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Self concept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중년 여성의 자아개념과 우울과의 관계

  • Published : 2002.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concept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The Subjects were 102 middle-aged women whose age range were 40-59 years old living in urban area.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self concept scale developed by Rosenberg and the depression scale developed by Zung. Data were collected done from July 1 to July 31, 2001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PC+ program using t-test, ANOV 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ed : 1. Mean score of self concept was 2.35. 2. Mean score of depression scale was 2.43 3.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concept and depression was statistically negative correlation(r=-0.3769, P〈0.001).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 of middle-aged women's self concept to the age(F=3.41, P〈0.05), education(F=2.97, P〈0.05), Occupation(t=1.84, P〈0.05). 5. General characteristics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depression were the age(F=3.12, P〈0.05), numbers of children(t=3.59,P〈0.05). Obstetrical characteristics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depression were age of menarche(F=4.03, P〈0.05), times of abortion(t=10.09, P〈0.001).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self esteem was an important factor related to depression. I suggest that to decrease depression, it should be encouraged self esteem.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정. 긍정적 자아개념의 형성. 문음사, 1987
  2. 김은아. 중년기 부인의 자아정체감과 생의 의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3. 김옥수. 중년기 발달단계를 중심으로 한 간호중재. 대한간호 1984; 23(2): 24-26
  4. 김정엽. 중년 여성의 자아개념과 우울에 관한 연구. 여성 건강간호학회지 1997; 3(2): 103-116
  5. 김혜영, 고효정. 중년 여성의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97; 3(2): 117-138
  6. 김현순. 중년 여성에서의 자아정체감과 우울성향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7. 권숙회 외 10인. 중년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우울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96; 2(2): 235-245
  8. 고인균. 중년 여성의 자아개념과 우울증에 관한 상관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7
  9. 고진부. 우울증의 사회 정신 의학적 연구. 신경정신의학 1978; 17(3): 295-302
  10. 민성길. 최신정신의학. 서울 : 일조각, 1988
  11. 박난준. 중년여성의 자아개념과 갱년기 증상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12. 박희주. 갱년기 우울층의 임상적 고찰. 부산의대잡지 1973; 13(1): 247-252
  13. 백선숙. 중년 여성의 갱년기 증상 호소에 대한 도시와 농촌간의 비교분석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98; 4(3): 332-347
  14. 양복순. 중년 여성의 영적 안녕, 자아개념, 우울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15. 이길자. 일부 지역 중년기 여성의 자아개념과 우울 및 자각증상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16. 이경혜. 중년 여성의 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험 요인간의 인과적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17. 이동회. 불임 여성과 정상 여성의 자아개념과 우울에 관한 비교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18. 유숙자 외 5인. 정신간호총론. 서울 : 수문사, 1986
  19. 유은광, 김명회. 중년 여성이 경험하는 갱년기 중상관련 요인 및 대용양상.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98; 5(2): 200-212
  20. 유은광.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 행위와 갱년기 증상, 우울과의 관계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98; 29(2): 225-237
  21. 윤진.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와 그 결정요인에 관한 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22. 양복순. 중년 여성의 영적 안녕, 자아개념, 우울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3. 전병재. 자아개념 이론에 관한 고찰. 인문과학 1972; 29, 103-127
  24. 전시자. 회상의 내용분석 및 간호적용에 관한 연구 : 일 양로원 노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
  25. 정은순. 중년 여성의 우울증과 폐경 증후군과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97; 3(2): 230-240
  26. 정태기. 위기목회상담.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2
  27. 최춘호. 신체 장애 취학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어머니 양육태도와의 상관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1
  28. 홍은화. 자아개염 형성에 미치는 요인분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29. Barron. Woman's Causal Explanation of Divorce : Relationships to Selfesteem Distres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987; 10: 345-350 https://doi.org/10.1002/nur.4770100508
  30. Battle, J..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Report, 42 1978; 745-746 https://doi.org/10.2466/pr0.1978.42.3.745
  31. Beck C., The occurrence of depression on women and the effect of the women's movement. Journal of Psychiatric Nursing 1979; 17(11): 14-19
  32. Beck. A.T. Depression : Care and treatment. Philadelphia :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67
  33. Dominian, J.. The Role of Psychiatry in the Menopause. Clin. Obstetric and Gynecol. 1977; 241-258
  34. Hay, A.G., Bancroft J., Johnstone E.C.. Affective symptoms in women attending a menopause clinic. Br. J Psychiatry 1994; 164: 513-516 https://doi.org/10.1192/bjp.164.4.513
  35. Neugarten, B.L., Kraine, R.J., Menopausal symptoms in women of various ages. Psychosomatic Medicine 1965; 27: 266-273 https://doi.org/10.1097/00006842-196505000-00009
  36. Rosenberg, M. Black and White Self-esteem : The Urban School Child Washington. Ros 1971; Monograph Series: 1-10
  37. Thomas, W.L.. The Endocrine Treatment of Menopausal Phenomena. Journal of American Assoc. 1973; 65: 18-75
  38. Traft, L.D.. Self-esteem in later life : a nursing perspectiv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5; 8(1): 77-84 https://doi.org/10.1097/00012272-198510000-00009
  39. Willson, J.R., Carrington, E.R.. Obstetrics and gynecology(8th ed.). Saint Louis : The C.V. Mosby Co., 1987
  40. Zung, W.W.K. Depression status inventory and self-rating depression scale rate, 1974, in ward, M.J. & Lindeman, C. A.lnstruments for Care Variable, v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1979; 1: 20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