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 골 종양에서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의 평가

Evaluation of Prosthetic Reconstruction in Lower Extremity

  • 이상훈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오주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유광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서성욱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구기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한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임수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Lee, Sang-Hoo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Oh, Joo-Ha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oo, Kwang-Hy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uh, Sung-Woo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oo, Ki-Hyou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Han-So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im, Soo-Tae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2.03.30

초록

목적 : 하지의 골 종양에서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의 기능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시행받고 기능적 평가의 설문이 가능하였으며, 방사선학적인 평가를 계속적으로 할 수 있었던 8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76(22~174)개월이었다. 연령(20세 이하 군과 20세 이상 군), 시멘트 사용 여부, 골절제율, 항암치료 여부,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 여부에 따라 대치물의 생존율, MSTS 기능적 평가와 ISOLS 방사선학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 종양 대치물의 5년 누적 생존율은 근위 대퇴골에서 100%, 원위 대퇴골에서 83.3%, 근위 경골에서 81.9%이었다. 기능적 점수는 각각 73.3%, 72%, 68.7%이었다. 원위 대퇴골에서 비 항암치료 군의 종양 대치물 생존율이 높았고, 기능적으로는 원위 대퇴골에서 국소 재발이 없는 군과 비 원격 전이 군이, 근위 경골에서 비원격전이 군이 우수하였으며, 방사선학적으로는 원위 대퇴골에서 20세 이상인 군과 시멘트 사용 군에서 골 재형성이 우수하였다. 수술 후 감염과 해리는 종양 대치물 실패의 주요 원인이었다. 결론 : 하지에서 발생한 골 종양의 치료에서 종양 대치물을 사용한 골 종양의 치료는 만족할 만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골 절제율, 항암치료 여부,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 등이 종양 대치물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고, 보다 많은 예를 분석하여 예후 인자를 파악하고 장기적인 추적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We evaluated the radiological and functional results of prosthetic reconstruction for locally aggressive benign and malignant tumor in the lower extremity. Materials and Methods : Eighty eight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n average 76 months(22~174). We examined the survival rate of prosthesis, and evaluated the final result by MSTS functional score and ISOLS radiological implants evaluation system. The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ccording to the age(<20 year vs. ${\geq}$20 year), fixation methods, amount of bony resection, chemotherapy, local recurrence, and presence of metastasis. Results : The 5 year prosthetic survival rates were 100% in the proximal femur, 83.3% in the distal femur, 81.9% in the proximal tibia. Mean total functional scores were 73.3%, 72%, 68.7%, respectively. In distal femur, the non-chemotherapeutic group was superior in the prosthetic survival rate. Recurrence or metastasis affected the functions in the distal femur and proximal tibia. In the radiological evaluation of the distal femur, older patients over 20 years of age and with cement fixation were superior in bone remodeling(p<0.05). Postoperative infection and radiological loosening were the main causes of the prosthetic failure. Conclusion : The prosthetic reconstruction in the lower extremity led to good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mount of bony resection, chemotherapy, recurrence and metastasis seemed to influence the prosthetic survival, and long-term follow-up will be necessary to investigate mo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