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위생과학회지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제2권2호
- /
- Pages.95-103
- /
- 2002
- /
- 1598-4478(pISSN)
- /
- 2233-7679(eISSN)
치과병·의원 내원환자의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인지도 및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Recogni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Oral Hygiene Devices : with outpatient as the central figure
- 김수경 (동남보건대학 치위생과)
- Kim, Soo-Kyung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Dongnam Health Science College)
- 투고 : 2002.11.13
- 심사 : 2002.12.13
- 발행 : 2002.12.30
초록
서울시민의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인지도 사용방법숙지도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구강위생용품사용을 권장하고 보급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가정에서의 구강건강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할 목적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저자는 임의로 선정한 서울시내 2개의 치과대학병원과 7개의 치과의원에 내원한 환자 347명을 대상으로 면접 설문 조사하였으며, 구강상태별로 구분하여 구강위생용품의 인지도 사용방법숙지도 사용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사용하는 칫솔의 평균두부길이는 22.3mm이었고, 평균사용기간은 2.3개월 이었으며, 수평두부모양의 사용자율은 51.9% 이었고, 불소함유세치제의 사용자율은 46.7%로 조사되었다. 2. 조사대상자의 이쑤시개 사용자율이 다른 구강위생용품의 사용자율보다 높았으며 일반성인군과 교정치료환자군에서는 치실 및 치간칫솔의 사용자율이 이쑤시개의 사용자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3. 교정치료환자의 경우 교정용칫솔의 사용법숙지자율이 25.4%로 사용자율 45.8% 보다 낮게 조사되어 정확한 사용방법의 이해 없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4. 치주질환자, 과민성환자, 인공치아매식환자, 의치장착환자, 구취환자에서 사용하는 특수용도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인지도 및 사용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5.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구강위생용품의 사용율은, 이쑤시개의 사용은 구취환자군에서, 치실의 사용은 치간이개환자군에서, 치간칫솔과 진동칫솔의 사용은 교정치료환자군에서, 양치용액의 사용은 일반성인군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6. 조사대상자들의 최대 관리대상 구강병은 치아우식증 60.3%, 치주질환 24.0%, 부정교합 14.8%, 구강암 0.9%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구강상태별 최대 관리대상 구강병과의 유의도 분석결과, 치간이개 환자(P>0.05)를 제외한 모든 군에서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보조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게 된 동기는 '치과에서 권장해서'라고 응답한 사람이 45.0%로 가장 높았으며, 보조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적절한 구강위생용품을 몰라서'라고 답한 사람이 38.6%, '사용이 불편하고 귀찮아서'라고 답한 사람이 31.3% 이었고, '구입하기 어렵고 비싸서'라고 응답한 사람이 12.0% 이었고, '효과가 없는 것 같아서'라고 응답한 사람이 7.8% 이었으며, '치과에서 권장하지 않아서'라고 응답한 사람이 4.8%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서울시민의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인지도 및 사용율이 매우 낮았으며, 따라서 전 국민을 대상으로 보조구강위생용품의 효과 및 필요성 등에 대한 홍보가 이루어지고, 치과의료기관에서는 구강보건인력들이 환자특성에 따른 적합한 구강위생용품의 선택과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recognition level and practical application status of oral hygiene devices through making a survey of Seoul inhabitants. And survey was implemented in order to propose oral hygiene device for household health care activiti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analyzing personal interviews of 347 commuting patients at two university hospitals and seven dental clinics. 1) The average length of toothbrush head was estimated as 22.3 mm and average changing cycle was 2.3 months. The user ratio of flat-headed brush was estimated as 51.9% and 46.7% were using fluoridated toothpaste. 2) Generally the ratio of toothpick users was higher than other device users. But the user ratio of dental floss was higher than toothpick in case of patients under orthodontic treatment. 3) The patients under orthodontic treatment were not familiar with handling orthodontic toothbrush. Though 45.8% among orthodontic patients recognized this type of toothbrush, only 25.4% of them knew how exactly to use it. 4) It was shown very low user ratio of oral hygiene devices that the patients who had periodontal problem, hypersensitive trouble, halitosis, implant or denture 5) The patients who had halitosis showed the highest user ratio of toothpick. The patients who had separation of teeth showed the highest user ratio of dental floss. The patients who're under orthodontic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user ratio of interproximal brush and motorized brush. 6) In response to the most interesting dental disease, it's surveyed as follows; 60.3% of dental caries, 24.0% of periodontal disease, 14.8% of false occlusion and 0.9% of oral cancer. 7) Regarding the motivation of using those oral hygiene devices, 45% responded that it was because of recommendation by dental clinics. Among the negative answers, 38.6% responded that it was because of no selection guidance. 31.3% answered that they didn't use hygiene device because it's inconvenient. 12.0% answered that it's difficult to buy and expensive. 7.8% responded that they didn't feel significant improvement. 4.8% answered that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didn't even introduce those hygiene devices. Therefore efficient campaign for those hygiene devices over all Korea n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education program must be prepared for each case of patients in every dental hospitals and clin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