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Hydrological factors prevailing in the Namdae stream were as follows : temperature = -0.2~$26.8^{\circ}C$, salinity = 0.50~3.21$\textperthousand$, DO = 5.21~8.13 ppm, $PO_{4}-P$ = ND~1.37 ppm, $NO_{2-}$ = 0.10~0.81 ppm, COD = 1.53~2.82 ppm, $H_2 S$ = ND~0.0012 ppm and IL = 0.85~1.36 %. Sediment was typical, gravelly sand or sand with very good sorting value ranging from 0.53 to 1.77$\varphi$. Population density of the clam C. japonica ranged from 2 to 464/$m^2$. The clams were divided into four size classes, based on shell length of small (0~10 mm), medium (10~20 mm), large (20~30 mm) and largest (>30 mm), and were encountered at the frequency of 3.2, 50.4, 43.3 and 3.1 %, respectively.
기수재첩 (Corbicula japonica)의 서식환경과 서식밀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강원도 양양군 남대천 하구를 대상으로 수질, 퇴적물 환경, 입도분석 및 서식밀도와 크기별 출현율 등을 조사하였다. 재첩 서식지의 수온은 -0.2∼26.8$\^{C}$, 염분은 0.50∼3.21$textperthousand$, 용존산소는 5.21∼8.13 ppm이었으며, 영양염류 중 PO$_{4-}$P은 ND∼1.37 ppm, NO$_{2-}$은 0.10∼0.81 ppm으로 나타났다. 퇴적물의 환경에서 COD는 1.53∼2.82 ppm, 황화물은 ND∼0.0012 ppm, 강열감량 (IL)은 0.85∼1.36%로 안정된 값을 보였다. 퇴적물 조성은 대부분 모래 또는 역질모래였으며, 분급도는 0.53∼1.77 $\phi$로 매우 양호하였다. 재첩의 서식밀도는 2∼464 개체/$m^2$로서 하류 50 개체/$m^2$, 중류 50∼400 개체/$m^2$, 상류 10∼200 개체/$m^2$로 다양하였으며, 크기에 따른 출현율은 각장 10 mm 이하가 3.2%, 10∼20 mm가 50.4%, 20∼30 mm가 43.3% 그리고 30 mm 이상이 3.1%로서 10 mm 이상은 전체의 96.8%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