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Volume 6 Issue 2
- /
- Pages.129-136
- /
- 2002
- /
- 2384-1095(pISSN)
- /
- 2384-1109(eISSN)
Usefulness of MRCP in the Diagnosis of Common Bile Duct Dilatation caused by Non-stone or Non-tumorous Conditions
비결석, 비종양성 총담관 확장의 진단에 있어서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MRCP)의 유용성
Abstract
Purpose :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MRCP in the diagnosis of the variable causes of common bile duct(CBD) dilatation, except stone or tumor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six patients(M:F=15:11, mean age; 62 years) with both MRCP and ERCP were included in this study. Dynamic MRCP(n=12) and contrast-enhanced MRI(n=10) of abdomen were also added. Dilatation of CBD, intrahepatic ducts and pancreatic duct was evaluated, including coexistence of intrahepatic ductal stone, pancreatic pseudocyst, and papillary or papillary edema. The criteria of CBD dilatation was over than 7mm(n= 21, without cholecystectomy) or 10 mm(n=5, with cholecystecto-my) in diameter on T2-weighted coronal image. Results : The mean diameter of CBD was 12.7mm without cholecystectomy(9-19 mm) and 13.0 mm with cholecystectomy(10-15mm), respectively(p 〉0.05). Cholangitis(n=11, 42.3%), chronic pancreatitis(n=8, 30.8%), stenosis of distal CBD(n= 6, 23.1%), periampullary diverticulum(n=3, 11.5%), stenosis of ampulla of Vater(n=2, 7.7%), dysfunction of sphincter of Oddi(n=2, 7.7%), acute focal pancreatitis in the pancreatic head(n=2, 7.7%), papillitis(n=1, 3.8%), pseudocyst in the pancre atic head(n = 1, 3.8%), and ascaris in CBD(n=1, 3.8%) were noted. Pancreatic duct dilatation(n=10, 38.5%) and duodenal diverticulum(n=3, 11.5%) were also seen on MRC P. On dynamic MRCP(12 patients), distal CBD was visualized in 2 patients(16.7%), which was not shown on routine MRCP. Only 1 patient(10.0%) showed papillitis with slightly enhancing papilla on contrast-enhanced MRI (10 patients). Conclusion : MRCP was thought to be helpful in the evaluation of the causes of CBD dilatation, not caused by stone or tumor, especially in the cases of stenosis of distal CBD and chronic pancreatitis, dysfunction of sphincter of Oddi on dynamic MRCP and cholangitis and pericholangitic abnormality on contrast-enhanced MRI.
목적 : 총담관 확장을 유발하는 원인 중 결석과 종양을 제외한 여러 원인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MRCP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ERCP와 MRCP를 모두 시행받은 환자 26명 (남:여=15:11, 평균연령 62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중 12명은 역동적 MRCP를, 10명은 조영증강 MRI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총담관, 간내 담도, 췌관 등의 확장 정도, 간내 담도 결석, 췌장 가성낭종, 유두부의 부종이나 결절성 종대 등을 관찰하였다. 총담관은 T2-강조 관상영상에서 담낭절제술을 받지 않은 경우 7 mm 이상, 절제술을 받은 경우 10 mm 이상을 비정상적인 확장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 담낭절제술을 받지 않은 환자의 총담관 평균 직경은 12.7mm(n=21, 9-19 mm)였고, 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평균 직경은 13.0 mm(n=5, 10-15mm)였다(p〉0.05). MRCP에서 담관염 11명(42.3%), 만성 췌장염 8명(30.8%), 원위부 총담관 협착 6명(23.1%), 팽대부 주위 게실 3명(11.5%), Vater 팽대부 협착, 오디 괄약근 기능장애, 췌장 두부의 국소적 췌장염이 각각 2명 (7.7%), 유두염, 췌장 두부 가성낭종에 의한 총담관 확장, 총담관 내 회충이 각각 1명(3.8%) 있었다. 췌관의 확장은 10명(38.5%)에서 보였고, 십이지장 게실은 3명(11.5%)에서 관찰되었다. 역동적 MRCP(n=12)에서 2명(16.7%)은 일반 MRCP에서 보이지 않던 원위부 총담관이 관찰되었고, 조영증강 MRI를 시행한 10명 중 1명 (10.0%)만이 유두염의 소견을 보였다. 결론 : 비결석, 비종양성 총담관 확장의 원인을 찾는데 있어서 MRCP는 총담관 원위부 협착 및 만성 췌장염, 역동적 MRCP를 이용한 생리적 총담관의 확장, 조영증강 MRI 를 통한 담관염 및 담관 외 병소의 발견 등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