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Names of Korean Old Movable Types

한국 고활자명에 대한 연구 - 임진왜란 이후의 목활자를 중심으로 (II) -

  • 윤상기 (동의대학교 인문대학 인문학부)
  • Published : 2002.09.01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veral basic wooden movable types molded in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description begins with summarizing each basic history of movable types. The parts that have not been clearly defined are relatively dealt with in detail. Subsequently the existing movable types are examined as many as possible and arranged one by one. And through analyzing the elements used in these movable type names, it is examined which elements were preferred by the existing movable type names. This preference could be helpful for naming the newly found types or renaming the existing types. Next each standard name of movable types has been selected in total 10 movable types with applying writer's own selection standard. Those are as follows: 'Moongyepak mokwhalja(文繼朴木活字)', 'Naju mokwhalja(羅州木活字)', 'Chunki kyosoekwan pilseocheja(前期校書館筆書體字)', Injosillokja(仁祖實錄字)', 'Hyojongsilokja(孝宗實錄字)', 'Huki kyosoekwan pilseocheja(後期校書館業書體字)', 'Koansanggam seomyeong daeja(觀象監 書名大字)', 'Kyeongsejeongeumja(經書正音字)', 'Panghongmujeongwon daeja(倣洪武正韻大字)', 'Seomgaemuninlok daeja(剡溪門人錄大宇)'.

이 연구는 임진왜란 이후에 조성된 목활자들 중 일부 활자의 기본활자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술은 먼저 대상 활자들에 대하여 각각의 간단한 내력을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하였는데, 분명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들에 대해서는 비교적 상세하게 다루었다. 이어서 각 문헌을 통하여 기존의 활자명들을 가능한 한 많이 조사하여 각 활자별로 나열하였다. 다음으로 이들 활자명에 이용된 요소들을 분석하여 기존의 활자명들이 어떤 요소들을 선호하고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 선호도는 새로 발견된 활자에 대하여 명명하거나 기존의 활자에 대해 다시 명명할 때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어서 필자 나름의 선정 기준을 적용하여 총 10종의 활자들에 대해 '交繼朴木活字', '羅州木活字', '前期校書館筆書體字', '仁祖寶錄字', '孝宗寶錄字', '後期校書館筆書體字', '觀象監 書名大字', '經書正音字', '倣洪武正韻大字', '剡溪門人錄大字'를 각각 표준 활자명으로 선정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울大學校 開校 20周年記念 貴重圖書展示會 展示目錄
  2. 淸州古印刷博物館
  3. 書誌學硏究(第5 · 6 合輯) 奎章閣의 圖書刊印에 관한 硏究 姜順愛
  4. 韓國古書綜合目錄 國會圖書館司書局參考書誌課 (編)
  5. 大東文化硏究(第4輯) 近世朝鮮後期活字印本에 關한 綜合的考察 金斗種
  6. 庸齊白樂濬博士還甲紀念 國學論叢 李氏朝鮮의 後期活字의 改鑄와 潛谷, 金堉先生三代(子에 佐明 孫에 錫胄)의 貢獻 金斗種
  7. 韓國古印刷技術史 金斗種
  8. 韓國古印刷文化史 金斗種
  9. 건대신문 no.183 韓國의 古活字와 그 印本 金錫淳
  10.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圖書館學科 碩士學位論文 訓鍊都監字本에 關한 硏究 金秀亨
  11. 鄕土 서울 no.7 李朝後期의 鑄字印刷 金元龍
  12. 韓國史硏究 no.3 朝鮮後期 活字本의 形態書誌學的 硏究(上 ): 宣祖25~隆熙4년 사이의 奎章閣所藏圖書를 中心으로 白麟
  13. 韓國史硏究 no.4 朝鮮後期活字本의 形態書誌學的 硏究(下) : 宣祖25~隆熙4年 사이의 奎章閣所藏圖書를 中心으로 白麟
  14. 韓國圖書館史硏究(韓國圖書館協會叢書, 3) 白麟
  15. 韓國文化史大系, Ⅲ : 科學技術史 韓國印刷技術史 孫寶基;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編)
  16. 금속활자와 인쇄술 손보기
  17. 새판 한국의 고활자 손보기
  18. 세종시대의 인쇄출판 손보기
  19. 한국의 고활자 손보기
  20. 書誌學硏究(第5 · 6合輯) 朝鮮朝 譯學書의 版種에 관한 硏究 安美璟
  21. 書誌學硏究(第2輯) 甲寅字鑄字事實補疑 安春根
  22. 도서관 v.30 no.1 羅州牧活字 攷 尹炳泰
  23. 도서관 v.31 no.3 洛東契活字 考 尹炳泰
  24. 圖書館學論集(第4輯) 文繼朴 木活字 考 : 嶺南地方 活字考 其一 尹炳泰
  25. 도협월보 v.15 no.11 經書正音字攷 尹炳泰
  26. 奎章閣 v.11 奎章閣 所藏 活字 字譜考 尹炳泰
  27. 奎章閣 v.1 奎章閣圖書와 韓國活字印刷史 硏究 : 그 硏究史와 史料를 中心으로 尹炳泰
  28. 도서관 v.29 no.10 耶蘇三字經大字考 尹炳泰
  29. 圖書館學會誌 no.4 丁酉字의 鑄造와 奎章字藪 尹炳泰
  30. 奎章閣 v.2 朝鮮時代 活字 使用考 尹炳泰
  31. 延世大學校 大學院 圖書館學科 碩士學位論文 朝鮮朝 大型活字考 尹炳泰
  32. 연세대학교 도서관학총서, 제18집 朝鮮朝活字考 : 大型活字 尹炳泰
  33. 朝鮮後期의 活字와 冊 尹炳泰
  34. 東義論集(第24輯), 人文 · 社會科學篇 韓國 古活字名에 대한 硏究 : 壬辰倭亂 以前의 金屬活字를 中心으로 윤상기
  35. 東義論集(第28輯) , 人文 · 社會科學篇 韓國 古活字名에 대한 硏究 : 壬辰倭亂 以前의 木活字를 中心으로 윤상기
  36. 書誌學硏究(第16輯) 韓國 古活字名에 대한 硏究 : 壬辰倭亂 以後의 金屬活字를 中心으로(乾) 윤상기
  37. 書誌學報 no.22 韓國 古活字名에 대한 硏究 : 壬辰倭亂 以後의 金屬活字를 中心으로(坤) 윤상기
  38. 書誌學硏究(第19輯) 韓國 古活字名에 대한 硏究 : 壬辰倭亂 以後의 木活字를 中心으로(Ⅰ) 윤상기
  39. 韓國古活字集 李潭周(編著)
  40. 韓國古活字見本帖 藏書閣(編)
  41. 韓國書誌學辭典 諸洪圭(編著)
  42. 韓國民族文化大百科事典 목활자 木活字 千惠鳳;韓國精神文化硏究院(編)
  43. 韓國民族文化大百科事典 실록자 實錄字 千惠鳳;韓國精神文化硏究院(編)
  44. 韓國民族文化大百科事典 책 冊 千惠鳳;韓國精神文化硏究院(編)
  45. 韓國書誌學(개정판) 千惠鳳
  46. 韓國書誌學(대우학술총서 · 인문사회과학 58) 千惠鳳
  47. 韓國古印刷史 千惠鳳
  48. 한국목활자본 천혜봉
  49. 韓國書誌學硏究 : 古山千惠鳳敎授定年紀念選集 千惠鳳
  50. 韓國典籍印刷史 千惠鳳
  51. 韓國民族文化大百科事典 인쇄 印刷 千惠鳳;韓國精神文化硏究院(編)
  52. 韓國民族文化大百科事典 활자 活字 千惠鳳;韓國民族文化硏究院(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