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uptive Phases and Volcanic Processes of the Guamsan Caldera, Southeastern Cheongsong, Korea

구암산 칼데라의 분출상과 화산과정

  • ;
  • ;
  • ;
  • A.J. Reedman
  • 황상구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손진담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연구부) ;
  • 이병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연구부) ;
  • Published : 2002.09.01

Abstract

Rock units, relating with the Guamsan caldera, are composed of Guamsan Tuff and rhyolitic intrusions. The Guamsan Tuff consists almost entirely of ash-flow tuffs with some volcanic breccias and fallout tuffs. The volcanic breccia comprises block and ash-flow breccias of near-vent facies and caldera-collapse breccia near the ring fracture. The lower ash-flow tuffs are of an expanded pyroclastic flow phase from the pyroclastic flow-forming eruption with an ash-cloud fall phase of the fallout tuffs on the flow units, but the upper ones are of a non-expanded ash-flow phase from the boiling-over eruption. The rhyolitic intrusions are divided into intracaldera intrusions and ring dikes that are subdivided into inner, intermediate and outer dikes. We compile the volcanic processes along a single cycle of cadela development from the eruptive phases in the Guamsan area. The explosive eruptions began with block and ash-flow phases from collapse of glowing lava dome caused by Pelean eruption, progressed through expanded pyroclastic flow phases and ash-cloud fallout phases during high column collapse of pyroclastic flow-forming eruption from a single central vent. This was followed by non-expanded ash-flow phases due to boiling-over eruption from multiple ring fissure vents. The caldera collapse induced the translation into ring-fissure vents from a single central vent in the earlier eruption. After the boiling-over eruption, there followed an effusive phase in which rhyolitic magma was injected and erupted to be progressively emplaced as small plugs/dikes and ring dikes with many lava domes on the surface. Finally rhyodacitic magma was on emplaced as a series of dikes along the junction of both outer and intermediate dikes on the southwestern side of the caldela.

구암산 칼데라는 청송 남동부에 위치하며, 이에 관련된 층서단위는 구암산응회암과 유문암질 관입체가 있다. 구암산응회암은 대부분 회류응회암으로 구성되고 화산각력암과 얇은 강하응회암을 협재한다 화산각력암은 분포위치와 층서에 따라 하부의 암괴회류 각력암과 상부의 칼데라함몰 각력암으로 구분된다. 하부에서 회류응회암은 화채류 형성 분출에 의한 팽창성 화채류상이고 강하응회암은 회운 강하강이며, 상부에서 회류응회암은 끓어넘침 분출에 의한 비팽창성 회류상이다. 유문암질 관입체는 분포위치와 산출패턴에 따라 칼데라내부 관입체, 환상암맥으로 구분되고 환상암맥은 내측, 중간, 외측 환상암맥으로 나뉜다. 구암산 칼데라는 대체로 회류응회암-칼데라-환상암맥으로 연결되는 히나의 칼데라 윤회를 나타낸다. 구암산 칼데라 지역에서 나타나는 분출상들로부터 칼데라 윤회에 따라 화산과정을 다음과 같이 엮을 수 있다. 분출작용은 먼저 국부적인 펠리안 분출에 의한 암괴회류상으로 시작되었으며 연이어 화쇄류 형성 분출로부터 강한 유체화로 팽창성 화쇄류상으로 전환되고 회운 강하상도 수반되었다. 이때 분연주는 높이가 점차 낮아졌으며 화쇄류의 유체화도 줄어들었다. 다시 끓어넘침 분출에 의한 비팽창성 회류상으로 전환되어 고온의 화성쇄설물이 일시에 방출되어 정치됨으로써 매우 심하게 용결되었다. 끓어넘침 분출은 칼데라 함몰과 함께 환상단열로의 화구 이동에의해 본격화되었다. 분출초기에는 중앙화구호부터 화채류가 발생되었지만 후기에는 환상단열화구로의 위치가 변경되어 회류가 다량으로 발생하였다. 회류 분출 후에는 칼데라내부 모우트의 갈라진 틈과 환상단열대를 따라 분류상이 연속적으로 뒤따랐으며 이들에 의한 함몰후 화산으로서 용암도움은 침식으로 사라졌지만 화산뿌리로서 칼데라내부 관입체와 3개의 환상암맥을 노출시킨다. 마지막으로 남서측 환상암맥의 관절부위에 유문데사이트가 순차적으로 연속 관입되어 환상암맥의 일원이 되었다.수술 전항생제를 충분히 사용한 경우와 비슷한 좋은 결과를 보여 활동성 심내막염의 조기 외과적 치료가 효과적으로 감염을 제거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N-화합물의 함량과 이들의 수량에 미치는 붕소의 시비효과는 초종, 단파와 혼파재배, 그러고 추비의 시비조건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지질학회지 v.29 경상퇴적분지 내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류의 암석지구화학적 연구 김규한;이진수
  2. 암석학회지 부산 일원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류의 암석학적 연구(Ⅰ) 김진섭;윤성효
  3. 한국지질도 기계도폭 오인섭;정국성
  4. 지구과학회지 v.21 경상분지 동북부 보경사화산암체의 암석학적 연구 윤성효;이문원;고정선;김영라;한미경
  5. 지질학회지 v.23 남한의 백악기 제삼기 화성활동과 지구조적 의의 이상만;김상욱;진명식
  6. 대한지질학회 춘계학술답사 가이드북 청송 주왕산 일대의 화산지질 황상구
  7. 지질학회지 v.38 청송 남동부 구암산 칼데라의 함몰유형과 진화 황상구
  8. 지질학회지 v.38 구암산 칼데라에 관련된 화산암류의 마그마 진화 황상구
  9. 지질학회지 v.28 양산칼데라의 규질 화산작용 황상구;김상욱
  10. 지질학회지 v.30 밀양-양산지역 백악기 화산암류의 암석학적 연구(Ⅰ): 암석조구조적 위치 황상구;김상욱
  11. 암석학회지 v.7 삼랑진 칼데라의 화산작용과 화성과정 황상구;김상욱;이윤종
  12. 암석학회지 v.6 원동 칼데라의 화산작용과 화산과정 황상구;이기동;김상욱;이재영;이윤종
  13. J. Geophys. Res. v.89 Formation of the Aira caldera, southern Kyushu, ~22,000 years ago Aramaki, S.
  14. Bull. Vlocanol. v.58 The dynamics and thermodynamics of large ash flows Bursik, M.I.;Woods, A.W.
  15. Greece. J. Geol. v.93 Vent evolution and lag breccia formation during the Cape Riva eruption of Santorini Druitt, T.H.
  16. Oregon. J. Volcanol. Geotherm. Res. v.29 Lithic breccia and ignimbrite erupted during the collapse of Crater Lake caldera Duritt, T.H.;Bacon, C.R.
  17. Nature v.310 On the formation of calderas during ignimbrite eruptions Druitt, T.H.;Sparks, R.S.J.
  18. Nature v.301 The Cerro Galan ignimbrite Francis, P.W.;O'Callaghan, L.;Kretzchmar, G.A.;Thorpe, R.S.;Sparks, R.S.J;Page, R.N.;de Barrio, R.E.;Gillou, G.;Gonzalez, O.E.
  19. J. Volcanol. Geotherm. Res. v.88 Injection and arrest of dykes: implications for volcanic hazards Gudmundsson, A.;Marinoni, L.B.;Marti, J.
  20. Geol. Soc. Am. Bull. v.97 Ring-fracture eruption of the Bishop Tuff Hildreth, W.;Mahood, G.A.
  21. J. Geophys. Res. v.89 Roots of ash-flow calderas in western North America: windows into the tops of granitic batholiths Lipman, P.W.
  22. Italy. Bull. Volcanol. v.57 Interaction between caldera collapse and eruptive dynamics during Campanian Ignimbrite eruption, Phlegrean Fields Rosi, M.;Vezzoli, L.;Aleotti, P.;De Censi, M.
  23.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Memoir v.116 Resurgent cauldrons Smith, R.L.;Bailey, R.A.
  24. Sedimentology v.23 Grain size variations in ignimbrites and implications for the transport of pyroclastic flows Sparks, R.S.J.
  25. Geology v.1 Products of ignimbrite eruptions Sparks, R.S.J.;Self, S.;Walker, G.P.L.
  26. J. Volcanol. Geotherm. Res. v.8 The role of fluidisation in the emplacement of pyroclastic flows: An experimental approach Wilson, C.J.N.
  27. Geology v.5 The ignimbrite source problem: significance of a co-ignimbrite lag-fall deposits Wright, J.A.;Walker, G.P.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