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for Delayed Diagnosis of Acute Appendicitis in Children

소아 급성 충수돌기염 진단에 지연을 일으키는 요인에 관한 연구

  • Han, Myung-Ki (Department of Pediatrics, Gangneung Asan Hospital,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Kyoung-Soo (Department of Pediatrics, Gangneung Asan Hospital,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Yu-In (Department of Pediatrics, Gangneung Asan Hospital,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eong-Ho (Department of Pediatrics, Gangneung Asan Hospital,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Jung-Joo (Department of Pediatrics, Gangneung Asan Hospital,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Bong-Seong (Department of Pediatrics, Gangneung Asan Hospital,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ang, Hye-Young (Yonsei Pediatric Clinic)
  • 한명기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강릉아산병원 소아과) ;
  • 김경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강릉아산병원 소아과) ;
  • 박유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강릉아산병원 소아과) ;
  • 김정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강릉아산병원 소아과) ;
  • 이정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강릉아산병원 소아과) ;
  • 김봉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강릉아산병원 소아과) ;
  • 강혜영 (연세 소아과)
  • Received : 2002.08.13
  • Accepted : 2002.08.31
  • Published : 2002.09.30

Abstract

Purpose: We designed this retrospective study to establish the incidence of diagnosic delay in children diagnosed with acute appendicitis and to identify associated factors with delayed diagnosis and its impact on the clinical course. Methods: All cases of children under 15 years of age who underwent appendectomy from 1996 to 2001 at Gangneung Asan Hospital were reviewed. We reviewed signs and symptoms, type of health professional first contacted, the advice given by the health professional and a history of appendicitis in first degree relatives. Diagnostic period is the time elapsed between first complaints and definitive diagnosis. Delay was defined as diagnostic period exceeded the 48 hours. Postoperative course and complications were also reviewed. Results: Incidence of diagnostic delay differed by whether diarrhea and fecalith on X-ray were present. Also children whose parents were advised to observe them at home were more likely to have a diagnostic delay. In almost half of the cases in delayed group, initial diagnosis was not acute appendicitis but gastroenteritis. The perforation rate in non-delayed group was 22%, whereas 87% in delayed group. The delayed group showed a higher number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 and a longer hospitalization period. Conclusions: Diarrhea with abdominal pain and fever in children should not be dismissed as gastroenteritis, respiratory infections or other common disorders. Our study suggests that physicians have a responsibility to prevent diagnostic delay and resultant perforation of acute appendicitis in children by having a high index of suspicion about acute appendicitis.

목 적: 급성 충수돌기염은 소아 환자에게 가장 흔한 외과적인 응급질환이며 최근의 그 발생 빈도가 감소된다는 보고에도 붙구하고 급성 충수돌기염의 천공으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은 호전되고 있지 않고 있다. 소아 환아에서는 과거력과 진찰 소견이 매우 다양하고 비전형적인 경우가 흔해 급성 충수돌기염의 진단은 자주 지연될 수 있고 천공과 복막염, 복강 내 농양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여 임상 경과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저자들은 후향적으로 급성 충수돌기염으로 진단 받은 환아를 대상으로 진단 지연의 발생과 진단 지연을 초래한 요인, 진단 지연이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6년 8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강릉 아산병원에서 급성 충수돌기염으로 진단되어 급성 충수돌기 제거술을 시행 받은 76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조사하였으며, 통상 증상을 호소한지 48시간 이상 경과되어 진단이 이루어진 경우를 진단 지연이라고 하고, 48시간 이내 진단이 이루어진 군,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 조사를 하였다. 대상 환아에 대해서 나이, 성별, 진단까지의 시간, 초기 증상, 최초 환자를 검진한 의사의 진료분야, 입원경로, 최초 진단명, 방사선 검사의 효용성, 합병증 유무, 입원 기간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본 연구에서는 설사 증상과 복부 X선 검사 상 분변 박힘 (fecalith impaction) 의 존재 여부가 진단 지연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처음 접한 의료진에 의해 집에 귀가하여 관찰한 소아에게서 진단 지연이 많았다. 진단 지연군의 절반이상에서, 초기 진단은 급성 충수돌기염이 아닌 위장관염이었다. 진단 지연군에서의 천공률은 87%로 그렇지 않은 군의 22%보다 높았다. 또한 진단지연군에서 더 많은 수술 합병증 발생과 입원 기간을 보였다. 결 론: 비특이적인 증상을 동반하며 복통을 호소하는 소아과 환자를 위장관염, 감기 등 흔한 질환으로 간단히 진단해선 안되며, 급성 충수돌기염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자세한 병력 청취와 철저한 진찰을 시행하여 급성 충수돌기염의 조기 진단에 노력을 해야 하며, 진단이 부정확한 경우 입원을 권고하고, 조기에 외과적인 의뢰를 시행함과 더불어 복부 초음파 검사, 귀가 후 추적 진찰을 조기에 함으로써 진단의 지연을 줄일 수 있다고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