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Methods in Korean Social Welfare Research: Analysis of the Trend and Discussion for Promoting Applic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분석과 고찰 - 질적 연구방법의 유용성 제고를 위한 논의 -

  • Published : 2003.11.30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trend of research methods in Korean social welfare research and discuss utiliti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broadening and deepening social welfare knowledge body in Korea. First, this paper examines research methods of 538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from the volume one in 1979 to the volume 51 in 2002. It has the following results: (1) non-empirical research articles were dominant in the 1980s; (2) empirical research articles have been dominant since the middle of the 1990s; and (3) research articles utilizing qualitative methods have appeared rarely since the end of the 1990s. Second,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ypes(phenomenology, grounded theory, ethno-graphic approach, narrative inquiry etc.)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ird, this paper discusses (1) fitness between practice in social welfare disciplin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2) utiliti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broadening and deepening knowledge body of Korean social welfare. In discussing the fitness, this paper focuses tha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ts with the needs of social welfare discipline regarding broadening and deepening our understandings about social phenomena related to practice, and (2)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ts the needs of social welfare discipline regarding developing endogenous knowledge. In discussing the utilities, this paper focuses tha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an be more properly utilized for social welfare research because there are coincidences in basic assumptions and perspectives of bo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social welfare practice. Finally, this paper highlights that 'many ways of knowing' exist in social science and it should be considered more sincerely in the arena of Korean social welfare research in order to more solidly develop the knowledge body of social welfare and practice in Korea.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분석과 고찰을 통하여 질적 연구방법의 사회복지학에 대한 유용성을 논의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의 가장 대표적인 학술지인 "한국사회복지학"에 실린 학술논문 538편을 연구 방법론에 초점을 두고 분석한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사회복지학은 양적 연구방법에의 과도한 편향이 매우 극심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이 되면서 이러한 한계가 지적되어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논문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는데, 엄밀성 측면에서 볼 때 방법의 적절성과 수준은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방법론의 동향 분석과 함께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의 특성과 유형을 정리하면서 한국 사회복지학과 질적 연구방법의 적합성(fitness) 즉 '질적 연구방법이 왜 필요한가' 그리고 '그 유용성은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학의 양적 연구방법에 편향된 상황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사회현상의 본질과 실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방법론이나 패러다임에 얽매이지 않고 사회과학의 많은 연구방법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제시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