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성학대 - 개념, 병태생리, 정신과적 휴유증, 치료적 개입 -

CHILD SEXUAL ABUSE - CONCEPT, PATHOPHYSIOLOGY, PSYCHIATRIC SEQUELAE, INTERVENTION -

  • 김붕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소아정신과학교실)
  • Kim, Boong-Nyun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2.12.31

초록

성학대는 여러 종류의 아동학대 유형들 중 가장 심각한 정서적-인지-행동 상의 휴유증을 남긴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4{\sim}5$년간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성폭력과 성학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국내에서도 크게 늘고 있고, 실제 임상에서도 성학대나 성폭력을 당한 소아-청소년을 자주 접하게 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들에 대한 적절한 치료와 가이드를 제공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이에 본 고에서는 성학대의 개념을 고찰하고, 정신병리로 연결되는 병태생리를 폭넓게 고찰하였으며, 성학대로 인한 단기 및 장기 휴유증에 대해 살펴보았고, 성학대 아동에 대한 적절한 초기치료전략과 현재까지의 치료결과에 대한 보고들을 종합하였다. 향후 성학대 및 성폭력에 희생된 아동과 그 부모를 위한 치료프로그램의 개발과 국가적 예방 및 치료사업에 소아-청소년 정신과 의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해 본다.

Sexual abuse is emerging as one of the major form of child abuse. In the late 1990s, official reports of sexual abuse began to mushroom at a much more rapid rate than reports of other forms of abuse in Korea. In addition, sexual abuse can cause the most serious emotional-cognitive-behavioral sequelae to victims. Although child & adolescent psychiatrists meet many sexual abuse victims who are referred from many types of child protective services, the psychiatrists may not be likely to give them sufficient and appropriate treatment and guideline for victims and their parents. In this article, the historical concepts, pathophysiological processes, shortterm & longterm sequelae of sexual abuse are reviewed and summarized. And I summarize the intervention and outcome studies for sexual abuse victims. In the close futur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psychiatrists who help the child and adolescents will be expected in the development of nationwide preventive and therapeutic projects for victims and families of sexual abus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