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enetic Diversity among Dioscorea, spp. Using Molecular Markers

분자표지를 이용한 마(Dioscorea spp.)의 다양성 분석

  • Chang, K.J. (Korea National Agricultural College, RDA) ;
  • Choi, I.Y.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J.H. (Tongyang Moolsan Co. LTD.) ;
  • Park, J.I. (Korea National Agricultural College, RDA) ;
  • Yoon, B.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N.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장광진 (한국농업전문학교) ;
  • 최익영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박주현 (동양물산 중앙기술연구소) ;
  • 박종인 (한국농업전문학교) ;
  • 윤병성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김남수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Published : 2002.03.30

Abstract

A lot of clones of the genus Dioscorea species have been introduced from some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since 1997.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ion process in yams(Dioscorea spp). By utilizing 51clones of water yams(Dioscorea spp), som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t the field. Intraspecific genetic relationship of 51 variation types of the Yam classified by their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leaf and tuber shape were assessed by DNA using random and specific primers. D. Alata and D. opposita were showed different relationship between yield and the growth of their aboveground parts. This suggests that even in the same species there were differences in yield volume and translocation of assimilation products, depending on the types. D. alata were distinguished from others Dioscorea species at 62% level in AFLP analysis. Also i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D. alata were showed the class from II to V.

마(Dioscorea spp.) 계통 중 품질이 우수하고 이용 가치가 기대되는 51개 계통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고 도입재배 가능성을 시험했다. 또한 종간, 계통 간을 AFLP 분석하였고 생육 패턴을 시험하였다. 1. AFLP분석의 분자마커를 이용한 도입마의 유사성 분석에서 62% 수준에서 도입마는 다른 종간에 유의성이 나타났고 주성분 분석에서도 구분이 가능하였다. 그 중 D. alata는 일부 수집 지역별로 그룹이 형성되었다. 2. 일본의 쿠마모도(Kumamoto)지방에서 수집된 D. alata의 계통들의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보아, 그 지역의 마 유전자원의 이동이 적은 것으로 보인다. 반면, Indonesia, palau Is., 파푸아뉴기니아에서의 수집종들의 유연성이 높은 것은 한 지역의 계통이 여러지역으로 이동된 것으로 사료되다. 3. D. nipponica에 속하는 부채마는 다른 종과 변이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유전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인정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