득량만 저서다모류군집의 공간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ies in Deugr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발행 : 2002.02.28

초록

본 연구는 남해안에 위치한 반폐쇄적인 득량만에서 저서다모류 군집분포를 파악하고 과거에 조사한 결과와 비교하면서 변화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득량만은 1996년과 1997년에 걸쳐 총 98개 정점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표층 퇴적상은 clayey silt상으로 나타났다. 전체 저서동물의 평균서식밀도는 871 ind./m$^{2}$이었다. 만 중앙역에서의 서식밀도는 종밋(musculus senhousia)과 쿠마류가 몇몇 정점에서 극우점으로 분포하였기 때문에 가장 높았다. 저서다모류의 출현종수는 100종으로 출현하였고, 서식밀도는 138 ind./m$^{2}$으로 나타났으며, 만 북단과 만 중앙역의 일부 정점, 그리고 만 입구역에서의 분포가 높았으나, 전반적으로 빈약한 군집을 형성하고 있었다. 1.0% 이상 우점한 종은 총 21종으로 전체 다모류중 78.3%를 차지하였다. 이 중 Lumbrineris longifolia(9.3%)가 가장 우점하였으며, Eteone longa(7.3%), Heteromastus filiformis (7.1%), Sternaspis scutata(6.1%)의 순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을 기초한 집괴분석을 수행한 결과, 크게 3개의 정점군으로 대별되었다. 내만역과 천해연안역을 포함한 정점군 AI은 만북단역과 천해지역으로, 가장 우점한 종은 Heteromastus filiformis이었다. 정점군 AII는 만 입구역과 몇몇 수로지역으로 Lumbrineris longifolia와 Eteone longa가 가장 우점하였다. 그리고 정점군 B는 내만역과 수로지역이 맞닿는 지역으로 Sternaspis scutata가 가장 우점하였다. 과거의 연구와 비교해 보면, 저서다모류군집은 출현종수, 서식밀도와 우점종에 있어서 큰 변화를 보였다. 과거의 조사결과에서는 우점종이 Sternaspis scutata와 Eteone longa이었으나, 본 조사에서는 이 종들의 서식밀도가 감소하였다. 반면에 잠재적 유기물 오염 지시종으로 알려진 Lumbrineris longifolia와 Heteromastus filiformis가 서식밀도는 낮지만 새롭게 우점종으로 대두하였다. 이러한 사실들로 볼 때, 득량만은 한국의 다른 만들과는 달리 아직까지 오염이 덜한 해역인 것으로 사료되나, 환경관리에 주의를 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ies in Deugryang Bay, semi-enclosed bay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to deduce temporal changes in community with the comparison of the past studies. In Deugryang Bay,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structure was investigated on the base of the samples from 98 stations in 1996 and 1997. The main facies of surface sediment was clayey silt. The overall benthic macrofaunal density was 871 ind./m$^{2}$. The density was highest in the middle part of the bay because Musculus senhousia (Bivalvia) and cumaceans (Crustacea) had their highest densities in some stations. Benthic polychaetes were comprised of 100 species with a mean density of 138 ind./m$^{2}$. Their abundances were higher in the inner bay, in the middle bay, and in the mouth of bay, but poor community structures were established in the whole bay. The dominant species over 1.0 percentage were composed of the total 21 species, and they occupied 78.3% of the total abundance of the benthic polychaetes.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Lumbrineris longifolia (9.3%), followed by Eteone longa (7.3%), Heteromastus filifomis (7.1%), Sternaspis scutata (6.1%). From the cluster analysis, the study area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tion groups. Station group AI was located in the inner bay and in the shallow coastal region, and its most dominant species was Heteromastus filiformis. At the station group AII in the mouth of bay and in some channel region, its most dominant species were Lumbrineris longifolia and Eteone longa. And at the station group B located in middle part of the bay, the most dominant specis was Sternaspis scutata. In comparison with previous studies, the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experienced great change in the view of species number, density and dominant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were Sternaspis scutata and Eteone longa, but their densities declined greatly. Instead of these species, Lumbrineris longifolia and Heteromastus filiformis, known as the potential organic enrichment indicator species, appeared to the new dominant species even if their low densities. These facts mean that Deugryang Bay was maintained yet as little organic enriched area compared to other bays on the coast of Korea, but needed some caution of marine environmental manage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해양학회지 v.29 no.3 득량만의 퇴적물 및 부유물 특성 공영세;이병걸
  2. 한국수산학회지 v.28 no.1 1992-93년 하계 득량만의 수온과 염분의 분포 김상우;조규대;노홍길;이재철;김상현;신상일
  3. 한국해양학회지 v.30 no.4 가막만의 저서다모류군집 신현출
  4. 한국해양학회지 v.27 no.2 경기만 남부 해역의 저서다모류군집 신현출;강성길;고철환
  5. 한국해양학회지 v.25 no.4 광양만 다모류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신현출;고철환
  6. 한국해양학회지 v.28 no.4 삼천포시 근해역의 다모류군집 신현출;고철환
  7. 한국해양학호지-바다 v.3 no.4 12월 경기만 북부해역에서의 저서다모류 군집 신현출;고철환
  8. 한국해양학회지-바다 v.6 no.3 울산만과 온산만 저서동물군집의 공간분포 신현출;윤성명;고철환
  9. 한국해양학회지 v.27 no.1 영일만 다모류 군집의 계절별, 공간적 변화 신현출;최성순;고철환
  10. 한국수산학회지 v.28 no.1 1992년 하계득량만 서부해역의 조류 특성 이재철;노홍길;조규대;신상일;김상우;김상현
  11. 해양연구 v.13 no.2 여자만에서의 여름철 저서동물의 분포 임현식;제종길;최진우;이재학
  12. 한국수산학회지 v.25 no.2 진해만 양식장 밀집해역의 저서동물 분포 임현식;최진우;제종길;이재학
  13. 한국수산학회지 v.30 no.5 광양제철소 건설을 위한 매립과 준설공사 기간중 저서 다모류군집의 공간 및 계절 변화 정래홍;홍재상;이재학
  14. 한국수산학회지 v.27 no.4 득량만의 해수유동에 관한 수치 실험 I. M₂조에 의한 해수 유동 정은진;홍철훈;이병걸;조규대
  15. 한국수산학회지 v.7 no.4 득량만의 피조개 자원량 추정을 위한 예비조사 최규정
  16. 환경관리해역 시범해역관리 시행계획 수립연구 해양수산부
  17. J. Mar. Biol v.32 Animal-sediment relations in tropical lagoon, Discovery Bay, Jamaica Aller, R.C.;R.E. Dodge
  18. J. Oceanol. Soc. Korea v.19 no.2 A study on the polychaete community in Kwangyang Bay, south coast of Korea Choi, J.W.;C.H. Koh
  19. Science v.143 Marine sediments: Effects of a tube-building polychaete Fager, Z.W. https://doi.org/10.1126/science.143.3604.356
  20. J. Sed. Pet v.27 no.1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 Folk, R.L.;W.C. Ward https://doi.org/10.1306/74D70646-2B21-11D7-8648000102C1865D
  21. J. Oceanol. Soc. Korea v.18 Effects of the pollutin on the benthic macrofauna in Masan Bay, Korea Hong, J.S.;J.H. Lee
  22.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Sieve analysis Ingram, R.L.;R.E. Carver
  23. BSPI 00025-49-3. Marine ecological studies for bibong nuclear power plant site KORDI
  24. J. Oceanol. Soc. Korea v.18 no.2 Studies on the benthic fauna in Garolim Bay of Korea Lee, J.H.;J.S. Hong;S.K. Yi
  25. J. Korean Fish. Soc v.28 no.5 Marobenthic fauna of Deukryang Bay, Korea Ma, C.W.;S.Y. Hong;H.S. Lim
  26. Gen. Syst. v.3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Margalef, R.
  27. Ecology v.49 Structure and function in California grassland MaNaughton, S.J. https://doi.org/10.2307/1936547
  28. J. theoret. Biol v.13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 Pielou, E.C. https://doi.org/10.1016/0022-5193(66)90013-0
  29. J. Mar. Res. v.28 no.2 The influence of deposit feeding organisms on sediment stability and communicty structure Rhoads, D.C.;D.K. Young
  30. Oceanogr v.3 no.3 Benthic studies in Buzzards Bay. I. Animal sediment relationships Sanders, H.L https://doi.org/10.4319/lo.1958.3.3.0245
  31.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Shannon, C.E.;W. Weaver
  32. J. Oceanol. Soc. Korea v.24 no.4 Faunal assemblages of benthic macrofauna in the inter-and subtidal region of the inner K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Shin, H.C.;J.W. Choi;C.H. Koh
  33. Bull. KORDI v.4 A study on the subtidal benthic community in Ulsan Bay, Korea Yi, S.K.;J.S. Hong;J.H.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