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the Number of Applicants and Mean Score and Applicants' Responses on the Test Items of 'Science Inquiry' of the CSAT

대학수학능력시험 '과학 탐구'의 응시자 수와 평균 점수 변화 및 문항에 대한 학생 반응

  • Published : 2002.06.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nds in the number of applicants and mean score and applicants' responses on the test items of 'science inquiry'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implemented for 3 years$(1999\;{\sim}2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percentage of applicants of science track for 1995 CSAT were 43.13%, but reduced to 29.5% for 2001 CSAT. And unlike other tracks, the percentage of male applicants, ranking above average, of science track was 65.58%, which is about twofold of female applicants(34.42%). The mean score of 'Science inquiry' was 58.6 in 1999, and 69.5 in 2001. And the score of the applicants, ranking above average, of humanity and social science course and science course, were 85.8 and 90.7 respectfully in 2001 CSAT. These high mean scores were caused by the policy of "easy CSAT" so called. Most of test items were developed to have difficulty 60-79% or above 80%. This easy CSAT provoked intense dispute about the discriminating power of CSAT. The mean score of male applicant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But the difference decreases every year. Applicants were generally very good at solving tests focusing on process skills only but poor at solving tests related to physics or calling for two or more science concepts. Thus special measures to cope with the decrease in applicants, especially female applicants, for science track should be provided. To increase discriminating power of CSAT,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test items with wider range of difficulty and to reduce test items which are focussing process skills and can be solved without any special science concepts. And specia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eaching the content area with poor achievement and high actual difficulty compared to the expected.

본 연구에서는 제6차 교육과정에 따른 1999-2001학년도의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응시자 변화 추이, 성별 평균 점수, 공통과학 관련 문항에 대한 학생 반응을 분석하여 문항 출제 및 공통과학 교수-학습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연계열 응시자가 1995학년도에 는 전체의 43.14%이었으나 2001학년도에는 29.51%로 급격히 감소하고 있으며, 다른 계열과 달리 상위 50%의 경우 2001학년도에는 남자가 65.58%로 34.42%인 여자의 거의 두 배나 된다. 과학 탐구는 1999학년도 58.6점에서 2001학년도에는 69.5점으로 점점 쉬워지고 있으며, 실제로 2001학년도의 경우 주로 대학에 진학하게 될 상위 50%의 응시자의 평균은 인문계 85.8, 자연계 90.7점이다. 또한 정답률 60-79% 및 80% 이상에 대부분의 문항이 분포함으로써 상위 학생에 대한 변별력이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남자의 점수가 여자보다 높았으나 매년 그 차가 감소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과학개념을 요구하지 않는 탐구 과정에 초점을 둔 문항의 정답률은 상당히 높은 반면에, 물리 영역이나 복합 개념을 필요로 하는 문항의 정답률은 비교적 낮다. 따라서 자연계 응시자 감소현상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문항 변별력 제고를 위해서는 정답률 분포를 넓게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중요한 과학 개념 없이도 해결할 수 있는 문항 출제 비율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정답률이 대체로 낮게 나오는 영역과 예상에 비해 실제로 학생이 어려워하는 영역에 대한 지도가 보다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윤숙(1992). 일반계 고등학교 여학생의 교육과정 계열 선택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 김기봉(1997).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탐구 영역과 과학 탐구 능력 및 논리적 사고력과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3. 김인영(1993). 대학수학능력시험이 교육방법 변화에 미칠 영향 분석.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4. 남중욱(1996).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과학탐구영역 문항 분석.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5. 박도순(1991). 대학입시제도 개선안. 대학교육심의회 공청회 자료
  6. 박수진(1995).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역사교육현장에 미친 영향과 바람직한 역사과 교수-학습 방법.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7. 마광규(1996).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영향에 대한 조사 연구.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8. 안혜영, 최경희(1997). 초.중등 과학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적 편중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제34차 학술대회 발표 논문
  9. 유영미(2001). 과학교과서의 남성 중심성에 관한 교육과정사회학적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0. 이장무(2001). '이과 기피' 이대론 안된다. 조선일보, 2001. 6. 2일자 시론
  11. 임찬빈, 양길석, 성병창(1998). 대학수학능력시험 영향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98-9
  12. 최경희(2001). 과학교과에서의 양성 평등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및 자료 개발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213-230
  13. 최경희, 김경미(2001). 여학생에게 친근한 과학 내용 및 방법을 적용한 수업이 여학생들의 과학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 149-159
  14.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1).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 시험 과학탐구 출제지침(비공개 자료)
  15. Kelly, A. (1985), The Construction of Masculine Scienc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6(2). 133-154 https://doi.org/10.1080/0142569850060201
  16. National Commission on Excellence in Education (1983). A Nation At Risk. Washington. DC.
  17. National Commission on Mathematics and Science Teaching for the 21st Cenlury(2000). Before It's Too L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