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Group Processes in Paired Think-Aloud Problem Solving

해결자.청취자 문제해결 활동에서의 소집단 과정

  • Published : 2002.09.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small group processes in paired think-aloud problem solving. Two high school chemistry classes were assigned to St-SL group (using Strategy-Solve Listener) and SL group (Solver Listener), and their small-group behaviors were audio/video taped. Verbal behaviors of solver and listener in respect to 4 problem-solving stages and performance levels at each stage were analyzed. At the understanding stage, listeners in the St-SL group exhibited more behaviors of agreement to solver's understanding processes about given and goal of problem. As regards recalling a related law at the planning stage, solvers in the St-SL group exhibited more behaviors of modification based on listener's questions or pointing out. These verbal interactions see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deriving the physical quantity with the proper laws. Few in both SL and St-SL groups exhibited the behaviors regarding setting up subgoals. No verbal behavior was observed in the SL group at the reviewing stage, and solvers in the St-SL group tended to ask for listener's agreement. However, only few performed the strategy explaining the meaning of answer at the molecular level correctly through the interactions. The St-SL group perceived that the understanding stage was the most helpful and that the planning or reviewing stages were difficult to apply.

해결자 청취자 활동에서의 소집단 문제해결 과정을 조사하였다. 고등학교 화학 수업 시간에 두 학급을 선정하여 문제해결 전략을 사용하여 해결자 청취자 활동을 하는 집단(St-SL)과 전략을 사용하지 않는 집단(SL)으로 무선 배치한 후, 소집단 활동 과정을 녹화/녹음하였다. 해결자와 청취자의 언어적 행동을 4단계 문제해결 단계에 따라 분석하고, 각 단계별 수행 수준을 조사하였다. 이해 단계에서는 St-SL 집단의 해결자가 문제의 조건이나 구해야 할 것을 파악하는 과정에 대해, 청취자가 단순히 동의하는 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계획 단계 중 관련된 법칙 회상에 대해서는 St-SL 집단의 청취자가 질문, 지적하고 이를 토대로 해결자가 수정하는 행동이 많이 나타났는데, 이러한 언어적 상호작용이 학생들이 올바른 법칙을 사용하여 물리량을 유도해내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된다. SL 집단과 St-SL 집단 모두 하위 목표를 설정하는 것에 관한 언어적 상호작용은 별로 나타나지 않았고, 이를 제대로 수행한 경우도 별로 없었다. 검토 단계에서 SL 집단의 경우 상호작용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고, St-SL 집단에서는 해결자가 청취자의 동의를 구하는 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서도 답의 의미를 분자 수준에서 설명하는 전략에 대해서 바르게 수행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인식 검사에서는 학생들이 문제해결에 가장 많은 도움을 준 단계는 이해 단계이고, 계획이나 검토 단계는 적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응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노태희, 김창민, 차정호, 전경문(1998). 물질의 입자성과 문제해결 전략을 강조한 컴퓨터 보조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화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37-346
  2. 노태희. 여경희, 전경문(1999). 문제해결 전략에서 협동 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635-644
  3. 노태희, 전경문, 한인옥, 김창민(1996), 학생의 인지 발달 수준과 문제의 상황에 따른 화학 문제해결 행동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4), 389-400
  4. 전경문(1999). 문제해결 전략과 해결자 . 청취자 활동: 화학 수업에서의 교수 효과 및 소집단 문제 해결 과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 전경문과 노태희(2000). 해결자 . 청취자 활동에서의 언어적 행동.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624-633
  6. 전경문과 노태희(2001). 문제해결 전략과 해결자 . 청취자 활동이 고등학생의 화학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2), 289-298
  7. 전경문, 여경희, 노태희(2000). 협동학습 과정에서의 언어적 행동과 화학 문제해결력 사이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34-243
  8. Asieba, F. O., & Egbugara, O. U.(1993). Evaluation of secondary pupils' chemical problem-solving skills using a problem-solving model.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0(1), 38-39 https://doi.org/10.1021/ed070p38
  9. Bunce, D. M., & Heikkinen, H.(1986). The effects of an explicit problem-solving approach on mathematical chemistry achieve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1), 11-20 https://doi.org/10.1002/tea.3660230102
  10. Derry, S., Tookey, K., & Chiffy, A.(1994). A Microanalysis of pair problem solving with and without a computer tool.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ew Orleans, LA
  11. Garofalo, J., & Lester, J. F. K.(1985). Metacognition, cognitive monitoring, and mathematical performanc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6(3), 163-176 https://doi.org/10.2307/748391
  12. Heller, P., Keith, R., & Anderson, S.(1992). Teaching problem solving through cooperative grouping. Part 1: Group versus individual problem solving. American Journal of Physics, 60(7). 627-636 https://doi.org/10.1119/1.17117
  13. Mettes, C. T. C. W., Pilot, A., Roossink, H. J., & Kramers-Pals, H.(1980). Teaching and learning problem solving in science. Part I: A general strategy.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57(12), 882-885 https://doi.org/10.1021/ed057p882
  14. Noh, T., & Scharmann, L. C.(1997). Instructional influence of a molecular-level pictorial presentation of matter on students' conception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2), 199-217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702)34:2<199::AID-TEA6>3.0.CO;2-O
  15. Pestel, B. C.(1993). Teaching problem solving without modeling through 'thinking aloud pair problem solving'. Science Education, 77(1), 83-94 https://doi.org/10.1002/sce.3730770106
  16. Woods, D. R.(1989). Problem solving in practice. In. D. L. Gabel (Ed.), What research says to the science teacher: problem solving (pp. 97-121). Washington, DC: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