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ey on the Hospice Care Needs of Hospice Volunteers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호스피스 케어 요구도 분석

  • Cho, Hyun (Department of Health Care Management, Inje University) ;
  • Kang, Hee-Sook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Jeoung-He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Kuangju Women's University)
  • 조현 (인제대학교 보건행정학부) ;
  • 강희숙 (공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정희 (광주여자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Published : 2002.11.30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eliminary information on the hospice care needs of hospice volunteers. Methods :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those who completed the hospice volunteer education program in three different areas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sample analyzed for this study contained 88 hospice volunteers.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produ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sults :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ample were $40{\sim}49$ aged, middle class, christianity, married women with high school diplomas. They attended at the hospice center with less than 1 year experience. Majority of them had no family members who received a hospice care. The hospice care was strongly required in the field of information, particularly regarding their diseases and treatments. The identified hospice care needs were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angrene in the field of physical needs, the maintenance of closer relationship with their doctors in the field of emotional needs, and the support of supporting medical insurance in the field of socioeconomic needs. The significant predictors were 'having hospice care taker among family members' in the field of the total hospice care needs and physical needs. Two predictable variables were found in the field of emotional needs. However, none were found to be a predictable variable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d socioeconomic needs. Conclusion : The findings or this study have a weekness of generalizability due to the sampling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Thus, further research should be designed in relation to this topic with a probability sampling method.

목적 : 본 연구는 자원봉사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질병 말기 환자에게 호스피스 케어를 제공하는 자원봉사자의 관점에서 본 서비스 요구도를 조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 경상남도, 부산시 및 충청남도 지역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교육 수료자로서 호스피스 케어 제공 경험이 있는 자원봉사자인 연구대상 중 88명이 본 연구를 위한 분석대상으로 사용되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기기입식 설문방식에 의해 조사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version 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및 회귀분석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결과 :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기독교 중류가정의 40대 유배우 고졸 여성으로 가족 중 호스피스 경험이 없는 경력 1년 미만의 호스피스 센터에 소속된 사람이었다. 정보영역에서 호스피스 케어 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사회경제적 영역에서 가장 낮았다. '질병과 치료과정에 대한 정보 제공 필요'에 대한 요구가 정보영역에서, '욕창관리 및 예방'에 대한 요구가 신체적 영역에서, '의료인과 지속적인 관계유지 도와줌'이 정서적 영역에서 그리고 '의료보험 지원 확대를 도와줌'이 사회경제적 영역에 대한 요구도 중 가장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스피스 케어 전체 영역 및 신체적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가족 중 호스피스 경험'이, 정서적 영역에서는 '호스피스 경력'과 '가족 중 호스피스 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변수로 예측되었으나 정보영역 및 사회경제적 영역에서는 어떤 변수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가 편의표본을 사용하여 시행되었기에 본 연구의 결과가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자원봉사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로 일반화되어 사용되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호스피스 센터 별 전수조사 혹은 확률표본추출법에 의해 설계된 본 주제와 관련된 조사연구 및 질적 방법에 의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