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 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암류의 암석화학

Petrochemistry on igneous rocks in the Mt. Mudeung area

  • 김용준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 박재봉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 박병규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발행 : 2002.12.01

초록

무등산 지역 화성암류는 화강편마암, 각섬석흑운모화강섬록암, 백악기 화성암류로 구성되어 있다. 백악기 화성암류는 안산암-데사이트-유문암으로 구성된 화산암류와 미문상화강암과 석영반암 등의 심성-반심성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화성암류는 중생대 송림변동-대보운동-불국사변동의 화성활동 산물로서 각 지질시대에 분출-관입한 화성암류들의 일련의 분화산물들로서 칼크-알카리암 계열에 속한다. 이는 대륙이나 대륙 연변부에서 구조운동시 생성되는 화강암류가 보이는 특징과 일치한다. 총희토류 함량에 대한 La/Yb 변화도와 바나듐에 대한 SiO$_2$ 변화도는 화산암에 대한 분화도와 자철석 분별결정작용을 받은 순서가 화순안산암$\longrightarrow$무등산데사이트$\longrightarrow$석영반암 임을 지시해 준다. 광물성분 중에서 사장석과 흑운모의 화학성분은 분화에 따른 전암 성분 변화와 잘 일치하며, 각섬석 지압력계에 의한 마그마의 정치-고결 심도는 석영섬록암은 약 15 km(4.9 Kbar)이고, 각섬석흑운모화강섬록암은 약 2.0~3.2 km (0.6~l.0 Kbar) 이다. 무등산 지역의 화성암류를 형성시킨 마그마 유형은 I형(자철석 계열) 및 동시충돌성화강암(syn-COLG)에 해당한다.

Igneous rocks of Mt. Mudeung area are composed of Pre-Cambrian granite gneiss, Triassic hornblende-biotite granodiorite, Jurassic quartz diorite and Cretaceous igneous rocks. The Cretaceous igneous rocks consist of volcanic rocks (Hwasun andesite, Mudeung-san dacite and Dogok rhyolite) and granitic rocks (micrograpic granite and quartz porphyry). Major elements of the Cretaceous igneous rocks represent calc-alkaline rock series and correspond to a series of differentiated products from cogenetic magma. Igneous activity of Mt. Mudeung area started from volcanic activity, and continued to intrusive activity at end of the Cretaceous. In chondrite normalized REE pattern, most of igneous rocks of Mt. Mudeung area show similar pattern of Eu (-) anomaly. Thi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granite in continental margin by tectonic movement. Variation diagrams of total REE vs. La/Yb V vs. SiO$_2$ indicate differentiation and magnetite fractionation sequential trend of Hwasun andesite longrightarrowMudeungsan dacitelongrightarrowquartz porphyry. In mineral composition of these igneous rocks in mt. Mudeung area, composition of plagioclase and biotite coincidence with variation of whole rock composition, and emplacement and consolidation of magma is about 15 km (about 4.9 Kbar) in Jurassic quartz diorite and 2.0~3.2 km (0.6~1.0 Kbar) in Triassic hornblende-biotite granodiorite used by amphibolite geobarometer. Parental magma type of these granitic rocks of nt. Mudeung area corresponds to VAG field in Pearce diagram, and I-type in ACF diagram.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지질도 공주지질도폭 및 설명서(1:50,000) 김규봉;이병주;황상구
  2. 한국지질도 동복지질도폭(1:50,000) 및 설명서 김봉균;박병권
  3. 광산지질 v.19 no.특별호 영남육괴에 분포하는 고기화강암질암의 지질시대와 성인에 대한 연구 김용준
  4. 광산지질 v.21 no.1 보성-순천지역에 분포하는 정편마암류의 지질시대와 성인에 대한 연구 김용준
  5. 지질학회지 v.24 no.특별호 장수-운봉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와 그의 화성활동에 대한 연구 김용준;이창신
  6. 광산지질 v.22 거창지역에 분포하는 중생대 화성암류의 K-Ar 연령과 광물의 조성 김용준;조등룡;박영석
  7. 한국지구과학회지 v.11 no.2 옥천지향사대 동남대에서의 화성활동(2): 진안-나주 사이 지역을 중심으로 김용준;박영석;주승환;오민수;박재봉
  8. 지질학회지 v.27 호남전단대에 분포하는 염리상화강암류의 암석화학과 성인 김용준;김정빈;박재봉
  9. 광산지질 v.24 no.3 옥천지향사대 동남대에서의 화성활동(3): 나주-남창지역을 중심으로 김용준;박영석;주승환;오민수;박재봉
  10. 광산지질 v.26 no.1 광주화강암체에 대한 암석 화학적 연구 김용준;오민수;박재봉
  11. 한국 지구과학회지 v.14 나주-해남 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암류의 암석화학 김용준;오민수;박재봉
  12. 한국지구과학회지 v.16 나주-영암-목포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암류의 암석화학과 화성활동에 관한 연구 김용준;박영석;박천영;김진
  13. 한국지구과학회지 v.19 전주-정읍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심성암류의 암석화학과 성인 김용준;이창신;김희남
  14. 화산원 천열수성 광상탐사 및 모델정립(1) 김종환(외 8인)
  15. 화산원 천열수성 광상탐사 및 모델정립(3);KR-92(T)-25 김종환(외 8인)
  16. 광산지질 v.23 해남지역 화산암류의 납석 및 고령토 광상의 K/Ar 연대 문희수;김영희;김종환;유장한
  17. 지질학회지 v.30 남한 중생대 화강암에 대한 각섬석 지압계와 지각 두께의 진화 조등룡;권성택
  18. KB-86-2-17 영남육괴의 Rb-Sr연령측정연구 Ⅲ (제천-단양,무주-거창지역 화강암질 편마암류 및 화강암류의 Rb-Sr연령) 주승환
  19. KR-86-7 영남육괴의 년대측정연구 2 (지리산 서남부 일대 화강암질편마암 및 편마암류 편마암류및 화강암류) 주승환;김성재
  20. 동자연보고서 KR-90-1B-2 광주화강암의 Rb-Sr연령측정 연구 주승환;지세정
  21. 지질학회지 v.24 남원지역에 분포하는 남원 화강암체에 대한 암석지화학적 연구 홍세선;김용준;김정빈
  22. The Journal of Geology v.76 no.4 Empirical correction factor for the electron microanalysis of silicate and oxides Bence,A.E.;Albee,A.L. https://doi.org/10.1086/627339
  23. Pacific Geol. v.8 Two contrasting granite types Chappel,B.W.;White,A.J.R.
  24. Am. Min. v.71 aluminum in hornblende: An emperical igneous geobarometer Hammarstrom,J.M.;Zen, E-an
  25. Rare Earth Elements Geochemistry Henderson,P.
  26. Am. Min. v.72 Confirmation of the emperical correction of Al in hornblende with pressure of solidification of calcic-alkaline plutons Hollister,L.S.;Grissom,G.C.;Peters,E.K.;Stowell,H.H.;Sisson,V.B.
  27. Ph.D. thesis, University of London Petrology and Petrochemistry of Jurassic and Cretaceous granites, southern Korea Hong,Y.K.
  28. Mining geol. v.27 The magnetite series and ilmenite series granitic rocks Ishihara,S.
  29. Geology v.17 no.9 Experimental calibration of the aluminum in hornblende geobarometer with application to Long Vallet caldera (California) volcanic rocks Johnson,M.C.;Rutherford,M.J. https://doi.org/10.1130/0091-7613(1989)017<0837:ECOTAI>2.3.CO;2
  30. Thesis of Ph.D., Univ, of Tokyo Geochemistry of hydrothermal Ateration and clay deposits in the Haenam Area, Southwestern Korea Kim,I.J.
  31. Mineralogical Magazine v.42 no.324 Nomenclature of amphiboles Leake,B.E. https://doi.org/10.1180/minmag.1978.042.324.21
  32.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v.38 no.5 Deformation of REE, Ba, Fe, Mg, Na and Ca in carbonaceous chondrite Nakamura,N. https://doi.org/10.1016/0016-7037(74)90149-5
  33. J. Petrol. Trace element discrimination diagrams for the tectonic interpretation of granitic rocks Pearce,J.A.;Harris,N.B.;Tindle,A.G.
  34. Contributions to Mineralogy and Petrology v.110 no.2-3 Amphibole composition in tonalite as a funtion of pressure: an experimental caliblation of the Al in hornblende barometer Schmidt,M.W. https://doi.org/10.1007/BF00310745
  35. Mining Geol. v.24 The iron-titanium oxides in the granitic rocks of southwestern Japan Tsusue,A.;Ishihar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