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itoring of Atmospheric Aerosol using GMS-5 Satellite Remote Sensing Data

GMS-5 인공위성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대기 에어러솔 모니터링

  • Lee, Kwon Ho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 Engineering, Kwangju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
  • Kim, Jeong Eun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 Engineering, Kwangju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
  • Kim, Young Jun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 Engineering, Kwangju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
  • Suh, Aesuk (Remote Sensing Laboratory,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
  • Ahn, Myung Hwan (Remote Sensing Laboratory,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 이권호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환경모니터링 신기술 연구센터) ;
  • 김정은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환경모니터링 신기술 연구센터) ;
  • 김영준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환경모니터링 신기술 연구센터) ;
  • 서애숙 (기상연구소 원격탐사연구실) ;
  • 안명환 (기상연구소 원격탐사연구실)
  • Received : 2002.03.16
  • Accepted : 2002.06.22
  • Published : 2002.06.30

Abstract

Atmospheric aerosols interact with sunlight and affect the global radiation balance that can cause climate change through direct and indirect radiative forcing. Because of the spatial and temporal uncertainty of aerosols in atmosphere, aerosol characteristics are not considered through GCMs (General Circulation Model). Therefor it is important phys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should be evaluated to assess climate change and radiative effect by atmospheric aerosols. In this study GMS-5 satellite data and surface measure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a radiative transfer model for the Yellow Sand event of April 7~8, 2000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tmospheric radiative effects of Yellow Sand aerosols, MODTRAN3 simulation results enable to inform the relation between satellite channel albedo and aerosol optical thickness(AOT). From this relation AOT was retreived from GMS-5 visible channel. The variance observations of satellite images enable remote sensing of the Yellow Sand particles. Back trajectory analysis was performed to track the air mass from the Gobi desert passing through Korean peninsular with high AOT value measured by ground based measurement. The comparison GMS-5 AOT to ground measured RSR aerosol optical depth(AOD) show that for Yellow Sand aerosols, the albedo measured over ocean surfaces can be used to obtain the aerosol optical thickness using appropriate aerosol model within an error of about 10%. In addition, LIDAR network measurements and backward trajectory model showed characteristics and appearance of Yellow Sand during Yellow Sand events. These data will be good supporting for monitoring of Yellow Sand aerosols.

대기중의 에어러솔은 지구복사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며 직 간접적인 복사강제효과로 인하여 기후변화인자로 간주되고 있다. 대기 에어러솔은 대기중 체류시간의 시 공간적 불확실성 때문에 GCM 등의 변수로 사용하기 어려운 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기 에어러솔의 기후 및 대기복사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대기 에어러솔의 물리 광학적 성질을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시영역에서의 대기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기복사전달 모델인 MODTRAN 3 (Moderate Resolution Transmittance)의 모사결과와 GMS-5 위성의 가시영역 채널을 이용하여 황사 에어로졸의 모니터링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황사사례를 중심으로 대기 에어러솔에 의한 대기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한 GMS-5 위성자료와 이를 시뮬레이션 하기 위한 MODTRAN 3 대기복사전달모델을 사용하였다. MODTRAN 3 시뮬레이션 결과로 위성의 채널 알베도와 에어러솔 광학 두께와의 관계를 계산하여 위성자료에서 에어러솔 광학두께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였다. 후진궤적분석을 통하여 황사를 포함한 공기덩어리가 고비사막으로부터 중국을 거쳐 한반도에 도달하는 것과 이때 에어러솔 광학두께가 증가하는 현상을 지상관측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성영상에서 보이는 황사영역은 황사의 이동 현상을 시간대별로 잘 나타나고 있고, 지상관측결과의 비교분석은 10% 내의 오차율을 가지는 범위 안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더욱이 같은 황사현상이 발생한 시간대에 한국, 중국과 일본에서 측정된 라이다 관측결과와 모델결과 자료는 황사 에어로졸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으므로 향후 대기에어로졸의 모니터링에 대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과학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