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sons from the Application of GIS for Local Government - Some Examples from Korea and Australia -

지방자치단체에서의 GIS 활용에 대한 제언 - 한국과 호주에서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 Peterson, Jim (School of Geography and Environmental Science, Monash University) ;
  • Kim, Chang Hwan (Department of Geographic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Yoo, Jae Yong (School of Geography and Environmental Science, Monash University)
  • 짐 피터슨 (호주 모나시대학교 지리.환경과학부) ;
  • 김창환 (강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 유재용 (호주 모나시대학교 지리.환경과학부)
  • Received : 2002.09.08
  • Accepted : 2002.09.22
  • Published : 2002.09.30

Abstract

Public policy responses to the digital/information revolution and the micro-economic reforms that it facilitates have inspired exploration of the scope for local government implementation of digital spatial data handling(DSDH) of information relating to, among other things, asset inventory, environmental and utility management, address management, and planning. The results from these explorations are such that few doubt the value of bringing the public policies to practice, but diffusion rate and pattern of the approaches demonstrated by the scoping experiments will reflect institutional/cultural matters, indicators of the relative significance of which might be at least partly predicted from appraisal of case studies. This argument is exemplified by reference to case studies in adoption of DSDH by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s in Korea and in Australia.

디지털/정보 혁명과 지역경제개혁(micro-economic reforms)을 바탕으로 한 공공정책의 성과는 자산, 환경, 시설물, 주소관리 및 도시계획 등과 관련된 공간정보의 수치공간자료처리(digital spatial data handling, DSDH)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적용 가능성 타진을 위한 노력을 촉진시켰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는 지방정부가 DSDH와 관련된 공공정책을 수행할 수 있는 충분한 근거 및 가치를 부여한다. 그러나 실험연구에 의해 나타난 접근방식과 확산율은 지역의 제도적 문화적 여건 즉, 지리적 다양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의 지리적 다양성은 지방자치단체가 수치공간자료처리의 채택 유무를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들의 중요성은 부분적으로 사례연구의 평가를 통해서 예견할 수 있다. 이러한 결론은 한국과 호주 지방자치단체의 DSDH 적용에 관한 연구 사례를 참조함으로써 도출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