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일리지용 우량 보리품종 선발 1. 생육특성 및 생초수량

Selection of Promising Barley Cultivar for Silage 1. Growth Characteristics and Fresh Matter Yield

  • Kim, W.H.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Seo, S.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Chung, E.S.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Shin, D.E.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Park, T.I.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RDA) ;
  • Koh, J.M. (National You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RDA) ;
  • Park, G.J.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발행 : 2002.09.01

초록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보리 우량품종 선발을 하고자 경기 수원(축산연), 전북익산(호시), 경남 밀양(영시)에서 1999∼2001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생육특성과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수원지역 보리의 출수기는 4월 30일에서 5월 4일까지고 익산지역은 4월 24일에서 5월 3일 그리고 밀양지역은 4월 17일에서 29일까지였다. 그리고 황숙기 수확시 생초수량은 수원, 익산 그리고 밀양에서 각각 24.07∼29.88, 23.18∼32.07 그리고 17.16∼28.11톤/㏊ 범위였다. 또한 건물수량에 있어서도 각각 8.78∼9.98, 6.66∼12.73 그리고 7.23∼11.57톤/㏊ 범위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promising barley cultivar for whole crop silage in paddy Held of Suwon, Iksan and Milyang from 1998 to 2001. The heading stage of barley were April 30∼May 4, April 24∼May 3 and April 17∼29 at Suwon, Iksan and Milyang, respectively. In yellow ripe stage, fresh of barley were 24.07∼29.88, 23.18∼32.07 and 17.16∼28.11 MT per ha at Suwon, Iksan and Milyang. and dry matter yield of barley were 5.78∼9.98, 6.66∼12.73 and 7.23∼11.57 MT per ha at Suwon, Iksan and Milyang, respectively. Also, total digestible nutrient(TDN) yield was 5.67∼6.57 MT per ha at Suwon and it was best before yellow ripe stage for harvest in cropping system. The promising barley cultivars for whole crop silage in paddy field were Albori at Suwon, and Milyang 92, Saessalbori, Keunalbori, Naehanssalbori at Iksan, and Keunalbori, Albori, Naehanssalbori, Saegangbori at Milyang, respec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동암. 1983. 사료작물 (그 특성과 재배방법). pp. 219-234, 309-320. 선진문화사, 서울
  2. 김정갑, 신재순, 서 성, 김원호, 강우성. 1999. 답리작 조사료 최대 생산이용. 축산기술연구소, 정읍시 농업기술센터. pp. 1-109
  3. 김정갑, 임용우, 정의수, 조영무, 최기준, 김원호, 신재순, 박근제, 이종경, 김 종근, 서 성, 강우성, 윤세형. 1998. 조사료(표준영농교본-91). 제 7장. 논 뒷그루 사료작물 재배이용. pp. 126-141
  4. 김정갑, 한민수, 김건엽, 한정대, 강우성, 신정남. 1995. 주요 사료작물의 곤포 silage 조제이용에 관한 연구. Ⅱ. 생육단계별 건물축적 형태와 곤포 silage 조제이용. 한초지 15(3) : 198-206
  5. 남중현. 2000. 답리작 맥류를 도입한 사료자급율 제고방안. 한국맥류연구회지. 7(1):2-9
  6. 농림부. 2000. 농림업 주요통계. 2000-34
  7. 농림부, 농협중앙회. 2001. 조사료 생산이용 교육교재. pp. 1-113
  8. 박근제, 서 성, 김원호, 조원모. 2000.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 생산․이용기술. 축산기술연구소, 순천시. pp. 1-99
  9. 박민수. 2000. 낙농경영에 있어서 조사료 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관한 연구 농촌진흥청 농업경영관실 보고서
  10. 백성범. 1998. 보리. 한국맥류연구회지. 5. PP 87-88
  11. 서성, 박경규, 신승열. 1999. 친환경 답리작 조사료 생산기술 및 일관작업 을 위한 기계화 모델 심포지움. 농림부, 경북대, 축산연, 농경연 pp. 1-86
  12. 심교문, 이정택, 윤성호, 황규홍. 2000. 가을보리 재배기간중의 기상변화.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3) : 95-102
  13. 작물시험장. 2000. 보리.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14. 작물시험장. 2001. 친환경농업 실천을 위한 맥류과학영농 참고자료
  15. Seo, S., W. H. Kim, M. J. Kim, K. H. Chung and W. Y. Kim. 1998. Effect of harvesting stage and mechanical conditioning on the field drying rate and quality of rye hay. The 8th WCAP Proc. Vol.Ⅱ : 542-543

피인용 문헌

  1. Study on Nutritive Values of Whole Crop Barley Varieties Grown in a Paddy Field vol.33, pp.1, 2013, https://doi.org/10.5333/KGFS.2013.33.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