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o Approaches to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How Survey Analyses and Constructivist PUS Might Benefit Each Other

공중의 과학이해 연구의 두 흐름 - 조사연구와 구성주의 PUS의 상보적 발전을 향하여

  • 박희제 (경희대학교 사회과학부)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Without much communication, large-scale surveys of public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 science (quantitative PUS) and case-study analyses of the public's understandings of science in particular (constructivist PUS) have dominated in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PUS) area. Not only methodological preference but also a strong antipathy against value-orientations that each approach presumed to have and support has been barriers for quantitative PUS and constructivist PUS to benefit each other. In order to overcome such barriers,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value orientations guiding quantitative PUS have been much more diverse than what constructivist PUS researchers might think, and that quantitative PUS has indeed yielded the results consistent with and complementary to constructivist PUS. Finally this paper proposes that (1)quantitative PUS should test propositions provided by constructivist PUS, so that it can contribute much to the construction of more generalizable PUS theories and policies, and (2)constructivist PUS uses the outcome of quantitative PUS to develop more complex case studies which consider heterogeneous publics, trends of public evaluations of science, and how public attitudes to science in the abstract and public attitudes to science in particular in a specific context have effect on each other.

그 동안 공중의 과학이해(PUS) 연구는 대규모 서베이조사 중심의 계량적 PUS연구와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하는 구성주의 PUS연구로 양분되어 발전해왔다. 이 두 연구방식의 보완적인 성격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방법론적 선호도 뿐 아니라 각 유형의 연구들이 암묵적으로 전제하고 지지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가치지향에 대한 반감이 조사연구 중심의 계량적 PUS연구와 구성주의 PUS연구가 상보적으로 발전하는데 큰장애물로 작용해왔다.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이 논문은 특히 계량적 PUS연구에 있어서 이 연구들을 인도하는 가치관심이 구성주의 PUS연구자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다양하고 또 많은 조사연구들이 구성주의 PUS연구의 성과들을 보완하는 결과를 이끌어 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조사연구와 구성주의 PUS가 보완적으로 발전하기 위해 이론 틀의 부족으로 학문적인 발전이 정체되어온 조사연구는 구성주의 PUS가 주장하는 명제들을 검증하는 작업을 통해 PUS의 이론화와 연구결과의 정책화를 제고하는 반면 구성주의 PUS 연구는 일반시민들을 이질적인 존재로 이해하고, 과학에 대한 신뢰도의 변화추이를 중시하며, 추상적인 과학일반에 대한 태도와 특정한 맥락에서의 구체적인 과학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려하는 보다 복합적인 사례연구를 발전시키는데 계량적 PUS연구성과들을 이용할 것을 제안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