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s in Daegu Viewing from Public Service Facilities

도시공공서비스 측면에서의 대구시 고등학교 분포특성

  • 우종현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Published : 2002.09.30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acts of regional inequality and to suggest the desirable loc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its related polici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s in Daegu viewing from public service facil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of 2000 year, there are 76 high schools in operation in Daegu. The number of private high schools is more than that of national public ones in terms of their founders, and the number of general high schools outnumbers that of vocational high schools by their operational types. As a whole, the distribution of schools in Daegu is closely related to the population distribution(redistribution). In case of high schools, it shows that there is severe unevenness between demand and supply of educational facilities per district. The regional inequality of school facilities is getting worse by transfer and new establishment; inter-district transfer is mainly caused by the redistribution of population while intra-district transfer is accelerated by the pressure on better use of land. Recently there is a tendency that schools are newly established by public sector(national public schools) rather than by private sector(private schools). And the predilection or avoidance of a certain area in the process of choosing the site for transfer or new establishment of schools lead to inequality of education opportunities per district. In conclusion, the educational facilities should firstly be placed in the practice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in terms of public welfare as well as the convenience of residents and regional inequality. Consequently, both construction of new high schools and the relocation of existing high schools have to be further activated. To achieve them, the role of public actions is particularly more important than that of private ones.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고등학교 분포 특성을 구(區)별로 고찰하여 공간 불균등 실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 및 장래의 교육시설 입지와 관련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교육시설의 지역간 질적인 차이는 고려하지 않았고 다만 양적 측면의 분석이다. 2000년 말 현재 대구시에는 76개의 고등학교가 운영중인데 설립 주체에 따라서는 국 공립 고등학교보다 사립 고등학교가, 운영 유형에 따라서는 실업계보다 일반계 고등학교가 수적으로 우세하다. 전체적으로 대구시의 학교시설 분포는 인구분포(재분포)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데, 고등학교 교육시설의 수요와 중급간에 구별로 심한 불균형을 나타내고 있다. 학교시설의 지역불균등은 인구이동과 더불어 학교의 이전과 신설에 의해 그 정도가 심화되어 진다. 학교 미전의 경우 구간(區間) 이전은 도시 기능과 인구재분포가 주원인이며, 구내(區內)이동은 토지이용에 대한 민간부문의 개발압력이 학교의 이전을 촉진시키고 있다. 학교의 신설은 최근으로 올수록 민간부문(사립학교)보다 공공부문(국 공립학교)에 의해 공급되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학교의 이전 혹은 신설 대상지의 선정과 과정에서 특정지역을 선호하거나 기피하게 되고 결국은 이것이 교육기회의 공간불균등을 초래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교육시설은 공공서비스 중에서도 주민복지의 증진이라는 최종목표는 물론이고 이용자의 편리성을 고려한 사회적 형평성이 중요한 실천목표가 되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볼 때 학교 시설의 신설과 재분포는 더욱 활성화되어야 하며 특히 민간부문보다는 공공부문의 역할이 중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