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GC/MS with the Thermal Desorber and Characterization of the Major Components Attributing to Malodor -An Analytical Example of the Odor Emitted from the Compost of Food Waste-

흡착 열탈착 장치와 GC/MS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분석과 악취원인 성분의 예측 - 음식물 퇴비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분석의 예 -

  • Yu, Mee-Seon (School of Biological & Chemistry, University of Ulsan) ;
  • Yang, Sung-Bong (School of Biological & Chemistry, University of Ulsan) ;
  • Ahn, Jeong-Soo (School of Biological & Chemistry, University of Ulsan)
  • 유미선 (울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생명과학부) ;
  • 양성봉 (울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생명과학부) ;
  • 안정수 (울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생명과학부)
  • Received : 2001.11.09
  • Published : 2002.02.25

Abstract

The simultaneous analysis of the odorous compounds designated by law in Korea and Japan was examined with the thermal desorber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using one column. The approximate concentrations of trimethyl amine, acetaldehyde, methyl mercaptan and dimethyl sulfide were estimated. Styrene, dimethyl disulfide, propionaldehyde, n-butyl aldehyde, i-butyl aldehyde, n-valeraldehyde, i-valeraldehyde, ethyl acetate, toluene, xylene, methyl i-butyl ketone and i-butanol were detected at concentrations of the detection limits of their threshold values. As a typical example of simultaneous analysis of the odorous compounds,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from compost procedure of food waste were concentrated and analyzed with thermal desorber/GC/MSD, and major malodorous compounds were estimated from the concentrations and threshold values of the detected components. From the result of analysis, 34 compounds were confirmed and among them, trimethyl amine, i-valeraldehyde, methyl mercaptan, methyl allyl sulfide, dimethyl sulfide, acetaldehyde, ethanol, n-butyaldehyde were expected to attribute to the odor in order of strength.

흡착/열탈착/GC/MS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의 법정 악취성분을 한 컬럼으로 동시분석이 가능한가를 검토하였다. 트리메틸아민, 아세트알데히드, 메틸메르캅탄, 이메틸황 은 대략적인 농도를 추정할 수 있었으며, 스티렌, 이황화메틸, 이황화이메틸 그리고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i-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i-발레르알데히드, 아세트산에틸, 톨로엔, 자일렌, 메틸이소부틸케톤, 이소부탄올에 대해서는 최소감지농도까지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악취성분의 동시 분석 예로서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성분을 농축시켜 흡착/열탈착/GC/MSD에 의해 분석하고 각 성분의 농도와 최소 냄새감지 농도로부터 악취원인 성분을 예측하였다. 분석결과 34가지 물질에 대해 확인하였고, 이 중 트리메틸아민, 이소발레르알데히드, 메틸메르캅탄, 메틸알리황, 이메틸황, 아세트알데히드, 에탄올, n-부틸알데히드의 순으로 악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환경부령 제86 호 대기보전법 시행규칙 제12조 별표 8의 3 악취배출허용기준 환경부
  2. 한국대기환경학회지 v.16 no.1 양성봉;김석만
  3. 대기오염공정시험방법, 악취편 환경부
  4. Handbook 악취방지법, 특정악취물질의 측정방법 악취법령연구회;일본 환경청 대기보전국 대기생활환경실(감수)
  5. 환경부령 제86호 대기보전법 시행규칙 제64조 별표 18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억제.방지시설설치에 관한 기준 등 환경부
  6. EPA Method TO-1
  7. EPA Method TO-2
  8. 한국대기환경학회지 v.15 no.4 전선주;허귀석
  9. 한국대기환경학회지 v.15 no.5 나광삼;김용표;문길주
  10. 한국대기환경학회지 v.17 no.2 이영재(외)
  11. J. Odor Research and E v.29 no.5 M. Tokugara(et al)
  12. J. Odor Research and Eng. v.29 no.5 F. Nametani(et al)
  13. J. Odor Research and Eng. v.28 no.5 N. Saito(et al)
  14. 악취방지기술 Manual 공해대책기술동우회
  15. 대기오염방지기기 신호나경관리 설비사전편집위원회
  16. Data Sheet of Flek Sampler- Specifications and pPysical Features OMI Ltd.
  17.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울산지역 대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관측 김석만
  18. 악취방지기술 Manual(Ⅱ) 공해대책기술동우회
  19. 일본환경위생센터 연구소 보 v.17 水田;竹內
  20. 후각과 냄새물질 川崎通昭;掘內 哲嗣郎(공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