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ste Assimilative Capacity and Total Emission Control of Daechong Reservoir in Korea

대청호의 환경용량과 총량규제

  • Lee, Jong-Ho (Department of Urban and Regional Planning, Chongju University)
  • 이종호 (청주대학교 도시.지역계획학)
  • Published : 2002.03.31

Abstract

중부지방 3백만 주민의 상수원으로 이용되는 대청호는 부영양화가 심화되어 적절한 수질관리가 없으면 상수원수의 최저등급인 3급수를 만족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고 있다. 그래서 2002년 1월에 금강수계 물관리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는 바, 오염총량제와 수변구역의 지정을 통한 수질보전 등을 주요한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다. 오염총량제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대청호의 환경용량을 추정하는 것이 필수 불가결하다. 환경용량의 추정은 장래 대청호 수질영향권역에서 개발사업이 이뤄질 때 환경영향평가 특히 누적영향평가를 위해 필요하다. 대청호의 환경용량을 추정하기 위해 오염부하량과 유량의 변화가 대청호의 총질소와 총인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WASF5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총질소 부하량이 50%증가한다고 가정했을때 갈수기. 명수기, 홍수기에 각각 0.14-0.29 mg/l, 0.12-0.16 mg/l and 0.03-0.05 mg/l 정도의 농도 변화가 예측되었다. 총질소 부하량이 지금의 반이하로 감소하더라도 총질소농도 5급수기준 (1.0-1.5 mg/l)을 달성할 수가 없다. 대청호의 환경용량을 상수원수 3급수기준으로 산정한다면, 그것은 현재의 총질소 부하량의 반보다 훨씬 적다고 추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총질소 부하량은 지금의 반이하로 줄어들어야 할 것이다. 총인 부하량이 50%증가한다고 가정했을 때 갈수기, 평수기, 홍수기에 각각 0.005-0.011 mg/l, 0.004-0.006 mg/l and 0.001-0.002 mg/l 정도의 농도 변화가 예측되었다. 총인 부하량이 지금의 반이하로 감소하더라도 총인 농도 4급수기준 (0.05-0.1 mg/l)을 간신히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대청호의 환경용량은 지금의 총인 부하량의 반정도로 추정할 수 있으며 총인 부하량은 지금의 반이하로 줄어들어야 할 것이다. 오염부하량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정오염원과 비정오염원으로 나눠 제시하였고 오염총량제 실현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Ambrose, Robert B. and James L. Martin, 1993, The Water Quality Analysis Simulation Program, WASP 5: Part A Model Documentation, Environmental Research Laboratory, U.S. EPA
  2. Ambrose, Robert B. and James L. Martin, 1993, The Water Quality Analysis Simulation Program, WASP 5: Part B The WASP5 Input Dataset, Environmental Research Laboratory, U.S. EPA
  3. Canter, tarry W., 1997,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New York : McGraw-Hill
  4. Chungbuk Province, Korea, 1994, Livestock Waste Treatment Mater Plan
  5. Ha, Sung-Ryong, 1996, GIS-Based Model for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Wash off Analysis,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27
  6. Ha, Sung-Ryong and Bae, Myung-Soon, 2001, Effects of Land Use and Municipal Waste Water Treatment Changes on Stream Water Quality,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70 : 135-151
  7. Kim, Gwang-Su; Park, Chung-Kil and Cho, Eun-Il, 1996, The Estimation of Environmental Capacity in the Yellow Sea using an Ecosystem Model, Journal of Korea Society of Water Quality, 12(4) : 383-399
  8. Kim, Sung Woo; Park, Soek Soon and Kim, Hoe Seong, 1997, Total Emission Control in Watershed, Korea Environment Institute
  9.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0, Total Emission Control System, in the Han River, Ministry of Environment
  10.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s, Water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1997, Investigation of Pollutants Inflow Characteristics from Watershed Areas and their Effects on Lake Water Quality (The 2nd Year)
  11. Kum River Water Quality Research Laboratory, 1996,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Water Quality of Daechong Reservoir (II) - Pollutants Sources and Water Quality Modeling of Upper Kum River Basins,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8,349-363
  12. Kum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1998, '97 Water Pollutants Sources of Central Kum River Basins
  13. Lee, Jong Ho, 1999, Water Quality Modeling of Daechong Reservoir,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8(1)
  14. Lee, Jong Ho, 2000,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s in Watershed - with reference to Daechong Reservoir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9(3)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01, Environmental White Book, Seoul
  16. Ministry of Envirooment, 2001, Korea Environmental Yearbook, Seoul
  17. Novotony, Vladimir and Harvey Olem, 1994, Water Quality, New York : Van Nostrand Reinhold
  18. Park, Won Kyu 1994, Total Emission Control in the Nakdong R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