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ONGITUDIN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THE ELECTRON TEMPERATURE AND DENSITY IN THE LOW_LATITUDE TOPSIDE IONOSPHERE OBSERVED BY KOMPSAT-1

다목적 실용위성 1호로 측정한 저위도 상부 이온층의 전자 온도와 전자 밀도의 경도 및 계절별 변화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The electron density and temperature in the topside ionosphere are observed by the ionosphere Measurement Sensor (IMS) onboard the KOMPSAT-1, which has the sun-synchronous orbit of the altitude of 685 km and the orbital inclination of $98^{\circ}$ with a descending node at 22:50LT. Observations have been analyzed to determine the seasonal variations of the electron density and temperature in the low-latitude region. Only the night-time (22:50LT) behavior on magnetically quiet days (Kp < 4) has been examined. Observations show a strong longitudinal and seasonal variation. Generally, in the dip equator the density increases and the temperature decreases. In equinox the latitudinal distributions of the electron density and temperature are quite symmetric about the dip equator. However, the local maximum of the density and the local minimum of the temperature shift toward the Northern hemisphere in summer solstice but the Southern hemisphere in winter solstice. Such variations are due to the influences of field-aligned plasma transport induced by F region neutral wind. Compared with the IRI95 model, the observed electron density and temperatur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ose predicted by the IRI95 model.

다목적 실용위성 1호는 고도 685km, $98^{\circ}$의 궤도 경사각를 가지며, 탑재된 이온층 측정 센서(Ionospheric Measurement Sensor)로 전자 온도와 전자 밀도를 측정하였다. 이 관측 자료로부터 22:50LT인 밤 시간에 $+60^{\circ}~-60^{\circ}$의 저위도 지역에서 자기적으로 안정한 상태(Kp <4)의 계절별 전자 밀도와 전자 온도의 분포를 구하였다. 관측 결과, 전자 온도와 전자 밀도의 분포는 계절과 경도에 따라 변화를 나타냈다. 대체로 전자 밀도는 자기 적도 부근에서 높아지고, 전자 온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봄, 가을에는 전자 밀도와 온도 모두 자기 적도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분포하였다. 그러나 여름에는 전체적으로 북반구 쪽으로 이동하여 전자 밀도의 극대점과 전자 온도의 극소점이 자기 적도 북쪽에 위치하였고, 겨울에는 이와 반대의 변화를 나타냈다. 또한, 각 계절에서 경도에 따라서도 전자 온도와 밀도 분포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가 생기는 원인은 경도와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F층의 중성 바람이 이온층 플라즈마에 영향을 주는 것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 관측에서 얻은 전자온도와 밀도의 분포는 IRI95모델을 이용해 구한 분포와 차이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JGR v.102 Balan,N.;Oyama,K.I.;Bailey,G.J.;Fukao,S.;Watanabe,S.;Abdu,M.A. https://doi.org/10.1029/97JA00039
  2. Radio Sci. v.36 Bilitza,D. https://doi.org/10.1029/2000RS002432
  3. IEEE Trans. Plasma Sci. v.28 Burke,W.J.;Maynard,N.C. https://doi.org/10.1109/27.902218
  4. J. Atmos. Sol. Terr. Phys. v.62 Dabas,R.S.;Reddy,B.M.;Lakshmi,D.R.;Oyama,K.I.
  5. JGR v.102 Fejer,B.G.;Scherliess,L. https://doi.org/10.1029/97JA02164
  6. JGR v.85 Heelis,R.A.;Hanson,W.B. https://doi.org/10.1029/JA085iA06p03045
  7. Adv. Space Res. v.14 Oyama,K.I.
  8. Geophys. Res. Lett. v.26 Vannaroni,G.;Dobrowolny,M.;Venuto,F.D.;Iess,L.;Zolesi,B. https://doi.org/10.1029/1999GL900617
  9. JGR v.104 Venkatraman,S.;Heelis,R. https://doi.org/10.1029/1998JA900109
  10. JGR v.104 Venkatraman,S.;Heelis,R. https://doi.org/10.1029/1999JA900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