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Communication Values on Perception of Mobile Phone A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edium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가치관과 대인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이동전화의 매체인식: 기성세대의 이중성을 중심으로

  • Bae, Jin-Han (Dept. of Media & Culture, Sangji University)
  • 배진한 (상지대학교 방송영상문화학과)
  • Published : 2003.05.12

Abstract

Despite the ubiquity of mobile phone, the medium has received far less scholarly attention than it should deserve. This study begin with the purpose of fair repositioning of mobile phone in Korea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effect of communication values on perception of mobile phone a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edium, such as the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of mobile phone. The related raw data were collected from on-line survey process,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more effect the traditional communication values of our society have on the perception of mobile phone, the older users are. And Younger generations tend to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 mobile phone a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edium. Particularly when the seniors ar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partner and impending task is advice or request, younger persons tend to perceive mobile phone more appropriate and effective than the elder persons do. Thus, it is plausible to predict that relative position of mobile phone will be gradually more important in Koreans' social communication when the younger generation become the mainstream of our society.

이 연구는 대인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이동전화 이용을 우리의 전통적인 커뮤니케이션 가치관과 연결시켜 다뤄보자는 의도에서 출발했다. 온라인조사방법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어린 세대보다 나이 많은 세대에서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가치관이 더 큰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가치관은 특히 나이 많은 세대에 있어서는 대인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 이동전화의 매체인식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즉,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가치관에 공감하는 정도가 높은 나이 많은 세대는 어린 세대에 비해 이동전화의 효율성은 내심 인정하면서도 우리 사회의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가치관에 영향을 받아 이동전화의 적합성은 낮게 평가하는, 소위 ‘이동전화에 대한 매체인식의 이중성’의 일단을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특히 커뮤니케이션 상대가 윗사람이고 커뮤니케이션 상황이 개인적인 부탁을 해야하는 인간관계의 부담이 큰 상황일수록 나이 많은 세대의 이러한 '이중성'은 어린 세대에 비해 더 극명하게 드러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