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Dating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Koreans: Focusing on the Single Elderly

노인의 이성교제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이성교제를 하는 홀로된 노인을 대상으로 -

  • 이예종 (서울 오산고등학교) ;
  • 장진경 (숙명여자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Published : 2002.07.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ating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necessity of dating, intimacies with a data, and difficulties on the process of dating, and to explore the effect of those variables on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the elderl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62 elderly who were more than 60 year ages, currently data with oppoaite sex, lived in Seoul.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necessity of dati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age, religion, health, family closeness. (2)The intimacies with a data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econmic provider. (3) The difficulties on the process of dati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gender, age, health, the eldest son who live together. (4)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imacies with opposite-sex friend, family closeness, residing with the couple of the eldest son, health, use of social education /welfare service, and erligon.

Keywords

References

  1. 경지영(2000). 여성노인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 경향과 우울정도와의 관계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고승덕, 조숙행(1997).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요인 추출. 한국노년학, 17(2), 17-35
  3. 김미숙, 박민정(2000). 종교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노년학. 20(2), 29-47
  4. 김윤정(2000). 사회적지지 관점으로 본 가족부양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박사학위 논문
  5. 김현철(2000). 노인의 성생활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강대 석사학위 논문
  6. 박경숙(2000). 한국 노인의 사회적 관계.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정도. 한국사회학. 34, 621-647
  7. 박승국(1999). 노인의 성생활과 건강관련 체력에 관한 연구. 한림대 석사학위 논문
  8. 박형규(2001). 고령화사회에 있어 노인의 성생활 실태에 대한 연구 강남대 석사학위 논문
  9. 방애심(1998). 홀로된 노인의 재혼관 연구. 강남대석사학위 논문
  10. 서병숙, 김은진(1996). 홀로된 여성노인의 재혼 태도연구. 한국노년학. 16(2), 53-66
  11. 윤명희(2000). 홀로된 노인의 생활실태가 재혼욕구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 석사학위 논문
  12. 이혜경(1997). 배우자가 없는 여성노인의 자아존중감, 건강상태, 가족관계, 사회활동참여도에 따른 생활만족도 동덕여대 석사학위 논문
  13. 장석주(1997). 가족해체와 성윤리, 현대사회와 성윤리, 제8회 사회윤리 심포지엄. 서울: 아산 사회복지사업재단
  14. 전차수(1998). 홀로 된 노인의 이성교제와 노혼에 관한 연구 계명대 석사학위 논문
  15. 전헌식(2001). 혼자된 노인의 성생활욕구태도와 이성교체에 관한 연구. 대구카톨릭대 석사학위논문
  16. 정혜정(1998). 여성노인의 스트레스원과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8(3), 74-89
  17. 정혜정, 김태현, 이동숙(2000). 독거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 연구-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0(2), 49-70
  18. 조황숙(2000). 홀로된 여성 노인의 자매관계 특성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 석사학위 논문
  19. 주성숙, 윤숙례(1993). 노부부와 홀로 사는 노인들간의 일반 건강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 13(1), 55-62
  20. 최복란(1996). 노인의 이성교제 태도 연구. 한남대석사학위 논문
  21. 최정애(2000). 홀로된 노인의 이성교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대구대 석사학위 논문
  22. 하근영(1998). 노인의 친구관계망과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원광대 석사학위 논문
  23. 하영갑(1998). 홀로된 노인의 재혼을 방해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남 진주시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경남대 석사학위 논문
  24. Adams, R. G. (1985). Nonnative barriers to cross-sex friendship for elderly women. The Gerontologist, 25, 605-611 https://doi.org/10.1093/geront/25.6.605
  25. Arling, G. (1976). The elderly window and her family, neighbors, and friends. h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38, 757-768 https://doi.org/10.2307/350695
  26. Connidis, I. A & Davies, L. (1990). Confidants and companions in later life: The place of family and friends. Journal of Gerontology, 45, 141-149
  27. Edward, A. P. & Gordon, K B. (1976). Sex differences in Intimate Friendships of old age. Journal of Marrige and the Family, 739-747
  28. Gary R Lee, Alfred DeMaris, Stefoni Bavin & Rachel Sullivan (2001). Gender differences in the depressive rffect of widowhood in the later life. Journal of Gerontology, 56(1), 56-61 https://doi.org/10.1093/geronb/56.1.S56
  29. Liang, J. (1982). Sex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Gerontology, 37, 100-108 https://doi.org/10.1093/geronj/37.1.100
  30. Lloyd, S. A. (1987). Conflict in premarital relationship: Differential perceptions of males and females. Family Relations, 36,290-294 https://doi.org/10.2307/583542
  31. Martin Pinquart & Silvia S rensen (2001). Gender difference in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old age: A meta-analysis. Journal of Gerontology, 56(4), 195-213
  32. Nancy R. Hooyman & H. Asuman Kiyak (1996). Social gerontology: Love, intimacy, and sexuality in old age(4th ed). Boston: Allyn & Bacon
  33. Pat O'Connor (1993). Same-gender and cross-gender friendships among the frail elderly. The Gerontologist, 33(1), 24-30 https://doi.org/10.1093/geront/33.1.24
  34. Sanderson, C. A. & Cantor, N. (1997). Creating satisfaction in steady dating relationships: The role of personal goals and situational affordan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6), 1424-1433 https://doi.org/10.1037/0022-3514.73.6.1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