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ethod of GIS Standard Development through Profiling

프로파일링에 의한 지리정보표준 개발방법 연구

  • Park, Jong-Min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hips & Ocean Engineering, KORDI) ;
  • Oh, Se-Woong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hips & Ocean Engineering, KORDI) ;
  • Suh, Sang-Hyun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hips & Ocean Engineering, KORDI)
  • 박종민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 ;
  • 오세웅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 ;
  • 서상현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
  • Received : 2002.10.17
  • Accepted : 2002.11.17
  • Published : 2002.12.31

Abstract

In order to establish and promote geographic information activities in controled environment maximizing interoperability and the degree of reusability of geographic information resources scattered in distributed platforms, standardization is recognized as one of the basic solutions essentially being performed at the community level, where intends to align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This paper describes some technical aspects of standardization needed to build a systematic mechanism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tandards development, giving approach to conceptual analysis especially directed by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Following some enumerated benefits for profile based national standard architecture and the brief review from canadian approach we suggest herein a overview of national and community level standardization framework, which identify its primary elements consisting of common basis for standard development mechanism based on profiles.

정부와 공공업무에 사용되는 정보의 대부분은 지리정보와 직간접적으로 관련 있으며 따라서, 효율적인 지리정보의 활용과 신뢰성 있는 정보서비스제공을 위해 체계적인 표준의 개발이 가장 근본적이며 시급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1995년 이후 추진해 온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표준화부분을 수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표준과 지침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단위사업의 필요에 의한 표준개발과 일관된 표준개발 체계의 부재로 인해 상호호환성과 재사용 등을 통한 중복투자 방지의 근본적인 목적달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제표준화기구인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를 기반으로 하여 캐나다 등에서 이미 추진중인 프로파일(profile)을 통한 선진 외국의 표준화 상황을 분석하고, 국가표준개발과정에 적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표준화 메카니즘을 도입함으로서 국제표준 및 범용표준에 기반 한 국가표준개발 체계를 확립할 수 있으며, 다양한 표준들을 일관된 체계 하에서 개발하여 궁극적으로는 지리정보 및 서비스에 대한 접근과 상호 운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