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wth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lygonatum species indigenous to Korea

한국산 둥굴레속(Polygonatum) 수집종의 생육 및 형태적 특성

  • Yun, Jong-Sun (Horticulture Research Division, Chungbuk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
  • Son, Suk-Yeong (Dept. of Agronom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Hong, Eui-Yon (Horticulture Research Division, Chungbuk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
  • Kim, Ik-Hwan (Horticulture Research Division, Chungbuk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
  • Yun, Tae (Horticulture Research Division, Chungbuk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
  • Lee, Cheol-Hee (Dept.of Horticulture & Research Center for Bioresource and Health,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윤종선 (충북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
  • 손석용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 홍의연 (충북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
  • 김익환 (충북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
  • 윤태 (충북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
  • 이철희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생물건강산업개발연구센터)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pattern of 10 Polygonatum collections indigenous to Korea were examined to select the promising medicinal, edible resources and horticultural crops. Plant heights of I0 collections ranged from 15 to 102cm. Stem type was ascending or erect, and node numbers per a stem was 6.2 to 23.2. Phyllotaxis type was alternate or verticillate, and leaf shape was elliptical or linear. Leave numbers per a stem was 5.2 to 63.4, and bract types were classified into bracteate and nonbracteate. Flowers bloomed from May 7 to May 30, and flowering period was 5 to 13 days. Inflorescence types were classified into racemose, corymbose, and umbellate. Flower numbers per a stem was 1.5 to 125.2, and flower length was 13.1 to 30.2㎜. Perianth shapes were classified into tubular, constrict and urceolate. Surface colors of rhizome were pale yellow, pale brown, brown, and dark brown.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P. sibiricum, P. odoratum var. pluriflorum and P. odoratum var. thunbergii were thought to be useful as the medicinal and edible resources plants. On the other hand, P. odoratum var. pluriflorum 'Variegata', and P. odoratum var. maximowiczii, P. lasianthum. P. involucratum, P. desoulavyi, P. humile, and P. inflatum were thought to be useful as horticultural plants.

약용, 식용 및 관상용으로 유망한 자생 둥굴레속 식물들을 선발하기 위하여 둥굴레 10종을 수집하여 1999년부터 2001년까지 3년에 걸쳐 충북 청원군 소재의 시험포장에서 재배한 후 생육 및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초장은 15~102cm 범위 였으며, 용둥굴레가 가장 짧았고, 층층갈고리둥굴레가 가장 길었다. 줄기는 경사형과 직립형으로 구분되었고, 절수는 6.2~23.2개로 종간에 차이가 심하였으며, 줄기에는 능각이 있는 종과 없는 종으로 구분되었다. 엽서는 호생형과 윤생형으로, 엽형은 타원형과 세장형으로 구분되었다. 엽수는 5.2~63.4개로 역시 종간에 차이가 컸으며 , 포는 존재형과 부재형으로 구분되었다. 꽃은 5월 7일에서 5월 30일 사이에 개화하였으며, 개화 기간은 5~13일 이었다 화서형은 총상형, 산방형 및 산형으로 구분되었다. 줄기당 화수는 층층갈고리둥굴레가 125.2개로 가장 많았고, 용둥굴레가 1.5개로 가장 적었으며, 꽃의 길이는 13.I~30.2mm로 종간에 차이 가 큰 편이었다. 그리고, 화피의 형태는 통형, 협착형 및 호형으로 구분되었다. 근경 표면의 색은 연황색 또는 연갈색이 많았고, 둥굴레는 진한 갈색으로 다른 종들과 구별이 되었다. 근경의 길이는 3.0~15.0cm, 근경의 굵기는 4.6~23.6mm 범위였으며, 각시둥굴레의 근경은 가장 긴 반면 가장 가늘었고, 층층갈고리둥굴레의 근경은 가장 굵고 수량성이 높았다. 층층갈고리둥굴레, 둥굴레 및 산둥굴레는 약용과 식용작물로, 무늬둥굴레, 큰둥굴레, 죽대, 용둥굴레, 안면용둥굴레, 각시둥굴레 및 통둥굴레는 관엽 및 관화를 위한 원예용으로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입되는 환경에 따라 6가 크롬의 용출량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라우트재가 해안 또는 매립지에 적용될 경우 해수와 침출수에 의한 강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한 결과 초순수 중에서 양생 시켰을 때 보다 강도발현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시멘트 종에 따라서는 ‘보통포틀랜트 시멘트>마이크로 시멘트>슬래그’ 시멘트의 순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도의 저하로 인한 오염물질의 누출 및 6가 크롬의 용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그라우트재의 종류에 따라 6가 크롬의 용출량은 현재 규제치를 초과하여 용출되어 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과압 또는 과량의 주입이 6가 크롬의 용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 현장과 다른 특수한 현장에서는 강도 및 pH에 따른 6가 크롬의 용출량을 고려한 재료 선택 및 배합비가 마련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와이어형, 기본형의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한 인자로 제시 되었다. 따라서 채식을 하는 폐경 후 여성의 경우 골격건강을 위하여 단백질의 급원이 되는 식품의 섭취에 더욱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 진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경우 대상자의 수가 적은 제한점이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연구가 계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as(RW-2 and RW-3), lower part of the dam (RW-1) and seawater areas(RW-4 and RW-5).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에너지 섭취를 고려한 INQ는 칼슘과, 비타민 A는 남녀 모두, 비타민 B$_2$는 여자가

Keywords

References

  1. J. Plant Tax v.28 no.2 A cytotaxonomic study of genus Polygonatum in Korea Han M.K.;C.G. Jang;B.U. Oh;Y.S. Kim
  2. Phytochemistry v.44 no.7 Benzoquinones, a homoisoflavanone and other constituents from Polygonatum altelobatum Huang P.L. https://doi.org/10.1016/S0031-9422(96)00652-8
  3. J. Plant Tax v.28 no.4 Cluster and cladistic analysis of the Korean Polygonatum (Liliaceae) Jang C.G;Y.S. Kim
  4. J. Plant Tax v.28 no.4 Taxonomic relationships of the Korean Polygonatum (Liliaceae) using the RAPDs analysis Jang C.G.;Y.S. Kim
  5. J. Medicinal Crop Sci v.6 no.2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Polygonatum spp Jang K.H.;J.M. Park;J.H. Kang;S.T. Lee
  6. J. Pharmacog v.6 no.2 Characteristics of seed structure and seedling development in Polygonatum odoratum Druce Kang J.H.;D.I. Kim;Y.S. Ryu;K.S. Bae;K.S. Han
  7. J. Pharmacog v.11 no.2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rhizome of Polygonum robustum Nakai Kim J.K.;Y.J. Lee
  8. RGN no.12 Report of committee on gene symbolization, nomenclature and linkage groupes Kinoshita T.
  9. J. Plant Tiss. Cult v.25 no.3 Induction of chlorophyll deficient mutant plant of Cymbidium karan by EMS treatment Lee H.Y.;T.S. Jung;J.S. Lee
  10. J. Medicinal Crop Sci v.8 no.4 Variations in mutant plants by chemical mutagen treatments of Dianthus superbus L Lee K.H.;J.D. Lim;C.Y. Yu
  11. Phytochemistry v.31 no.10 Steroid saponins from Polygonatum kingianum Li X.C.;C.R. Yang;M. Ichikawa;H. Matsuura;R. Kasai;K. Yamasaki https://doi.org/10.1016/0031-9422(92)83727-G
  12. Tetrahedron no.20 The structure of Polygonaquinone Nakata H.;K. Sasaki;I. Morimoto;Y. Hirata
  13. J. Breed v.29 no.2 Variation of some agronomic characters in different leaf-color progenies of rice Shin M.S.;J.K. Lee;H.T. Shin
  14. J. Plant Res v.11 no.2 Micropropagation of plants and mass production of adventitious roots from culture of seedling explants of Polygonatum odoratum Yoon, E.S.
  15.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국산 둥글레속의 분류학적 연구 김형권
  16. 12. 풀부(草部) 동의보감 5(탕액 · 침구편) 동의학연구소
  17. 1999년도 생약 · 한약재 품질 표준화 연구(식품의약품안정청) 황정의 품질 표준화에 관한 연구 박정일
  18. 한국자원식물학회지 no.12(별책 1) 둥굴레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저장기간, 온도 및 priming 처리의 영향 이철희;이재선;연성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