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K-12 Science Textbooks Related to 'States of Water', 'State Change of Water', and 'Conditions of State Change'

물의 상태, 상태변화 및 그 조건에 대한 유치원, 초등, 중등 과학 교재의 내용 분석

  • Paik, Seong-Hey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Park, Jae-Won (Kosan Elementary School) ;
  • Park, Jin-Ok (Chunpo Elementary School) ;
  • Im, Myoung-Hyuk (Dongdo Elementary School) ;
  • Ko, Young-Mi (Youngnam Public Kindergarten Attached Elementary School) ;
  • Cho, Boo-Kyung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im, Hyo-Nam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Published : 2002.06.30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related to 'state of water', 'state change of water', and 'conditions of state change' in K-12 science textbooks. For this, we analyzed textbooks based on the 5th kindergarten curriculum, the 6th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the 6th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Findings show that some of the contents are designed well by topical sequencing or by spiral sequencing. But others have some problems based on topical sequencing and spiral sequencing. Generally, the contents are represented in the order of Perception of phenomena with senses level, Macroscopic understanding level, Understanding of scientific term level, Microscopic understanding level by grade. But the state change contents related to solidification and melting, and conditions of state change contents related to heat, temperature, wind, and humidity are not represented in the level of Microscopic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state change and conditions related to heat and wind are not represented in the level of scientific term also.

이 연구에서는 물의 상태와 상태 변화 및 상태변화의 조건을 중심으로 유치원, 초등, 중등 과학 교재의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치원 제 5차 교육과정 교재들과 제 6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와 중학교 과학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개념의 학년별 전개를 주제형 계열화와 나선형 계열화에 비추어 분석한 결과, 일부 내용은 적절하게 구성되었으나, 일부 내용은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개념은 지각적 인식 수준, 거시적 현상 이해 수준과 용어 인식 수준, 리고 미시적 개념 이해 수준으로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응고와 융해 등 상태변화 중 일부개념과 열, 온도, 바람, 습도, 기압 등 상태변화의 조건에서는 미시적 개념 이해 수준의 전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상태변화 개념과 열, 바람 등 일부상태변화의 조건 개념에서는 용어 인식 수준의 내용도 전개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자, 김영주(1988). 초.중.고등학교 생물교과서 분석 및 연계성에 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16(2), 1-38
  2. 강순회, 김대영(1990). 중등학교 과학교과서의 화학영역에 관한 연계성 분석(제2보). 화학교육. 17(2), 106-129
  3. 강영희, 조완규, 권숙일, 나일성, 소현수, 조희구, 이민호, 윤길수, 하효명, 서평웅, 김종권, 이영만, 목창수(1994). 중학교 과학. 동아출판사: 서울
  4. 곽병선(1993). 교육과정. 배영사: 서울
  5. 교육부(1992a). 국민학교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서울
  6. 교육부(1992b). 중학교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서울
  7. 교육부(1996a).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자연. 국정교과서주식회사: 충남
  8. 교육부(1996b). 자연. 국정교과서주식회사: 충남
  9. 교육부(1997).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우리들은 1학년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서울
  10. 교육부(1998a). 유치원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서울
  11. 교육부(1998b), 슬기로운 생활. 국정교과서주식회사: 충남
  12. 국동식(1988). 물의 상태 변화에 대한 중.고등학생의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8(1) , 33-42
  13.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1998). 과학교육론. 교육과학사: 서울
  14. 권재술, 김범기, 최병순, 현종오, 이길재, 임건일, 정진우, 이연우, 홍성일(1994). 중학교 과학. 한샘출판(주): 서울
  15. 김순택(1977). 수업모형. 배영사:서울
  16. 김영은(1991). 초.중.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물리 내용 연계성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논문
  17. 박승재, 조희형(1995). 학습론과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서울
  18. 박종윤, 김성희(1988). 초.중.고 과학교과서의 화학 영역에 관한 연계성 분석(제1보 ). 화학교육, 15(2), 137-149
  19. 방인옥(1996). 존 듀이의 교육철학과 유치원 교육과정. 서원: 서울
  20. 백성혜(1995). 브루너의 이론에서 본 과학교육의 과정(미발표)
  21. 백성혜, 김효남, 조부경(2000). 유아, 초등, 중등 과학 교육과정의 연계성 고찰을 위한 개념도 추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262-273
  22. 송순회 외 8인(1991). 수학 및 과학 교과내용의 연계성 분석을 위한 준거모형 설정과 예시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2), 119-131
  23. 송인명, 이춘우, 오제직, 최석남, 박영철, 문형태. 우영균, 곽종흠(1994). 중학교 과학. 교학사: 서울
  24. 신인철(1992). 증발과 응결에 대한 국민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양영민(1992) 증발과 응결에 대한 국민학교 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유봉호(1993). 현대교육과정, 교학연구사: 서울
  27. 유영근(1991). 초.중.고등학교 지구과학 실험의 연계성 분석: 지질 분야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윤명임(1994). 유치원과 국민학교 1학년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경우(2000). 6차 교육과정의 과학적 탐구를 위한 올바른 접근. 제 10회 유아교육 교원 자율 연수 교재, 7월 25일. 서울유아인지교육연구회
  30. 이경우, 조부경, 김정준(1999).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양서원: 서울
  31. 이기숙(1998). 유아교육과정. 교문사: 서울
  32. 정완호, 김영애(1991). 초.중.고등학교 생물 영역에서 공용실험 내용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19(1), 11-26
  33. 정완호, 최돈희(1993). 초.중.고등학교 생물 용어의 연계성 비교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1(1), 71-78
  34. 정인성, 나일주(1992). 최신교수설계이론. 교육과학사: 서울
  35. 조부경, 이경우, 장혜순, 김정준(1995). 문학적 접근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교육부: 서울
  36. 진수경(1987). 초.중등 천문교육 내용간의 연계성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한안진 외 4인(1997). 새초등과학교수법. 교육과학사: 서울
  38. 한유화(1998).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연계성과 중학생물의 과학 개념에 대한 인식 분석 : 화학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Ausubel, D. P., Novak, J. D., & Hanesian, H.(197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2nd ed. Holt, Rinehart and Winston: N.Y.
  40. Bar, V. & Travis, A. S.(1991). Children's Views Concerning Phase Chang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4), 363-382 https://doi.org/10.1002/tea.3660280409
  41. Bar, V. & Galili, I.(1994). Stages of children's view about evapo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6(2), 157-174 https://doi.org/10.1080/0950069940160205
  42. Beveridge, M.(1985).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Evaporation.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55, 84-90 https://doi.org/10.1111/j.2044-8279.1985.tb02611.x
  43. Hartley, J., & Davies, I. K.(1976). Preinstructional strategies :The role of pretests. Behavioral objectives, overviews, and advance organizer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6, 239-265 https://doi.org/10.3102/00346543046002239
  44. Inbody, D.(1963). Children's understandings of natural phenomena. Science Education, 47(3), 270-278 https://doi.org/10.1002/sce.3730470313
  45. Johnson, P.(1998). Children's Understanding of Changes of State Involving the Gas State, Part 2: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Below Boiling Poin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6), 695-709 https://doi.org/10.1080/0950069980200607
  46. Johnstone, A. H.(1992). Thinking about thinking-A practical approach to practical work. In Kempa, R. F. & Waddington, D. J.( Ed.): Briging Chemistry to Life. Proceedings of the El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hemical Education, 69-76
  47.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48. Osborne, R. J. & Cosgrove, M. M.(1983), Children's Conceptions of the Changes of State of Wate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9), 825-838 https://doi.org/10.1002/tea.3660200905
  49. Petery, B., Mouton, H., & Reigeluth, C. M.(1987). A lesson based on the Gagne-Briggs theory of instruction. In Reigeluth, C. M.(Ed). Instructional theories in action. Hillsdale. LEA.: NJ.
  50. Reigeluth, M.(1999).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volume II. Lawrence Erlbaum Associates: NY.
  51. Stachel, D. & Stavy, R.(1986). Children's ideas about 'solid' and 'liquid'.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7(4), 407-421
  52. Stavy, R.(1988). Children's Conception of Ga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0(5), 553-560 https://doi.org/10.1080/0950069880100508
  53. Stavy, R. (1990). Children's Conception of Changes in the State of Matter: From Liquid (or Solid) to Ga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3), 247-266 https://doi.org/10.1002/tea.3660270308
  54. Stavy, R. & Berkovitz. B.(1980). Cognitive Conflict as a Basis for Teaching Quantitative Aspects of the Concept of Temperature. Science Education, 64(5), 679-692 https://doi.org/10.1002/sce.3730640514
  55. Taiwo, T. T., Ray, H.. Motswiri, M. J. & Masene, R.(1999). Perception of Water cycle among primary school children in Botswan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4), 413-429 https://doi.org/10.1080/095006999290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