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usion-weighted MR imaging findings of intracerebral hematoma

뇌실질내의 확산강조영상 소견

  • 박창숙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최순섭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오종영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박병호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김기욱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남경진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이영일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Purpose : To evaluate diffusion-weighted imaging findings of intracerebral hematoma according to the time sequence. Materials and methods : Seventeen patients with intracerebral hematoma were studied. Diffusion weighted images using 1.5 tesla MRI machine were obtained with b-value of $1000{\;}sec/\textrm{mm}^2$. The patients were grouped as hyperacute stage(within 12 hours, 5 patients), acute stage(within 3 days, 4 patients), subacute stage(within 3 weeks, 4 patients), and chronic stage(after 3 weeks,4 patients). The signal intensities were analysed as bright, high, iso, low and dark at the central and peripheral portions of the hematoma in each stage, and compared with those of T2 and T1 weighted images. Results : The signal intensities of the central and peripheral portion of the intracerebral hematoma on diffusion-weighted images were high and dark in hyperacute stage, dark and high-bright in acute stage, and high-bright and dark in subacute and chronic stages. The patterns of signal change of hematoma on diffusion-weighted image according to the time sequence were similar to those on T2-weighted image, but changed early and prominently. Conclusion : The intracerebral hematoma on diffusion-weighted image showed unique central and peripheral signal intensity according to the time sequence. Central portions show high to bright signals in hyperacute, subacute and chronic stage, and dark signal in acute stage, and peripheral portions show dark signals in hyperacute, subacute and chronic stage, and high to bright signal in acute stage.

목적: 뇌실질내 혈종의 시기별 확산강조영상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임상적으로 뇌출혈의 시기가 분명한 환자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확산강조영상은 1.5 tesla 자기공명영상 기기를 이용하였으며, b 값은 세 방향 모두 $1000{\;}sec/\textrm{mm}^2$으로 하였다. 출혈 시기는 12시간 이하인 초급성기 5예, 3일 이하인 급성기 4예, 3주이하의 아급성기 4예, 3주 이후의 만성기 4예였다. 확산강조영상에서 혈종의 중심부와 주변부의 신호강도를 뇌실질 신호와 비교하여 bright, high, iso, low, dark 신호로 분류하여 분석하였으며, 각 시기의 T2강조영상과 T1강조영상에서의 신호강도와 비교 관찰하였다. 결과: 확산강조영상에서 초급성기 혈종의 중심부와 주면부는 각각 high와 dark신호를 보였고, 급성기는 중심부와 주변부가 각각 dark와 high-bright 신호강도를 보였다. 아급성기와 만성기는 중심부와 주변부가 high-bright와 dark 신호강도를 보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혈종의 신호 변화는 전체적으로 T2강조영상에서의 신호 변화와 비슷하나, T2강조영상에 비해 빠르고 현저한 신호 변화를 보였다. 결론: 뇌실질내 혈종은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중심부와 주변부의 신호강도가 시기별로 특징적으로 변하며 중심부는 초급성기, 아급성기와 만성기에 high-bright신호를, 급성기에는 dark 신호를 보였고, 주변부는 초급성기, 아급성기와 만성기에 dark 신호를, 급성기에는 high-bright 신호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