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Background: Congenital heart surgery may lead to myocardial swelling and hemodynamic instability. Delayed sternal closure may be beneficial in this set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mortality and mediastinal infection rate associated with delayed sternal closure after congenital heart surgery an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which affect mortality and mediastinal infection rate. Material and Method: We retrospectively reviewed 40 patients who underwent delayed sternal closure after repair of congenital heart disease at Yonsei Cardiovascular Hospital, from January 1994 to May 2001. In these patients, we assessed the mortality and mediastinal infection rate, and evaluated their risk factors including operation time, bypass time, aortic cross clamp time, duration to sternal closure and postoperative artificial ventilation time. Mediastinal infection was defined to have positive culture in mediastinum. Result: Hemodynamic instability was the most common indication for delayed sternal closure(n=36) and other indications included postoperative bleeding(n=2) and conduit compression(n=2). The median age at operation was $14.4{\pm}33.4$months old(range, 2days-12years). The patients with postoperative bleeding and conduit compression were much older than the others. The sternum was left open for $4.5{\pm}3.4$ days(range, 1-20days). Overall mortality was 25%(10/40) and mediastinal infection occured in 24.3%(9/37) (3 patients were excluded in mediastinal infection for early death). In risk factor analyses, only aortic cross clamp time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mortality in univariate analyses. However, multivariate analyses reveal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predictors for risk of mortality and mediastinal infection. Conclusion: Delayed sternal closure after repair of congenital cardiac disease had relatively high mortality and mediastinal infection rate. But, in patients with hemodynamic instability, postoperative bleeding and conduit compression after repair of congenital cardiac disease, delayed sternal closure may be an effective life saving method.
목적: 선천성 심장질환에서 수술 직후 심장부종이나 혈역학적 불안정 상태시 흉골을 열어놓고 나중에 봉합을 하는 지연 흉골 봉합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사망률과 종격동 감염률 그리고 그 위험 인자를 알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1년 5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장혈관병원에서 선천성 심장수술 후 지연 흉골 봉합을 시행한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에 있어서 사망률과 종격동 감염률를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수술시간, 인공심폐기 사용시간(bypass time), 대동맥 결찰시간(ACC time), 수술 후 흉골을 열어놓고 있었던 시간, 인공호흡기를 하고 있었던 기간을 조사하였다. 종격동 감염은 종격동에서 균이 동정된 경우로 정의 하였다. 결과: 흉골을 열고 나온 이유로는 혈역학적 불안정이 36명으로 가장 많았고 출혈과 흉골 봉합시 도관(conduit)이 눌려 열고 나온 경우가 각각 2명이었다. 이들의 수술시 나이는 $14.4{\pm}33.4$개월(2일-12년 2개월)이었고 출혈과 흉골 봉합시 도관이 눌려 흉골을 열고 나왔던 4명 모두 나머지에 비해 나이가 많았다. 봉합까지의 평균 기간은 $4.5{\pm}3.4$일(1~20일)이었다. 사망률은 25%(10/40)였으며 종격동 감염률은 수술후 10일 이전에 감염이 원인이 아닌 사망을 보인 3명의 환자를 제외한 나머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 24.3%(9/37)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사망률과 종격동 감염율에 미치는 위험 인자로 수술 시간, 인공심폐기 사용기간, 대동맥 결찰시간, 수술후 흉골을 열고 있었던 기간, 인공호흡기를 하고 있었던 기간을 설정 후 이에 대한 단변량 분석결과 대동맥 결찰 시간만이 사망률에 대해 의미를 가졌으나 다변량 분석결과에서는 통계학적 의미를 갖지 못했다. 결론: 선천성 심장병 수술후 지연 흉골 봉합을 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사망률과 종격동 감염률을 보였으나 수술후 혈역학적 불안정상태 및 출혈, 도관이 눌러는 경우 등에 있어서 수술당시 흉골 봉합을 시도했다면 더 높은 사망률이 예상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 지연 흉골 봉합을 통하여 더 높은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