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주 이하 신생아에서 진단된 심방중격결손의 자연경과에 관한 연구

Natural Course of Atrial Septal Defect Diagnosed Within the First 4 Weeks of Life

  • 황영준 (포천중문의과대학 분당차병원 소아과) ;
  • 정경현 (포천중문의과대학 분당차병원 소아과) ;
  • 최석민 (포천중문의과대학 분당차병원 소아과) ;
  • 이규형 (포천중문의과대학 분당차병원 소아과)
  • Hwang, Young J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Bundang CHA General Hospital) ;
  • Chung, Kyung 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Bundang CHA General Hospital) ;
  • Choi, Suk M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Bundang CHA General Hospital) ;
  • Lee, Kyu Hy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Bundang CHA General Hospital)
  • 투고 : 2001.11.24
  • 심사 : 2002.02.28
  • 발행 : 2002.05.15

초록

목 적: 이차공 심방중격결손은 소아에서 두번째로 빈도가 높은 심기형이나 청진소견과 증상만으로는 조기에 진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 질환의 자연경과가 잘 알려져 있지 않았으나 최근 2D 심초음파의 활용으로 조기진단의 빈도가 높아지면서 진단의 시기와 결손의 크기가 자연 경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보고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생후 4주 이내에 2D 심초음파로 이차공 심방중격결손이 진단된 환아들을 추적 검사하여 이 질환의 자연 경과를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5년 9월부터 1999년 9월까지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에서 2D 심초음파로 이차공 심방중격 결손이 진단된 환아들 중 첫 진단이 생후 4주 이하의 신생아기에 이루어졌고, 추적 검사가 가능했던 61명을 대상으로 하여 결손의 크기에 따라서 4개의 군으로 나누고, 마지막으로 시행한 2D 심초음파상의 결손의 크기를 기준으로 각 군에서 결손 크기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A군은 결손의 크기가 4 mm 미만, B군은 4mm 이상 6 mm 미만, C군은 6 mm 이상 8 mm 미만, D군은 8 mm 이상인 환아들로 나누었다. 또한 동반된 선천성 심기형의 유무에 따라 2개의 군으로 나누어 동반된 심기형이 이 질환의 자연 경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동반된 심기형이 복합 심기형인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이차공 심방중격결손의 진단 및 결손 크기의 측정은 2D 심초음파(Hewlett-Packard Sonos $2500^{(R)}$)로 늑골하 단축면상(subcostal short axis view)과 늑골하 장축면상(subcostal long axis view)에서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61명 중 A군은 24명(39%), B군은 27명(44.3%), C군은 6명(9.8%), D군은 4명(6.6%)이었다. 동반된 심기형이 없는 환아는 21명(34.4%)이었고, 동반된 심기형이 있는 환아는 40명(65.6%)이었다. 2D 심초음파 추적 검사 결과 A군은 24명 중 22명(91.7%), B군은 27명 중 23명(85.2%), C군은 6명 중 4명(66.7%)이 자연 폐쇄되었고, D군에서는 자연 폐쇄가 일어나지 않았고 4명 중 3명에서 수술적 치료를 하였다. 진단시 결손의 크기가 6 mm 미만인 환아들의 자연 폐쇄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자연 폐쇄의 시기는 3개월에서 9개월 사이였으며, 대부분이 1세 이전에 자연 폐쇄되었다. 심실 중격결손, 동맥관 개존 등의 단순 심기형을 동반한 경우에도 자연 폐쇄율의 차이는 없었다(P=0.717). 결 론 : 생후 4주 이하의 신생아기에 진단된 이차공심방중격결손은 첫 진단시 결손의 크기가 작을수록 자연 폐쇄의 비율이 높았으며, 특히 결손의 크기가 6mm 미만인 경우에는 대부분 1세 이전에 자연 폐쇄가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8 mm 이상인 경우에는 자연 폐쇄가 일어나지 않았다. 또 심실중격결손, 동맥관 개존 등의 동반된 심기형의 존재 유무가 이차공 심방중격결손의 자연 폐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Purpose : The purpose of our investigation was to explore the natural course,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natural course, in ostium secundum atrial septal defect(ASD) diagnosed within the first 4 weeks of life. Methods : We studied patients with ASD diagnosed within the first 4 weeks of life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1995 to September 1999 in our hospital. The diagnosis and measuring of the size of ASD was carried out by two-dimensional echocardiogram(2DE, Hewlett-Packard Sonos $2500^{(R)}$) from subcostal long and short axis views. Results : There were 61 patients - 29 males and 32 femal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ir defects, we divided them into four groups; group A(less than 4 mm : 24 cases), group B(four mm-six mm : 27 cases), group C(six mm-eight mm : six cases), group D(more than eight mm : four cases). In groups A and B, 22 of 24 patients(91.7%) and 23 of 27 patients(85.2%) had each closed spontaneously. In group C, four of six patients had closed spontaneously. In group D, no patient had closed spontaneously and three of four patients had been closed surgic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e of spontaneous closure between less than six mm group and more than six mm group in the size of the defect(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e of spontaneous closure between ASD combined with simple cardiac defect and isolated secundum ASD.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defects smaller than six mm in diameter are very likely to close spontaneous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