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sent Status of Soilborne Disease Incidence and Scheme for Its Integrated Management in Korea

국내 토양병해 발생현황과 종합 관리방안

  • 김충회 (농업과학기술원 작물보호부 식물병리과) ;
  • 김용기 (농업과학기술원 작물보호부 식물병리과)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Incidence of soilborne diseases, as a major cause of failure of continuous monocropping becomes severe in recent years. For examples, recent epidemics of club root of chinese cabbage, white rot of garlic, bacterial wilt of potato, pepper phytophthora blight, tomato fusarium wilt and CGMMV of watermelon are the diseases that require urgent control measures. Reasons for the severe incidence of soilborne diseases are the simplified cropping system or continuous monocropping associated with allocation of major production areas of certain crop and year-round cultivation system that results in rapid degradation of soil environment. Neglect of breeding for disease resistance relative to giving much emphasis on high yield and good quality, and cultural methods putting first on the use of chemical fertilizers are thought to be the reason. Counter-measures against soilborne disease epidemics would become most effective when the remedies are seeded for individual causes. As long-term strategies, development of rational cropping system which fits local cropping and economic condition, development and supply of cultivars resistant to multiple diseases, and improvement of soil environment by soil conditioning are suggested. In short-term strategies, simple and economical soil-disinfestation technology, and quick and accurate forecasting methods for soilborne diseases are urgent matter far development. for these, extensive supports are required in governmental level for rearing soilborne disease specialists and activation of collaborating researches to solve encountering problems of soilborne diseases.

최근 연작장해의 주원인으로 지적되는 토양병해의 발생은 매우 심각한 양상을 띄고 있다. 그 예로 배추 무사마귀병, 마늘 흑색썩음균핵병, 감자의 풋마름병, 고추 역병, 토마토 시들음병 , 수박의 CGMMV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모두 시급히 해결하지 안되는 현실문제다. 토양병 발생이 이렇게 심각해진 것은 특정작물의 주산단지화 및 주년 생산체계, 시설원예의 보편화에 의한 획일적인 작부체계 내지는 동일작물 연작에 의해 토양환경이 급속히 악화된데 그 근본 원인이 있으며 이외에 수량 및 품질위주의 품종 육성에 의해 작물의 병 저항성을 소홀히 한 점이나 화학비료 위주의 경종방법 등도 토양병 발생을 부추기는 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토양병 발생에 대한대책으로 그 원인을 찾아 제거하는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되는바 장기적인 대책으로 지역의 현실여건 및 경제성을 고려한 합리적 작부체계의 개발·운용, 작물별로 피해가 심한 다수 병해를 대상으로 한 복합저항성 품종의 육성 ·보급, 농토배양 및 토양개량을 통한 악화된 토양환경의 개선을 들 수 있고 단기적인 대책으로는 간편한 토양소독 기술의 개발·보급, 신속·정확한 토양병 예찰기술의 정립이 긴급하다. 이를 위하여 토양병 전문연구자의 육성 및 현장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연구의 활성화 등에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청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Ahn, I. P, Park, K. S. and Kim, C. H. 2002. Rhizobacteria-induced resistance perturbs viral disease progress in tobacco and triggers defense-related gene expression. Mol. Cells 13: 302-308
  2. 농업기술연구소. 1992. 증보 한국토양총설. 725pp
  3. 최진식,박창석. 1982. 남부 시설원예지대의 주요병 발생생태에 관한 연구. 한식보호지 21(3): 1-6
  4. 최성호, 김동휘 , 김충국, 서종호. 1997. 밭작물 기지 현상 경감기술개발연구. 작물시험장시험연구보고서(작물환경편): 17-26
  5. Hwang, B. K. and Kim, C. H. 1995. Phytophthora blight of pepper and its control in Korea. Plant Dis. 79(3): 221-227 https://doi.org/10.1094/PD-79-0221
  6. Jeun, Y. C., Park, K. S. and Kim, C. H. 2001. Different mechanisms of induced systemic resistance and systemic acquired resistance against Colletotrichum orbiculare on the leaves of cucumber plants. Mycobiology 29(1): 19-28
  7. 강승원, 이장우, 채규창, 백수봉. 1986. 참깨 윤작체계시험 . 경기도 농촌진흥청 시험연구보고서 : 211-218
  8. 김충회. 1993. 고추의 진균 및 세균병해 발생현황과 방제대책. 한국고추연구회지 2: 1-11
  9. 김충회.2002.2001년 농작물 병해 발생개황. 식물병연구 8(1): 1-10 https://doi.org/10.5423/RPD.2002.8.1.001
  10. 김충회, 조원대, 김홍모. 2000a. 배추 무사마귀병균의 토양내 분포.식물병연구 6(1): 27-33
  11. 김충회,조원대, 김홍모. 2000b.배추무사마귀병균 휴면포자의 발아 및 생존에 미치는 몇가지 환경요인. 농약과학회지 4(4): 66-71
  12. 김충회,조원대, 양종문.1999. 배추 무사마귀병 발생실태와 뿌리혹의 생성생태.식물병과농업 5(2): 77-83
  13. 김충회, 한기돈, 박경석 .1996.생강주산지에서의 뿌리썩음병 발생실태. 한식병지 12(3): 336-344
  14. 김충회 , 양성석 , 한기돈. 1998. Pythium myriotyrum에 의한 생강뿌리썩음병의 포장내 발병진전에 미치는 토앙소독, 살균제시용, 좁은 이랑재배효과. 한식병지 4(3): 253-259
  15. 김용기, 최용철, 유갑희 , 이경휘,신용화.1988.고추 역병 방제용 길항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방제. 농시연보 30(3): 8-18
  16. 이승돈. 1999. 한국의 주요 식물세균병 발생 및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0pp
  17. Lisansky, S. 1999. Biopesticides Vol. 1. Markets. CPL Scientific Information Services, 195pp
  18. 박창석. 1990. 난방제 토양전염성병의 발생생태와 방제방안. 농진청 심포지엄 6: 23-35
  19. Park, K. S., Ahn, I. P. and Kim, C. H. 2001. Systemic resistance and expression of the pathogenesis-related genes mediated by the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um Bacillus amyloliquefaciens EXTN-l against anthracnose disease in cucumber. Mycobiology 29: 48
  20. 농촌진흥청. 2001a. 병해충 잡초의 생물적 방제기술. 432pp
  21. 농촌진흥청. 2001b.십자화과채소의 무사마귀병 발생생태 및 방제대책 연구. 대형공동연구과제 완결보고서. 111pp
  22. 신동범 , 이준탁. 1987.답리작 상치 시설재배지에서의 균핵병 발생생태에 관한 연구. 한식병지 3(4): 252-260
  23. 양성석 , 김충회 , 남기웅. 2000a.시설과채류 Fusarium병의 발생생태에 관한 연구.2.유기물의 종류, 시용량 및 부숙정도가 토마토와 오이의 Fusarium병 발생과 토양미생물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식물병연구 6(2): 65-70
  24. 양성석 , 김충회, 남기웅. 2000b.시설과채류 Fusarium병의 발생 생태에 관한 연구.3.토양의 염류농도가 토마토와 오이의 뿌리생육 및 Fusarium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식물병연구 6(2):71-75
  25. 山田昌雄. 2000. 微生物農藥. 農村敎育協會. 228pp

Cited by

  1. Biological Control of White Rot in Garlic Using Burkholderia pyrrocinia CAB08106-4 vol.19, pp.1, 2013, https://doi.org/10.5423/RPD.2013.19.1.021
  2. Screening of Resistance Melon Germplasm to Phytotpthora Rot caused by Phytophthora Capsici vol.57, pp.4, 2012, https://doi.org/10.7740/kjcs.2012.57.4.389
  3. Effect of Subsoiling on Growth and Yield of Sweetpotato in Continuous Sweetpotato Cropping Field vol.60, pp.1, 2015, https://doi.org/10.7740/kjcs.2014.60.1.047
  4. Effect of grafting on growth and incidence of phytophthora blight and bacterial wilt of pepper (Capsicum annuum L.) vol.53, pp.1, 2012, https://doi.org/10.1007/s13580-012-0074-7
  5. Development of non-destructive measurement method for discriminating disease-infected seed potato using visible/near-Infrared reflectance technique vol.39, pp.1, 2012, https://doi.org/10.7744/cnujas.2012.39.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