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rch width of the hyperdivergent group with that of the neutral group in Class III malocclusion based on the vertical patterns and to compare the arch width of Class III neutral group With that of normal occlusion group based on sagittal patterns. The subjects consisted of 118 pairs of studty casts, divided into three groups , 37 Class III hyperdivergent group(18 males and 19 females, SN-Mn plane angle>39.5$^{\circ}$), 40 Class III neutral group(20 males and 20 females, SN-Mn plane angle : 32 ${\pm}$ 2.5$^{\circ}$) and 41 Class I normal occlusion group(20 males and 21 females). The intercanine, interpremolar, and intermolar width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study casts were measured, then the ratios of dental width to basal width and mandibular width to maxillary width were obtained. Basal arch width and dental arch width were measured to obtain the pure basal arch relation in transverse plane as ruled out the transverse dental compens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ratios between Class III hyperdivergent group and Class III neutral group as different vertical pattern. 2. As the ratios of dental arch width to basal arch width between normal occlusion group and Class III neutral group were compared, the maxillary teeth flared buccally to the basal bone, and the mandibular teeth tilted lingually to the basal bone in Class III neutral group. 3. The ratios of mandibular arch width to maxillary arch width in basal arch leve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regions. Maxillary basal arch width of Class III neutral group was narrower than that of normal occlusion group. 4. The ratios of mandibular arch width to maxillary arch width in teeth leve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normal occlusion group and Class III neutral group. In spite of discrepancies of maxillary and mandibular basal arch width, the dental arch width of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compensated very well. At the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in clinic, it would not be desirable to decompensate for compensated dental arch width too much, for obtaining an appropriate arch compatibility and good results for orthognathic surgery.
본 연구는 전후방적인 부조화가 폭경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 I급 정상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을 비교하였고, III급 부정교합군내에서 수직적인 부조화가 폭경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 Hyperdivergent군과 Neutral군으로 나누어 폭경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부산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한 골격성 III급(ANB< 0$^{\circ}$) 부정교합자 중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상에서 하악 평면각(SN-Mandibular plane; 정상인의 평균 32 ${\pm}$ 5$^{\circ}$)이 1.5 SD이상(39.5$^{\circ}$이상)인 환자 37명 (남자 18명, 여자 19명 )을 hyperdivergent군(Group B)으로, 하악 평면각이 정상치의 0.5 SD이내인(32 ${\pm}$ 2.5$^{\circ}$) 40명 (남자 20명, 여자 20명)을 neutral군(Group C)으로 분류하였고 11개의 치과대학 교정과에서 선별한 정상교합과 정상적인 안모를 가진 성인 24) 중 41명(남자 20명, 여자 21명)을 정상교합군(Group A)으로 하여 이 세 군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군내에서 수직적인 양상에 따른 폭경 비율은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2. 정상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의 상, 하악 기저골에 대한 치아간 폭경 비율의 비교에서 상악에서는 III급 부정교합군의 비율이 더 컸고(p<0.001), 하악에서는 제 1대구치 부분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III급 부정교합군의 비율이 작아서(p<0.001) III급 부정교합군이 정상교합군에 비해 기저골에 대해 상악 치아가 더 협측으로 경사되고, 제1대구치를 제외하고 기저골에 대해 하악 치아가 설측 경사되어 횡적인 치성보상이 잘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3. 정상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의 상악에 대한 하악의 치아간 폭경 비율의 비교에서 모든 부분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4. 정상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의 상악에 대한 하악의 기저골 폭경 비율의 비교에서 모든 부위에서 III급 부정교합군이 정상교합군보다 더 커서(p<0.0001) III급 부정교합군의 상악 기저골 폭경이 하악보다 더 좁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