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preschoolers' giftedness by parents' perception

부모의 지각에 의한 유아 영재의 발달 특성의 변화

  • 윤여홍 (CBS 영재교육학술원, 아주대 교육대학원)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ers' giftedness by their parents' perception. Total 3 groups of 148 subjects from age 30 months to 6 years 10 months old young gifted children's parents participat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critical characteristics of preschoolers' giftedness by parents' perception, which were 'good memory', 'high curiosity', 'read and understand of math', 'enjoy of learning and high motivation', 'high concentration', reading books', 'verbal ability', 'creativity', 'questions', and 'independency', (2) Thes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ers' giftedness showed more strong and intense as they got older, and (3) Some characteristics revealed more, but the other characteristics revealed less as they got older. These findings suggested the consideration of child's age as the reliable identification process of young gifted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가 지각한 유아 영재의 영재적 특성과 연령에 따른 발달상 변화를 알아보고자 만 30개월부터 6세 10개월까지 유아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148명 유아 영재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30개월부터 47개월까지, 48개월부터 60개월까지 및 60개월부터 6개 10개월까지를 유아 1, 2, 3 집단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에 의해 유아영재를 확인하고 발견할 수 있는 두드러진 영재적 특성이 있으며, 주요 특성들로는 ‘우수한 기억력’, ‘호기심이 많다’, ‘2살에 숫자를 읽고 이해한다’, ‘학습의 즐거움과 학습 동기가 강하다’, ‘주의집중이 강하고 길다’, ‘책읽기를 선호한다’, ‘수준높은 언어를 사용한다’, ‘기발한 생각을 한다’, ‘어렵거나 왜라는 질문이 많다’, ‘자신에게 만족하며 독립적이다’ 등으로서 거의 인지적 특성들이었다. 둘째, 어린 유아에서부터 학령전기 유아까지 영재적 특성이 비슷하게 나타나지만, 유아의 연령이 많아질수록 영재적 특성의 강도가 증가하고 뚜렷해지는 경향성을 띄었다. 셋째, 어린 유아에서 나타나는 영재적 특성과 학령전기 유아단계에서 나타나는 영재적 특성간에는 일부 항목에서 뚜렷한 변화를 보였다. 일부 특성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점차 줄어들지만, 일부 특성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점차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모의 주관적 지각임에도 불구하고 유아영재 판별과정에서 중요한 정보원으로 신뢰롭게 사용할 수 있는 유아영재의 두드러진 특징이 있으며, 이런 정보를 사용할 때는 유아의 세부적인 연령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동안에는 urokinase가 동일 농도 하에서 강한 활성을 보인 반면, 2시간이 지난 오랜 반응조건에서는 pro-urokinase가 혈전용해활성을 나타내었다. Fibrinogen에 대한 분해활성을 조사한 결과, urokinase는 혈장 내 fibrinogen을 상당히 손상시키지만, pro-urokinase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아 혈전선택성이 매우 좋음을 알 수 있었다.고 빠르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단백질 재접힘 과정에서 이러한 개념의 성공적 도입은 단백질 회수 수율을 높임으로써 생물분리공정 분야의 기술 발전에 이바지 하리라 사료된다.$^{\circ}C$에서는 60분동안 효소활성이 거의 상실되지 않았다. 정제된 효소는 ethanol과 chloroform 처리에는 안정하였으나 12mM AT 와 0.1mM $NaN_3$ 및 1mM KCN에 의해 90% 이상의 활성이 억제되었다.이에 근거하여 서울시 학생들($7{\sim}18$세)의 만성신부전증 유병률은 1백만명당 5.7명으로 추정되었다. 결론 : 서울시내 학생들 중 11세, 14세, 17세 3개 군에서 한 번 검사로 확인된 무증상 단백뇨의 유병률은 0.28%(약 2.8명/1,000명)이었고 이들중 약 5%만이 3차검사에서 신질환이 의심되었으며 이에 따른 신질환 유병률은 1만명당 1.4명이었다. $7{\sim}18$세 연령층에서 무증상으로 발생하는 사구체 신질환 중에는 IgA 신병증의 유병률이 가장 높아 1만명당 0.64명으로 추정되었고 만성신부전증의 유병률은 1백만명당

Keywords

References

  1. 박혜원(2001). 지적 영재유아 판별의 절차와 과제. 영재교육연구, 11(1), 99-117
  2. 박혜원, 윤여흥(1999). 웩슬러 유아지능검사에서의 영재아동의 수행 특성. 인간발달연구, 6, 33-47
  3. 윤여흥(1998). 영재아 판별에서 한국판 영재아 행동특성 체크리스트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8(2), 1-30
  4. 장영숙(2001). 유아 영재의 판별과 역동적 평가. 영재교육연구, 11(3), 131-153
  5. 조석희, 한순미(1986). 취학전 영재의 특성 및 부모의 지도실태와 요구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교육개 발원
  6. 조용태(2001). 유아 영재진단 평가체제. 미래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pp. 69-106). 미래유아교육학회
  7. Fagan, J. F., & McGrath, S. K. (1981)intelligence, Intelligence, 5(2), 121-130 https://doi.org/10.1016/0160-2896(81)90002-7
  8. Guiford, A. M., Scheuerle, J., & Schonburn, S.(1981). Aspects of language development in the gifted. Gifted Child Quarterly, 25, 159-163 https://doi.org/10.1177/001698628102500404
  9. Haensly, P., & Lee, K. S. (2000). Gifted potential and emerging abilities in young children: As influenced by diverse backgrounds.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 14. 133-150 https://doi.org/10.1177/026142940001400204
  10. Lewis, M., & Brooks-Gunn, J. (1981). Visual attention at three months as a predictor of cognitive functioning at two years of age. Intelligence, 5(2), 131-140
  11. Lewis, M., & Louis, B. (1991). Young gifted children, In N. Colangelo and G. A Davis(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pp. 365-381). Allyn & Bacon
  12. Lewis, M., & Michalson, (1985). The gifted infant, In The psychology of gifted chibdren(pp. 35-57). John wiley & Sons
  13. Perleth, C., Schatz, T., & Monks, F. J. (2000). Early identification of high ability. In K. A. Heller, F. J. Monks, R. J. Sternberg, & R. F. Subotnik(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1ent(2nd ed. pp. 297-316). Elsevier Science Ltd
  14. Piirto, J. (1994). Tatented children and adults: Their development and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College Publishing Co
  15. Robinson, N. M. (1987). identifying and nurturing gifted, very young children, In K. A. Heller, F. J. Monks, & A. Passow(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pp. 507-524). New York: Pergamon
  16. Roedell, W. C. (1990). Nurturing giftedness in young children. ERIC EC Digest #E487
  17. Rogers, M. T. (1986). A comparative study of developmental traits of gifted and average youngst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Denver Denver, CO
  18. Torrance, E. P., & Caropreso. E. J. (1999). Assessment of preschool giftedness Intelligence and creativity, http://www.hoagiesgifted.org/young-children.htm
  19. White, B. (1985). Competence and giftedness. In J. Freernan(Ed), The psychology of gifted children(pp. 59-73). John wiley &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