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소진동 특성과 평가방법

  • Published : 2002.04.01

Abstract

산업화와 활발한 생산 활동은 진동공구 사용의 급격한 증가를 가져왔다. 그러나 모터나 공기압에 의한 진동공구의 발달과 보급은 생산적, 경제적 측면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지만 반면 작업자의 건강 측면에서는 상당한 해를 초래하게 되었다.(중략)

Keywords

References

  1. 박인선, 박원형, 박상규, 김규상, 2001, '스웨징 작업에서의 국소진동 노출평가,; 한국소음진동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pp, 433-438
  2. 연정택, 박상규, 김소연, 이태영, 장재연, 1999, '금속가공 작업자의 국소진동 평가.' 한국산업위생학회지, 제 9권 제 2호, pp.52-65
  3. 주영수, 최홍렬, 김미경, 손 홍, 전순자, 조성일, 김형식, 1999, '조선소 근로자에서의 극소진동장해 진단방법에 대한 평가,' 대한산업의학회지, 제 10권 제 4호, pp.413-427
  4. KOSHA Code:H-23-2000, 국소 진동측정 및 평가지침, 한국산업안정공단
  5. (5) ISO 5349-1 : 2001(E), Mechanical Vibration-guidelines for the Measurement and the Assessment of Human Exposure to Hand-transmitted Vibration-Part 1 : General Requirements
  6. ACGIH, Threshold Limit Values for Chemical Substances and Physical Agents and Biological Exposure Indices, Hand-arm(segmental) Vibration(82-6), Ohio, 1990-91
  7. ANSI, 1986, Guide for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Human Exposure to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Hand(S3-34), New York
  8. NIOSH, 1989, Criteria for a Recom-mended Standard-occupational Exposure to Hand-arm Vibration, Public Health Servic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Division of Standards Development and Technology Transfer, Cincinnati, Ohio
  9. Pelmear, P. L. and Wasserman, D. E., 1998, Hand-arm Vibration : A Com-prehensive Guide for Occupational Health Professionals, 2nd ed. OEM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