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들의 영아기 영양에 대한 상담 실태 조사

Survey on Counseling about Infant Nutrition Among Doctors on Practicing Pediatric Patients in Primary Medical Facilities

  • 도은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은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신손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Doe, Eun J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Eun Sil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hin, Son Mo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투고 : 2002.07.11
  • 심사 : 2002.08.23
  • 발행 : 2002.11.15

초록

목 적 : 이 연구는 소아과 진료를 표방하는 1차 의료 기관의 의사를 대상으로 영아기의 영양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해 이들이 영아기 영양에 대하여 얼마나 바르게 상담을 해 주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 법: 2000년 7월부터 8월까지 대구광역시에서 개원을 하고 있거나 봉직하고 있는 소아과 전문의(1군)와 소아과를 진료과목으로 표방하고 있는 비 소아과 전문의 또는 일반의(2군)를 대상으로 영아기 영양에 관한 육아 상담 내용을 미리 작성한 객관식 10문제를 이용하여 방문조사 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의사는 267명으로 소아과 전문의가 101명, 비 소아과 전문의 또는 일반의가 166명이었다. 비 소아과 전문의는 내과 63명, 일반외과 21명, 산부인과 20명, 가정의학과 16명, 이비인후과 7명, 정신과, 흉부외과, 신경과 전문의가 각각 1명이었다. 전문의 자격이 없는 일반의는 36명이었다. 결 과 : 100점 만점으로 평가한 결과 1군의 점수는 $73.0{\pm}15.8$점, 2군은 $45.1{\pm}18.4$점으로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비소아과 전문의 중 전문 과목에 따른 점수는 내과 전문의가 $46.5{\pm}20.2$, 산부인과 전문의 $44.5{\pm}20.6$, 일반외과 전문의 $40.5{\pm}15.6$, 가정의학과 전문의 $56.3{\pm}16.9$, 이비인후과 전문의 $47.1{\pm}15.0$, 이었고 일반의 $45.3{\pm}16.3$ 점이었으며 타과 전문의와 일반의사 간의 점수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각 질문 항목에는 모유 수유 권장 기간, 모유 수유 중에 무른 변을 보이는 경우, 모유 수유시에 나타나는 황달의 대처 요령, 이유식의 시작 시기, 시판 이유식을 먹이는 형태, 식물성 분유에 대한 지도 방침, 선식에 대한 지도 방침에 대한 질문에 대한 대답이 1군과 2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본 조사 결과 소아과 전문의들에 비해 타과 전문의들이나 일반의들은 영아기의 영양에 대해 부적절하게 상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소아과 전문의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함께, 타과 전문의에 의한 부적절한 상담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대처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 : Through a survey undertaken among doctors practicing pediatric patients in primary medical facilities on nutrition during infancy, the present study was done to determine whether these doctors were giving appropriate advice on infant nutrition. Methods : We visited pediatric specialists(group one) and non-pediatric specialists or general practitioners(group two) who were practicing in Daegu to ask them to fill out a questionaire on infant nutrition. Results : When 10 points were given to each question for a total of 100 point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showed that the score in group one was $73.0{\pm}15.8$ points and $45.1{\pm}18.4$ points in group two,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seen in the scores between non-pediatric specialists and general practitioners. Each answer to each question on the feeding period of breast milk, on loose stools during breast milk feeding, methods to deal with jaundice during breast milk feeding, choice of commercial baby food, criteria on directing soy milk, and criteria of guiding infant cereal was different between group one and two.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showed that specialists in other fields or general practitioners were giving inappropriate advice on nutrition during the infant stage compared with pediatric specialists; thus, we need to confirm methods to prevent inappropriate consultations by specialists of other fields, together with continued education of pediatric specialis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