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odel based Vocational Evaluation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정신장애인 직업재활모델과 직업평가 - 직업기능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

  • 이성규 (서울시립대 사회복지학과) ;
  • 김상희 (장애인직업안정연구원)
  • Published : 2003.08.31

Abstract

It is well known that one of essential features of psychiatric disability is vocational impairment. Since the year of 2000 when psychiatric disability was declared as one of disability categories in Korea,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have been actively administered. At this point, it is compelling that vocational evaluation serves as a means of screening out the most promising candidates, identifying their vocational deficits and strengths, designing the individualized vocational interventions, and evaluating vocational outcomes. Still, vocational evaluation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has been more problematic than for any other group with disabilities. The authors argued that vocational evaluation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should be based on a certain vocational rehabilitation model to address those problems. It is because there exists an indispensible relationship betwee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model and vocational evaluation. In other words, the main purposes, measurement time points, and focus of vocational evaluation may depend on which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models to make a choice of. In addition, the vocational rehab model(i.e., vocational readiness model or graduation model) underlying traditional vocational evaluation does not seem to work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uthors argued that accelerating model fits for psychiathric characteristics which are often unpredictable and turbulent. As a preliminary step of developing vocational functioning instrument incorporating the demand characteristics of the accelerating model, post-hoc analyses were done on data from a vocational functioning measure and the results were critically examined from viewpoints of accelerating model. For these purposes, discussions were made about a) general functioning of vocational evaluation, (b) relation between vocational rehabilitation model and vocational evaluation, (c) the reasons why the accelerating model is more appropriate to the characterstics of psychiatric clients than the graduation model, (d) post-hoc analytic results reviewed from viewpoints of accelerating model-based vocational evalu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model-based, model-specific vocational evaluation as a preliminary step for developing vocational functioning assessment instruments ill future.

정신장애의 핵심적 특성이 다름 아닌 직업적 장애라는 것은 널리 지적되어온 사실이다. 2000년 정신장애가 장애범주에 포함된 이래, 정신장애인의 직업적 장애에 대한 개입, 즉, 직업재활이 바야흐로 활성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직업재활로부터 가장 이득을 얻을 대상군을 선발하고(선별), 효과적인 직업적 개입을 계획할 수 있도록 직업적 문제점을 알려주며(진단 및 개입계획), 개입을 통해 얻어진 직업기능의 향상을 측정해 줄 수 있는(성과평가) 직업평가도구가 시급히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선진국에서조차 현재 정신장애인의 직업평가는 많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모두 수렴하여 유용한 정신장애인 직업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첫째, 직업평가가 직업재활모델에서 출발할 필요가 있다. 이는 직업평가가 직업재활모델과 밀접하고도 필연적인 관련성을 가진다는 데서 도출된다. 즉, 직업평가는 어떤 직업재활모델을 기반으로 하느냐에 따라 평가의 기능과 시점, 그리고 내용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둘째, 정신장애인 직업평가의 출발점으로서의 직업재활모델은 가속모델 이어야 한다. 전통적으로 직업평가에 배경이 되어온 직업재활모델, 즉, '준비모델 혹은 점진모델'은 신체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정신장애인에게는 맞지 않다. 셋째, 가속모델이 요구하는 직업평가도구의 특성들을 도출하고 이러한 특성들을 수렴하고 있는 척도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는 가) 직업평가의 일반적 기능들을 살펴보고, 나) 직업재활모델이 이러한 직업평가의 기능과 어떠한 관계성이 있는지 논의하였다. 그리고 다) 가속모델이 특히 정신장애인의 특성에 적절한 이유들을 논의하였고, 라) 이 모델을 기반으로 직업평가도구 제작의 원칙들을 도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마) 이 원칙들에 의거하여 한 연구에서 사용된 직업기능척도를 비판적으로 사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에게 적합한 직업재활모델 기반의 직업기능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예비적 분석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