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Pine Needle(Pinus densiflora Seib. et Zucc) Powder on the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team cake

솔잎가루 첨가량을 달리한 찜케?의 관능적 및 기계적 특성

  • 곽성호 (신성대학 호텔식품계열) ;
  • 문성원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장명숙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2.08.01

Abstract

Steam cakes were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pine needle powder(Pinus densiflora Seib. et Zucc) at 0%, 1%, 2%, 3%, 4%, and their sensory qualit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and compared between the subjects in twenties and forties of age. As a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in forties, steam cake with 3% pine needle powder showed the highest score in overall acceptability; however, in the group of twenties, control cake with no pine needle powder showed the highest score. In the measurement of color changes, L value(lightness) was decreased, but a value(redness) and b value(yellowness) were increased as the addition of pine needle powder increased. In textural characteristics, the hard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of steam cake were decreased by the increase of pine needle powder. The hardness and brittleness were increased as the storage time increased.

건강지향적인 식품개발 차원에서 기능성 식품소재로 솔잎가루 첨가량을 0, 1, 2, 3, 4%로 달리하여 솔잎 찜케?을 제조하였고, 찜케?의 품질평가는 연령(20대, 40대)을 달리하여 색, 향기, 촉촉한 정도, 부드러운 정도 씹는 느낌, 전반적인 기호도 등의 관능적특성과 기계적특성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관능적평가 결과 색(color)은 20대는 솔잎가루 첨가량 0%가 40대는 4%가 유의적으로 좋은 점수를 받았고, 냄새(smell)는 20대는 0%, 40대는 3%가 유의적으로 점수가 높았고, 촉촉한 정도(moistness)는 20대는 0%가, 40대는 3%가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고, 부드러운 정도(softness)는 20대는 0%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40대는 3%가 유의차는 없었지만, 좋은 점수를 받았다. 씹는 느낌(chewiness)은 20대는 0%가 40대는 3%가 모두 유의차는 없었지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에서 20대는 솔잎가루 첨가량이 적을수록 유의적으로 선호하여 솔잎가루 첨가량 0%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40대는 솔잎가루 첨가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좋은 점수를 받아 솔잎가루 첨가량 3%가 좋게 평가되었다. 강도평가 결과 20대와 40대 모두 만든 직후에 솔잎가루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색(color)은 유의적으로 진하다고 평가하였고(p<0.01), 냄새(smell)는 유의적으로 강하다고 나타났다(p<0.01). 부드러운 정도(softness)는 유의적 차이는 없었지만, 20대와 40대 모두 만든 직후에 솔잎가루 첨가량이 적을수록 부드럽게 나타났다. 기계적특성 평가 결과 명도(L)는 솔잎가루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감소하였고, 저장시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적색도(a)는 솔잎가루 첨가량이 많을수록 감소하였다. 황색도(b)는 솔잎가루 첨가량이 많을수록 값이 증가하여, 황색이 진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텍스쳐 측정 결과 경도(hardness)는 솔잎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고, 저장시간에 따라 모든 첨가구의 경도가 증가하였다. 응집성(cohesiveness)은 솔잎가루 첨가량 및 저장시간에 따른 차이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 탄력성(springness)은 솔잎가루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고, 저장시간에 따라 모든 첨가구가 낮게 나타났다. 솔잎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탄력성의 감소폭이 적게 보였다. 껌성(gumminess)과 파쇄성(brittleness)은 솔잎가루 첨가구가 대조구 보다 낮았으며, 저장시간에 따라 대조구를 제외하고는 모든 처리구의 껌성(gumminess)과 파쇄성(brittleness)이 높게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솔잎가루 첨가량에 따라 기호도, 색도 및 텍스쳐에 영향을 주었다. 전반적으로 20대는 0% 첨가구를 40대는 3% 첨가구를 좋게 평가하였다. 솔잎가루 첨가량이 많을수록 녹색과 황색이 진하게 나타났고, 경도는 부드럽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옥자 : 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p.114, 1991
  2. 御影雅辛, 李奉柱, 朴鐘喜, 難波 雄 : 韓國産生藥の 硏究(第7報), 日本生藥學會誌, 45:336, 1991
  3. 박종갑:한방대의전. 동양종합통신교육출판부, 대구, p.134, 1984
  4. 문화방송편저:한국민간요법대전. 금박출판사, 서울, p.21, 1988
  5. Kang, Y. H., Park, Y. K., Oh, S. R. and Moon, K. D. : Studies on physiological functional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in Kor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6):978, 1995
  6. 上原美鈴 : 신비의 솔잎치료법. 국일미디어, 서울, p.21, 1995
  7. Lee, Y. H., Shin, S. H., Choi, Y. S. and Lee, S.Y. : Development of the health foods containing the extract from Pinus strobus leave(in Korean). J. Korean Soc. Food Nutr., 25(3):379, 1996
  8. 정연강, 백홍근 : 기능화시대를 맞는 식품산업. 신한종합연구소, 서울, p.7, 1991
  9. Kim, E. J. and Kim, S. M. :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pine needle according to preparation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0(3):542, 1998
  10. Lee, H. G. and Han, J. Y. :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Solsulgi using varied levels of pine leave powders and different types of sweetner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2):164, 2002
  11. Kim, J. G.:Nutritional properties of Chol-Pyon preparation by adding mugwort and pine leaves. Korean J. Soc. Food Sci., 11(5):446, 1995
  12. 심영현, 유창희, 차경희:솔잎을 첨가한 증편의 관능적, 이화학적 품질 특성. 서울여대 자연과학대학 논문집, 제12집, 2000
  13. 송문섭, 이영조, 조신섭, 김병천 : SAS를 이용한 통계 자료분석. 자유아카데미, pp.84-94, 1992
  14. Sim, Y. J., Paik, J. E., and Chun, H. J. : A study on the texture characteristics of Ssooksulgis affected by mugworts. Korean J. Soc. Food Sci., 7(1):35,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