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근로시간 단축의 경제적 효과

The economic effects of working hours reduction in Korea

  • 투고 : 2002.10.14
  • 심사 : 2002.11.13
  • 발행 : 2002.12.31

초록

본 연구는 법정근로시간 단축이 성장률, 투자, 소비, 고용 등 제 경제변수들에 주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기본 분석모형으로서 Hansen(1985)과 Rogerson(1988)에 의해 개발된 비가분성(indivisible) 노동 모형을 사용하나 노동생산성 면에서의 근로자들의 이질성을 명시적으로 고려함으로써 그들의 모형을 확장하였다. 경제활동인구 조사와 도시가계 조사 데이터로 연결 패널자료를 구성하여 기존 근로자와 근로시간 단축에 의해 새로 고용되는 근로자 두 집단 사이에 존재하는 효율파라미터 값을 추정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장기적인 균제 상태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법정근로시간이 44시간에서 40시간으로 단축될 경우, 추가로 고용되는 근로자는 기존 근로자 생산성의 약 95%이며 고용은 약 4.9%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새로운 균제 상태에서는 이는 법정근로시간의 단축에 따른 경제 전체 근로자의 실(actual) 평균근로시간의 감소와 신규 근로자의 유입에 의한 평균노동생산성 감소로 유효노동량이 2.03% 감소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hours reduction on growth, investment, and consumption as well as employment. We adopt the basic framework of the indivisibility of labor developed by Hansen (1985) and Rogerson (1988) and extend it by allowing heterogeneity of workers in productive efficiency. On the basis of monthly panel data constructed from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s and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s, we estimate the value of productive efficiency parameter of newly hired workers relative to existing workers by considering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unobservable as well as observable worker characteristics. Numerical simulation of steady states demonstrates that reduction of statutory weekly hours from 44 to 40 leads to a rise in employees by 4.9 percent. However, GNP, investment, and consumption are all reduced by 2.03 percent, which is attributed to reduction in the amount of effective labor input, which in turn comes from reduction of actual average hours and productivity differences between exiting and newly hired worke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