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선의 크기와 주산기 질환들과의 관계

Thymus Size and Its Relationship to Perinatal Disease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nd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 정선미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우택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Chung, Sun Mi (Department of Pediatrics, School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Woo Taek (Department of Pediatrics, School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투고 : 2002.02.04
  • 심사 : 2002.05.08
  • 발행 : 2002.07.15

초록

목 적: 흉선의 크기는 여러 가지 요인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주산기 환아의 상태를 짐작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흉부 방사선 사진의 심흉선/흉곽 비율을 통해 흉선의 크기를 간접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통한 흉선의 크기와 호흡곤란증후군과 자궁내 발육지연과 같은 주산기 사건(perinatal event)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6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1년 5개월간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호흡곤란증후군 환아 51명, 감염 등 다른 질환이 동반되지 않았던 자궁내 발육지연 환아 27명 및 대조군으로 패혈증 소견이 없었던 조기양막파수 환아 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흉선의 크기는 생후 6시간 이내 촬영한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 심흉선/흉곽 비율로 측정하였으며, 호흡곤란증후군 환아는 생후 2-3일째, 생후 5-7일째에도 심흉선/흉곽 비율을 측정하였다. 결 과 : 1) 호흡곤란증후군군, 자궁내 발육지연군, 조기양막 파수군의 심흉선/흉곽 비율이 각각 $0.46{\pm}0.07$, $0.32{\pm}0.04$. $0.36{\pm}0.06$으로 세군 간의 심흉선/흉곽 비율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01). 2) 호흡곤란증후군군에서 생후 6시간 이내, 생후 2-3일째, 생후 5-7일째의 심흉선/흉곽 비율이 각각 $0.43{\pm}0.07$, $0.34{\pm}0.06$, $0.25{\pm}0.04$으로 호흡곤란 소견이 호전됨에 따라 심흉선/흉곽 비율의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01). 3) 출생시 재태연령에 따른 세 군 간의 회귀분석 상에서 심흉선/흉곽 비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4) 출생시 전체 환아의 재태연령과 심흉선/흉곽 비율간의 상관분석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01). 5) 출생시 정상질식분만과 제왕절개분만 방법에 따른 호흡곤란증후군군, 자궁내 발육지연군, 조기양막파수군 및 전체에서의 심흉선/흉곽 비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6) 출생 전 dexamethasone을 사용한 군(n=33)과 사용하지 않은 군(n=17) 간의 심흉선/흉곽비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결 론: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 흉선의 크기를 평가하여 주산기 질환 중 신생아 호흡곤란증군, 자궁내 발육지연과 같은 주산기 질환들의 진행 여부 및 변화를 예측하고 조기 진단에 이용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 Thymus size can be affected by several factors and perinatal diseases can be estimated by its siz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a relationship between cardiothymic/thoracic(CT/T) ratio and perinatal diseases such as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RDS) and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IUGR) by measuring the width of the cardiothymic shadow at the level of the carina and dividing it by the width of the thorax at the costophrenic angles. Methods : A clinical study was conducted on newborn infants with RDS(n=51), IUGR(n=27), and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PROM, n=48), who were admitted at NICU of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from June 2000 to Oct. 2001. CT/T ratio was measured within six hrs of age, at 2-3 days of age, and at 5-7 days of age. Results : CT/T ratios of RDS group, IUGR group, and PROM group were $0.46{\pm}0.07$, $0.32{\pm}0.04$. $0.36{\pm}0.06$, respectively. CT/T ratios of RDS group within 6hrs of age, at 2-3 days of age, and at 5-7 days of age were $0.43{\pm}0.07$, $0.34{\pm}0.06$, $0.25{\pm}0.04$, respective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ces among the RDS group, the IUGR group, and the PROM group and in the RDS group at different times. Regression for gestational age among three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correlation for gestational age in the entire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T/T ratio between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and c-section among three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T/T ratios with dexamethasone-treated group and untreated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thymus size differed significantly in the perinatal diseases such as RDS and IUGR, and so can be used as an early diagnostic tool for perinatal diseas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