개발된 DSTA(dynamic segment tracing algorithm) 알고리즘은 충적층 지역이 산악지형에 대해 비교적 넓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에 충적층 지역에서 노이즈가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인 AERA(alluvial effect reducing algorithm)를 개발하여 산악지형과 농경지와 도심지역이 넓게 분포되어 있는 지역에 이를 적용하였으며, 기존의 알고리즘만 이용하여 선구조를 추출한 결과와 비교하여 이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완, 1998, 자동화된 선구조 추출 알고리즘 개발과 이의 경북의성 지역에의 적용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이봉주, 최위찬, 강필종, 1997, 한반도 동남부 지역의 선구조선: 지질학회지, 33(1), p. 18-26
  3. 최동석, 2001, 개선된 선구조 추출 알고리즘을 적용한 광주지역 선구조추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홍창기, 2000, SAR 영상에서 지질학적 선구조의 방향편차에 대한 정량적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이병주, 김성찬, 김유봉, 조등룡, 최현일, 전희영, 김복철, 1997, 광주 지질도폭 설명서(1:250,000): 과학기술부, p. 9-12
  6. Ballard, D. and Brown, C., 1982, Computer Vision, Prentice-Hall Inc., New York
  7. Ford, J. P., 1980, Analysis of Seasat orbital radar imagery for geologic mapping in the appalachian valley and ridge province, Tenessee-Kentucky-Virginia, Radar Geology, JPL publication
  8. Koike, K., Nagano, S., and Ohmi, M., 1995, Lineament analysis of satellite images using a segment tracing algorithm (STA): Computers & Geoscience, 21(9), p. 1091-1104
  9. Qari, M. Y. H. T., 1991, Application of Landsat TM data to geological studies, Al-Khabt Area, Southern Arabian Shield: Photogrammetric Eneineering & Remote Sensing, 57(4), p. 421-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