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ashion of the New Generation in Korea -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Japanese Popular Culture -

한국(韓國) 신세대(新世代) 패션에 관(關)한 연구(硏究) - 일본대중문화(日本大衆文化)의 영향(影響)을 중심(中心)으로 -

  • Lee, Hee-Se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
  • Cho, Kyu-Hwa (Dept. of Clothing &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 이희승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
  • 조규화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Published : 2002.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lements of Japanese popular culture portrayed in Korean new generation fashion at the current point of time, when Japanese popular culture is first being opened to Korea. And the another purpose is to look into the fashion consciousness of them, which is made up of these aspects. The new generation plays the leading role in further excelling the culture of our society. They are the generation of sense and sensibility, the generation of "me", the generation of information, and the generation of individuality. Even before Japanese popular culture was officially opened, the new generation was already accepting fashion, comics and animation, video games, music, broadcasting, food, etc. The Japanese cultural elements that show most in Korean fashion are street fashion and the fashion of celebrities. These are mostly brought in by fashion magazines, the internet, satellite TV, the new media of cable TV, and street shops. The aspects of Japanese popular culture in Korean new generation fashion are many and varied. Such examples in fashion are : vintage style, school-girl style, sexy causal style, black coordination, soft avant-garde style. It can be said that the fashion consciousness of Korean new generation could be plac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the variety of fashion. Next, the internationalism of fashion. Third, the information of fashion, and last, the play value of fashion. Interest has peaked in Japanese culture after the official opening, and this study has explored the very same aspects which can be seen in Korean new generation fashion. This study was meant to help make a responsible and sturdy new generation fashion culture which can help face the new millennium.

Keywords

References

  1. 염혜정, 일본의 스트리트 패션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3-4, 1999
  2. 염혜정, 일본의 패션잡지에 나타난 스트리트 패션 스타일, 복식, 50-6, 2000
  3. 박길순 . 김서연, 한국 현대복식에 나타난 일본패션의 영향, 복식문화연구, 7-1, 1999
  4. Don Tapscott, Growing Up Digital: The Rise of the Net Generation, Mcgraw-Hill, New York, 1997
  5. 정성호, 사회변혁 주체로서의 신세대, 새교육 통권 475호, 한국교육신문사, 1994, p. 104
  6. 10대 잡은면 '돈방석'- 구매패턴.성장업종 분석, 이코노피아 383호, 1997
  7. 정현숙, 한국의 신세대 문화와 복식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생활과학연구집 9권, 숙명여대 생활과학연구소, 1994, p. 182
  8. 구정화, 일본 대중문화에 대한 청소년의 수용과 저항, 한국청소년연구, 10-1, 1999, p. 145
  9. 21세기 우리문화를 생각한다 - 우리 속의 일본문화, 경향신문, 1997. 7. 28
  10. '재팬(Japan)'과 '애니메이션(Animation)'의 합성어. 원래 일본 애니메이션을 비하하는 뉘앙스를 풍기는 단어였지만 서구에 일본 만화영화를 사랑하는 젊은층이 많아 지면서 그런 뉘앙스는 사라지고 일본 애니메이션을 지칭하는 용어로 일반화되었다
  11. 재패니메이션 영화제, 조선일보, 1997. 7. 28
  12. 멀티미디어 정보의 제공자와 사용자 사이에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해주는 박스(box).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er)에서 칩(chip)이 내장되어 있으며 TV 위에 올려놓는다는 의미에서 '세트 톱 박스'라 는 명칭이 붙여졌다
  13. 이연 . 양윤모 . 임진모 . 곽대원 . 정희경 . 오규숙 . 김경화, 일본대중문화 베끼기, 나무와 숲, 1999, pp. 34-35
  14. John R. Gillis, 北本正章 譯, 若者の社會史, 新曜社, 東京, 1990, p. 1
  15. 이연 외, 일본대중문화 베끼기, p. 221
  16. 조규화, 복식미학, 수학사, 1999, p. 245
  17. 조규화, 복식미학, 수학사, 1999, p. 84
  18. 조규화, 복식미학, 수학사, 1999, p. 11
  19. 김명학, 나. 일본 여고생, 이채, 1999, pp. 30-33
  20. 김유리의 일본패션 엿보기 - 교복스타일 소녀들에 인기, 동아일보, 2000. 1. 9
  21. 김명학, 나. 일본 여고생, p. 19
  22. 우리나라에서는 '스티커 사진기'로 더 잘 알려진 프리쿠라는 1996년 일본에서 발명된 사진기계로 '프린트 클럽(print club)'이라는 일본식 영어 약칭이다
  23. 송명희 . 조규화, 현대패션에 나타난 블랙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1-1, 1997, p. 111
  24. 일본 벗기기 - 일본의 패션을 말한다, 마켓 리서치, 1999
  25. Ted, Polhemus, Styling Surfing, Thames and Hudson, London, 1998, p. 11
  26. 채선주 . 조규화, 캐릭터 패션 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4-1, 2000, p. 3
  27. 전혜정, 동서양의 패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1-3, 1997, p. 93
  28. 전혜정, 동서양의 패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1-3, 1997, p. 85
  29. 인터넷 시대와 N세대, 국민일보, 2000.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