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8종 root canal sealers의 경화 전, 후의 항균효과에 관한 연구

Antimicrobial activity of eight root canal sealers before and after setting

  • Fang, Denny Y. (Department of Endodontics, University of Pennsylvania, School of Dental Medicine) ;
  • Lee, Woo-Cheol (Department of Endodontics, University of Pennsylvania, School of Dental Medicine) ;
  • Lai, Chern H. (Department of Periodontics & Microbiological Testing Laboratory, University of Pennsylvania, School of Dental Medicine)
  • 발행 : 2002.03.01

초록

항균 활성도는 Root canal sealer가 갖추어야 할 필수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최근 임상술식에 사용되고 있는 8종의 root canal sealer의 근관내 혐기성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혼합직후의 경화되지 않은 sealer와 경화 7일 후 sealer의 항균효과도 비교하였다. 항균효과 측정을 위해 사용된 균주는 최근 실패한 근관치료 증례에서 배양되어 보고된 바 있는 Enterococcus faecalis와 근관내 주요 감염균인 그램음성 혐기성세균인 Staphylococcus aureus를 대상으로 하였고, Agar diffusion test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방법으로는 2개의 paper disk에 신선하게 혼합한 각각의 sealer를 도포하여 한개의 disk는 즉시 실험에 사용하고 다른 한개의 disk는 일주일간 혐기성 배양기에서 경화시킨 다음 사용한다 각각의 균주를 Brucellar blood agar plate에 접종한 다음, sealer가 도포된 paper disk를 plate상에 올려놓는다. 대조군으로는 식염수에 침윤시킨 disc를 같은 방법으로 각 실험단계에 사용한다. 각 plate를 혐기성 배양기에서 48시간동안 배양한 뒤 실험에 사용한 sealer의 항균효과를 6mm paper-disk를 둘러싼 inhibition zone을 측정하여 평가한다. Fisher's PLSD분석방법 결과 E. faecalis에 대하여 경화 전과 후의 AH26모두 경화 전과 후의 Roth 801, Dentalis, Apexit, AH Plus, RSA그리고 경화 후의 MCS보다 유의성 있게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경화 후의 AH26은 경화 전의 AH 26, 경화 전의 Ketac Endo, 경화 전의 MCS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항균작용을 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p<0.05). 경화 후 Roth 801, 경화전과 후의 Dentalis, AH plus, Apexit, RSA는 E. faecalis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S. aureus에 대하여 경화후의 AH26이 경화 전과 후의 Roth 801, Apexit, AH Plus, RSA보다 유의성있는 항균효과를 보이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었고, 경화 전의 AH 26이 경화 후의 AH plus보다 나은 항균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 경화 전과 후의 Apexit, 경화 후의 AH Plus, 경화 전과 후의 RSA에서는 S. aureus에 대한 항균작용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 AH26이 가장 강한 항균 작용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각 sealer의 경화 전과 후의 항균효과는 AH26이 경화 전보다 경화 후에서 더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 이외에는 효과의 차이가 없었다.

키워드

참고문헌

  1. Kakehashi S, Stanley HR, Fizgerald RJ. The effects of surgical exposure of dental pulps in germfree and converntional rats. Oral surg 1965;20:340-9 https://doi.org/10.1016/0030-4220(65)90166-0
  2. Sundqvist G. Bacteriological studies of necrotic dental pulps. Umea University Odontol Dissertation No. 7 1976, Umea. Sweden
  3. Pumarola J, Berastegui E, Brau E, Canalda C, Anta MTJ. Antimicrobial activity of seven root canal sealers. Oral Surg 1992;74:216-20 https://doi.org/10.1016/0030-4220(92)90386-5
  4. Orstravik N. Antibacterial properties of root canal sealers, cements and pastes. lnt Endo J 1981;14:125-33 https://doi.org/10.1111/j.1365-2591.1981.tb01073.x
  5. AI-Khatib ZZ, Baum RH, Morse DR, Tesilsoy C, Bhambhani S, Furst ML. The Antimicrobial effect of various endodontic sealers. Oral surg 1990;70:784-90 https://doi.org/10.1016/0030-4220(90)90022-K
  6. Siqueira JF, Goncalves RB. Antibacterial activities of root canal sealers against selected anaerobic bacteria. J Endodon 1996;22:79-80 https://doi.org/10.1016/S0099-2399(96)80277-9
  7. Kaplan AE, Picca M, Gonzalez MI, Macchi RL, Molgatini SL. Antimicrobial effect of six endodontic sealers: an in vitro evaluation. Endod Dent Trauma 1999;15:42-5 https://doi.org/10.1111/j.1600-9657.1999.tb00748.x
  8. Sjogren U, Figdor D. Persson S, Sundqvist G. Influence of infection at the time of root filling on the outcome of endodontic treatment of teeth with apical periodontitis. Int Endodon J 1997;30:297-306 https://doi.org/10.1111/j.1365-2591.1997.tb00714.x
  9. Sundqvist G, Figdor D, Persson S, Sjogren U. Microbiologic analysis of teeth with failed endodontic treatment and the outcome of conservative re-treatmen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 1998;85:86-93 https://doi.org/10.1016/S1079-2104(98)90404-8
  10. Stevens RH & Grossman LI. Evaluation of the antimicrobial potential of calcium hydroxide as an intracanal medicament. J Endodon 1983;9:372-374 https://doi.org/10.1016/S0099-2399(83)80187-3
  11. Spangberg LSW, Barbosa SV, Lavigne GD. AH26 releases formaldehyde. J Endodon 1993;19:596-8 https://doi.org/10.1016/S0099-2399(06)80272-4
  12. Gorduysus O. An evaluation of antimicrobial efficiency of endo-fill root canal sealant and filling material. J Endodon 1999;25:652 https://doi.org/10.1016/S0099-2399(99)80348-3
  13. Duarte MAH, Demarchi AC, Giaxa MH, Kuga MC, Fraga S, Duarte de Souza LC. Evaluation of pH and calcium ion release of three root canal sealers. J Endodon 2000;26:389-390 https://doi.org/10.1097/00004770-200007000-00002
  14. Svanberg M, Mjor IA, Orstavik D. Mutans streptococci in plaque from margins of amalgam, composite, and glass-ionomer restorations. J Dent Res 1990:69:861-64 https://doi.org/10.1177/00220345900690030601
  15. Loyola-Rodriguez JP, Garcia-Godoy F, Lindquist R. Growth inhibition of glass ionomer cements on mutans streptococci. Pediatr Dent 1994;16:346-49
  16. Ray H, Seltzer S. A new glass ionomer root canal sealer. J Endodon 1991;17:598-603 https://doi.org/10.1016/S0099-2399(06)81832-7
  17. Friedman S, Lost C. Zarrabian M, Trope M. Evaluation of success and failure after endodontic therapy using a glass ionomer cement sealer. J Endodon 1995;21:384-90 https://doi.org/10.1016/S0099-2399(06)80976-3
  18. Shalhav M, Fuss Z, Weiss EI.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y of a glass ionomer endodontic sealer. J Endodon 1997;23:616-9 https://doi.org/10.1016/S0099-2399(97)80172-0
  19. Tobias RS. Antibacterial properties of dental restorative materials: a review. Int End J 1988;21:155-60
  20. Cohen BI, Pagnillo MK, Musikant BL, Deutsch AS. An in vitro study of the cytotoxicity of two root canal sealers. J Endodon2000;26:228-9 https://doi.org/10.1097/00004770-200004000-0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