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Science Learning Concepts in the 7th Grade Science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 on Energy and Earth Field -

제 7차 교육과정의 7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개념 분석 - 에너지와 지구 영역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2.06.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concepts for science learning of physics and earth science presented in the seventh grade science textbooks for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concrete and formal concept level. The parts of textbook analyzed for science learning consist of three sections in physics such as light, force, and waves, and three sections in earth science such as the structure of the earth, the substance of crust, and the movement and composition of the ocean. The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scientific concepts were differed from 54 to 74 in physics and from 86 to 120 in earth science depending upon publishers. In general, the concepts for science learning in the physics were found to be more in the formal level than the concrete level. However, the concepts for science learning in earth science were found to be more in the concrete level than the formal level. The analyzed results suggest that the concepts of science learning should be considered the learner's cognitive level and the sections should be dispos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difficulty for writing the science textbook. Therefore, it seems to be important to review carefully whether the textbook meets the object of the seventh curriculum of Korea during the process of the investigation for the science textbook.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7학년 과학 교과서 에너지 및 지구 영역에 제시된 과학학습 개념을 구체적 개념과 형식적 개념 수준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교과서는 현행 제 7차 교육과정의 검정을 받은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에너지 영역의 빛, 힘, 파동 단원과 지구 영역의 지구의 구조, 지각의 물질, 해수의 운동과 성분 단원 등 총 6개 단원에 제시된 과학학습 개념을 분석하였다. 출판사별로 제시된 개념의 수가 다소 차이는 있으나 에너지 영역에 제시된 과학학습 개념의 수는 54 - 74개로 나타났으며, 지구 영역에 제시된 개념의 수는 86 - 120개로 나타났다. 또한 에너지영역에서는 형식적 수준의 개념이, 지구 영역에서는 구체적 수준의 개념이 훨씬 많이 제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과서 개발시 학습자의 인지 수준을 고려한 과학학습 개념의 제시 또는 교과 영역별 비중의 차이를 두어 단원을 구성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홍순호(1995). 중학교 과학 l 교과서의 비교 연구-제6차 교육과정에 따른-.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박영수(1989). 과학교과서에 사용되는 물리용어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임갑수(1991). 중학교 3학년 과학교과서 내용의 비교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진언(1990).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비교 분석. 공주대학교석사학위논문
  5. 교육부(1999).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I) -수학, 과학, 기술, 가정-. 대한교과서(주): 서울
  6. 김송득(1993). 교육관에 비추어 본 현행 교과서 제도의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영수(1995). 생물교육학. 서울대학교 생물교육연구실
  8. 김정호 . 윤현진 . 황혜영 . 이선경 . 박소영(1998). 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9. 김종서(1980). 교과서 제도에 관한 외국제도와 우리제도의 비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10. 이용숙.양미경.박순경.최성욱.김영준.이근님(1995). 교과서 정책 및 내용 구성 방식 국제 비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11. 최병순, 허명(1987). 중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교과 내용과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1), 19-31
  12. 최영준, 이원식, 최병순(1985). 중.고등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형성에 관한 연구I. 한국과학교육학회지, 5(1), 1-9
  13. 한국교육과정평가원(1999).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 실행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99-7-2
  14. 허명(2001).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이상과 현실. 제 4회 과학교육 연합 학술 대회 자료집, 37-55
  15. Cantu, L. & Herron, J.(1978). Concrete and formal Piagetian stages and science concept attai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5(2), 135-143 https://doi.org/10.1002/tea.3660150208
  16. Goodstein, M. & Howe, A.(1978). The use of concrete methods in secondary chemistry instruc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5(5), 365
  17. Johnson, J. & Howe, A.(1978). The use of cognitive conflict to promote conservation aquisi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5(4), 239-247 https://doi.org/10.1002/tea.3660150402
  18. Karplus, R.(1980). Teaching for the development of reasoning. In Lawson, A.E.(ed.) 1980. Science Education Information Report. ERIC clearinghouse for science, mathematic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9. Lawon, A. & Renner, J.(1974). A quantitative analysis of responses to Piagetian tasks and its implications for curriculum. Science Education, 58(4). 545-559 https://doi.org/10.1002/sce.3730580415
  20. Lawson, A. & Renner, J.(1975). The relationship of science subject matter and development levels of learn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2(4), 347-358 https://doi.org/10.1002/tea.3660120405
  21. Marek, E.(1981). Correlations among cognitive development, intelligence quotient and achievemnet of high school biology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8(1), 9-14 https://doi.org/10.1002/tea.3660180103
  22. Novak, J.(1998). Learning, creating. and using knowledge: Concept maps as facilitative tools in schools and corporation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Publishers: New Jersey, USA
  23. Smith, M. & Sims, Jr, O.(1992). Cognitive development, genetics instruction: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7), 701-713 https://doi.org/10.1002/tea.3660290707
  24. Trifone, J. D.(1991). Addressing the needs of the concrete reasoner.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53(6), 330-333 https://doi.org/10.2307/4449319
  25. White, R. (1988), Learning Science. Basil Blackwell Ltd., OXford, UK. pp 8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