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Soils and Irrigation Waters in Abandoned Mines

폐광산지역 농산물, 토양 및 농경수의 중금속오염에 관한 연구

  • 김미혜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평가부) ;
  • 소유섭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평가부) ;
  • 김은정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평가부) ;
  • 정소영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평가부) ;
  • 홍무기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평가부)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statu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agricultural products (n = 280), soils (n = 280), and irrigation waters (n = 48) in abandoned mines & normal farm lands (n = 8). The samples were digested with acids, then analyzed fur the contents of lead (Pb), cadmium (Cd), copper (Cu), mercury (Hg), arsenic (As) and chrome (Cr) by an 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er (ICP) and graphite-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AS). The contents of Hg were determined using a mercury analyzer. Abandoned mines had soils with higher contents of heavy metals except Cr and irrigation waters with higher heavy metals except Hg, compared to those of normal farmlands.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agriculture products varied depending types of products. Agricultural products in abandoned mines generally showed with higher contents of heavy metals except Cu, compared to those of normal farmland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in heavy metal contents between agricultural products and soils (p > 0.05). It is suggested that heavy metals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soils in abandoned mines should be continuously monitored.

전국 폐광지역(48곳) 평야지역(8곳) 농산물(280건), 토양(280건), 농경수(48건)를 채취하여 수은 함량은 Mercury analyzer로, 납, 카드뮴, 비소 등 중금속은 습식분해후 ICP, AAS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평야지역에 비해 폐광산지역의 토양에 있어 크롬을 제외한 수은, 납 등 중금속 함량이 더 높았으며 농경수에 있어서는 수은을 제외한 다른 중금속함량이 더 높았다. 폐광산지역의 농산물중 납, 카드뮴 등 중금속 함량은 평야지역에 비해 대체로 높은 편이었으나 구리 함량은 평야지역의 농산물이 다소 높았다. 토양과 농산물중 납 등 중금속함량간의 유의적인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앞으로도 식품의 안전성 확보 및 국민건강증진차원에서 폐광산지역의 토양, 농산물중 중금속 함량에 대한 모니터링 사업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driano, D.C.: Trace elements in the terrestrial environment, Springer-Verlag, New York, pp 533 (1986)
  2. Alloway, D.J.: Heavy metal in soils, 2nd ed., Glasgow, Chapman & Hall, pp. 368 (1995)
  3. Nriagu, J. O., Pacyna, J. M.: Quantitative assessment of worldwide contamination of air, water and soils by trace metals Nature, 333, pp. 134-139 (1988) https://doi.org/10.1038/333134a0
  4. 이상복: 국내토양의 중금속 오염현황과 식물을 이용한 중금속 제거 기술 식물환경과 환경보전연구실 (2000)
  5. 김미혜, 장문익, 정소영, 소유섭, 홍무기 : 우리나라 곡류, 두류 및 서류중 중금속 함량 및 안전성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9, 364-368 (2000)
  6. 정소영 , 김미혜, 소유섭, 원경풍, 홍무기 : 우리나라 채소류중미량금속함량 및 안전성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0, 32-36 (2001)
  7. 한강환경관리청. 폐금속광산 오염실태 정밀조사 (1999)
  8. 대구지방환경관리청. 폐금속광산 오염실태 정밀조사 (1999)
  9.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공전. 제 7장 일반시험법. 별책 pp. 72 (2000)
  10. 환경부. 토양오염공정시험방법 개정 1998. 2. 28. 환경부고시 (1998)
  11. 조재영, 김은혁, 한강완: 옥천 동-아연 광산주변 토양중 중금속의 형태별 함량.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3, 446-452 (2000)
  12. 김영미, 고영수: 중금속에 대한 토양오염과 그 작물내 함량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위생학회지, 1, 50-56 (1986)
  13. 김계훈, 박무언: 가학광산 주변 논토양의 카드뮴, 구리, 납 및 아연 함량 분포.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9, 424-431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