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하선 선포세포에서 β-아드레날린계 활성화 후 세포내 Ca2+ 농도 증가에 미치는 옥탄올의 효과

The effect of octanol on the intracellular Ca2+ increase in submandibular acinar cells evoked by β-adrenergic activation

  • 투고 : 2002.05.12
  • 심사 : 2002.06.24
  • 발행 : 2002.06.30

초록

Sprague-Dawley계 흰쥐의 악하선에서 선세포를 분리하여 fura-2/AM(fura-2)으로 염색한 후 spectrofluorometer로 세포내 $Ca^{2+}$농도를 측정하였다. 악하선 세포를 관류장치(perfusion chamber)에 넣고 표준용액을 관류시키면서 isoproterenol($1{\mu}M$)과 octanol(1mM)을 투여한 후 $Ca^{2+}$농도 변화를 측정하였는데 단독 투여시 $Ca^{2+}$농도는 거의 변화하지 않았으나 함께 투여한 경우 세포 내 $Ca^{2+}$농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denylate-cyclase를 활성화 시키는 forskolin($10{\mu}M$)과 octanol을 함께 투여하였을 때도 isoproterenol의 경우와 유사한 증가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볼 때 octanol과 isoproterenol 또는 forskolin이 함께 작용할 때 세포 내 $Ca^{2+}$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a^{2+}$의 증가기전을 확인하고자 표준용액의 $Ca^{2+}$를 제거함은 물론 EGTA를 처리하여 세포외부의 $Ca^{2+}$를 제거한 후 상기한 바와 동일한 실험을 반복한 결과 $Ca^{2+}$농도의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세포 내 $Ca^{2+}$의 증가는 세포 외부로부터의 $Ca^{2+}$유입 때문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Ca^{2+}$의 유입 capacitative entry pathway를 이용하는지 확인코자 gadolinium($10{\mu}M$)을 처리하였을 때 $Ca^{2+}$농도의 증가가 완전히 억제되지는 않았지만 $Ca^{2+}$의 증가속도와 증가량이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들을 정리하면 세포 내 $Ca^{2+}$농도의 증가와 관련 ${\beta}$-아드레날린계 관련 약물과 옥탄올(octanol)을 함께 처리할 경우 세포 내 $Ca^{2+}$는 세포 외부에서 유입되어 증가되고 그 경로는 일부 capacitative entry pathway를 통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concentration of intracellular $Ca^{2+}$ was measured by spectrofluorometer after rat submandibular acinar cells were loaded with fura-2/AM(fura-2). After isoproterenol and octanol were administered while letting submandibular gland acinar cell placed in a perfusion chamber flow through a standard solution, the changes of $Ca^{2+}$ concentration were measured. When they were administered separately, there showed little changes of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 When they were administered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intracellar $Ca^{2+}$ was shown to increase. When forskolin, an adenylate cyclase activater, was administerd together with octanol the response looked similar to the response of isoproterenol. In case of the extracellular $Ca^{2+}$ was removed by omitting $Ca^{2+}$ in standard solution and treating EGTA, isoproterenol and forskolin does not affect to the concentration of intracellular $Ca^{2+}$. Therefore, it was certified that the increase of intracellular $Ca^{2+}$ was caused from outside the cell. In order to know that the $Ca^{2+}$ influx is related with capacitative entry pathway, godolinium, blocker of that pathway was treated. With the result of that experiment there was no complete control of the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intracellular $Ca^{2+}$. However, speed and amount of $Ca^{2+}$ increase was comparatively diminish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