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Level of Science Learning Concepts Presented in Life and Matter Fields of the 7th Grade Science Textbooks

7학년 과학 교과 생명 및 물질 영역의 과학 학습 개념의 수준 분석

  • Shim, Kew-Cheol (Institue of Science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Park, Jong-Seok (Institue of Science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Sup (Institue of Science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Jae-Hyun (Institue of Science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Park, Young-Chul (Institue of Science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Ryu, Hai-Il (Institue of Science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심규철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 박종석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 김현섭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 김재현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 박영철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 류해일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Published : 2002.09.30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science learning concepts presented in life and matter fields of the 7th science textbooks. 6 units were analysed; 'the structure of living things', 'digestion and circulation' and 'respiration and excretion' of life field, and 'three states of matter', 'molecular motion', 'a change of state and the energy' of matter field. The gross number of concepts was 305 in life field, and 73 in matter field of the 7th science textbooks. Among publishing companies, the number of concepts was a little difference. Much more concepts in life field were presented than those in matter field. Percentages of the number of concrete and formal concepts were 58% and 42% in life, and 14% and 86% in matter field. The ratio of the number of concrete versus formal concepts was different between life and matter field. Thus, it is implied that science learning concepts are presented considering cognitive level of learner, and unit and content ar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properties of science fields in developing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7학년 과학 교과서 생물 및 물질 영역에 제시된 과학 개념을 구체적 개념 수준과 형식적 개념 수준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 하였다. 분석 교과서는 검정되어 현재 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6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생명 영역의 '생물의 구성', '소화와 순환', '호흡과 배설', 물질 영역의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분자의 운동', '상태변화와 에너지' 단원 등 총 6개 단원의 과학 개념을 분석하였다. 7학년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총 개념의 수는 생명 영역에서 305개, 물질 영역이 73개로 물질 영역 보다 생명에서 훨씬 많은 개념이 제시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과서별로는 제시된 개념의 수가 다소 차이를 보였는데, 생명 역역에서는 179${\sim}$201개, 물질 영역은 33${\sim}$39개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로 구체적 개념과 형식적 개념의 비율을 살펴보면, 생명 영역은 각각 58%, 42%, 물질 영역은 각가 14%, 86%로 영역에 따라 극명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시 학습자의 인지 수준을 고려한 과학 개념의 제시 또는 교과 영역의 특서엥 따라 단원 구성에 있어서 차별화 해야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병선(1985). 한국의 교육과정.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2. 교육부(1999).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I)-수학, 과학, 기술, 가정-. 대한교과서(주): 서울
  3. 권재술, 최병순, 허명(1992).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및 운영 진단 I-교육과정 목표 및 목표도달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1), 53-68
  4. 김송득(1993). 교육관에 비추어 본 현행 교과서 제도의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영수(1995). 생물교육학. 서울대학교 생물교육연구실
  6. 김정호 . 윤현진 . 황혜영 . 이선경 . 박소영(1998). 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7. 김종서(1980). 교과서 제도에 관한 외국제도와 우리제도의 비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8. 이용숙 . 양미경 . 박순경 . 최성욱 . 김영준 . 이근님(1995). 교과서 정책 및 내용 구성 방식 국제 비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9. 최병순, 허명(1987). 중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교과 내용과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1), 19-31
  10. 최영준, 이원식, 최병순(1985). 중 .고등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형성에 관한 연구 I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5(1), 1-9
  11. Cantu, L. & Herron, J.(1978). Concrete and formal Piagetian stages and science concept attai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5(2), 135-143 https://doi.org/10.1002/tea.3660150208
  12. Driver, R.(1989). Students' conceptions and the learning of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1, 481-490 https://doi.org/10.1080/0950069890110501
  13. Goodstein, M. & Howe, A.(1978). The use of concrete methods in secondary chemistry instruc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5(5), 365
  14. Johnson, J. & Howe, A.(1978). The use of cognitive conflict to promote conservation aquisi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5(4), 239-247 https://doi.org/10.1002/tea.3660150402
  15. Karplus, R.(1980), Teaching for the development of reasoning. In Lawson, A.E.(ed.) 1980. Science education information report. ERIC clearinghouse for science, mathematic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6. Lawon, A. & Renner, J.(1974), A quantitative analysis of responses to Piagetian tasks and its implications for curriculum. Science Education, 58(4), 545-559 https://doi.org/10.1002/sce.3730580415
  17. Lawson, A, & Renner, J.(1975). relationship of science subject matter and development levels of learn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2(4), 347-358 https://doi.org/10.1002/tea.3660120405
  18. Marek, E.(1981). Correlations among cognitive development, intelligence quotient and achievemnet of high school biology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8(1), 9-14 https://doi.org/10.1002/tea.3660180103
  19. Novak, J.(1998). Learning, Creating, and Using Knowledge: Concept Maps as Facilitative Tools in Schools and Corporation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Publishers; New Jersey, USA
  20. Shayer, M. & Adey, P.(1989). Towards a science of science teaching. Heinemann Educational Books Ltd.; Oxford, UK
  21. Smith, M. & Sims, Jr, O.(1992). Cognitive development, genetics instruction: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7), 701-713 https://doi.org/10.1002/tea.3660290707
  22. Trifone, J. D.(1991). Addressing the needs of the concrete reasoner.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53(6), 330-333 https://doi.org/10.2307/4449319
  23. White, R. (1988). Learning science. Basil Blackwell Ltd.: Oxford, UK. pp8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