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화 평가 척도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Somatization Rating Scale

  • 고경봉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박중규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심리학교실)
  • Koh, Kyung-Bong (Department of Psychiat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 and Brain Korea 21 Project for Medical Sciences, Yonsei University) ;
  • Park, Joong-Kyu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linical Psychology), Inje University Ilsanpaik Hospital)
  • 발행 : 2002.12.15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화 평가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는 데 있다. 방법: 일차로 성인 정상인 109명을 대상으로 신체화 평가 척도 예비설문을 시행하여 40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2차로 이 문항들이 포함된 설문을 정상인 2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이 자료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5개의 하위요인 즉 심장호흡기 및 신경계 반응, 신체적 과민반응, 위장관계 반응, 일반적 신체반응, 비뇨생식기 눈 및 근육계 반응이 추출되었다. 상기 척도의 신뢰도는 정상인 62명에게 2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를 시행, 분석한 결과 5개 하위척도 점수와 척도 전체 점수 간의 상관계수가 .86~.94로 모두 유의한 상관성올 보였다. 한편 내적 일치도는 5 개 하위척도의 Cronbach's ${\alpha}$가 .72~.92, 척도 전체의 Cronbach's ${\alpha}$가 .95이었다. 공존타당도는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GARS) scale,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 (PSQ), 스트레스반응척도 총점, symptom checklist-90-R(SCL-90-R)의 신체화 척도를 비롯한 하위척도와 전체지표 각각의 총점과 본 척도의 5개 하위척도의 점수 및 척도 전체점수 간의 상관성을 각각 비교한 결과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별타당도는 환자군 242명(불안장애 71 명, 우울장애 73명, 신체형장애 47명, 정신신체장애 51명)과 정상군 215명 간에 척도의 총점과 하위척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5개 하위척도 점수와 총점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각 장애군이 정상군보다 척도 전체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으나, 우울장애군만이 하위척도 점수 및 척도 전체점수 모두에서 정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신체적 과민반응에서는 우울장애군만이 정상군보다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고 일반적 신체반응에서는 우울장애 및 신체형장애군만이 정상군 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대상자들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척도 전체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들은 신체화 평가 척도가 신뢰도 및 타당도가 모두 유의한 수준으로 스트레스 및 신체화에 관련된 분야의 연구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도구임을 시사해 준다 또한 우울장애 및 신체형장애군이 불안장애 및 정신신체장애군에 비해 더 광범위한 신체화 경향을 보임을 시사해 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omatization rating scale (SRS), and then to use the scale in clinical pracitice. Methods: First,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or 109 healthy adults to obtain 40 response items. Second,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15 healthy subjects. Third, a comparison was made regarding somatization responses among 242 patients (71 with anxiety disorder. 73 with depressive disorder, 47 with somatoform disorder, and 51 with psychosomatic disorder) and 215 healthy subjects. Results : Factor analysis yielded 5 subscales : cardiorespiratory and nervous responses, somatic sensitivity, gastrointestinal responses, general somatic responses, genitourinary, eye and muscular responses. Reliability was computed by administering the SRS to 62 healthy subjects during a 2-week interval. Test-retest reliability for 5 subscales and the total score was significantly high, ranging between .86-.94. Internal consistency was computed, and Cronbach's ${\alpha}$ for 5 subscales ranged between .72-.92, and .95 for the total score. Convergent validity was computed by correlating the 5 subscales and the total score with the total score of the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GARS) scale, the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 (PSQ), and the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The correlations were all at significant levels. Discriminant validity was computed by comparing the total score and the 5 subscale scores of the patient and control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5 subscales and the total score. Only the depressive disorder group was sigi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in all the subscale scores and total scores of SRS among 4 patient groups. In somatic sensitivity, only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rmal controls, whereas in general somatic subscale, depressive disorder and somatoform disorder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rmal controls. In total scores of the SRS, femal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s.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RS is highly reliable and valid, and that it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measure for research in stress- and somatization-related fields. The depressive disorder and somatoform disorder groups showed more widespread somatization than the anxiety and psychosomatic disorder group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