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Ego-State, Life Position and family System of Unmarried Adolescent Mothers and Female Adolescents

청소년 미혼모와 일반 청소인의 자아상태, 인생태도 및 가족체계에 관한 연구

  • 배영미 (중앙대학교 가정교육학과) ;
  • 이형실 (중앙대학교 가정교육학과)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Pregnancies of unmarried women are one of the most serious sex problems because they can negatively affect the lives and development of both unwed mothers and their extramarital children. The number of unwed adolescent mothers is growing recently, extending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go-state, life position and family systems that may cause unmarried pregnancy. The data obtained from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of 79 unmarried adolescent mothers and 82 female adolescents were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and t-test using the SPSS WIN 8.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go-state elements of unmarried adolescent mothers were distributed evenly in general and this falls under the All B(BBBBB) type of ego-gram, just like the adolescents. As for the subject adolescent mothers, CP was the lowest among the 5 egos. 2. As to the life position, the position of "I′m OK, You′re OK"was the highest for both groups, with slight differences. 3. With regard to the family system types sorted by the combination of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levels, both the adolescent. mothers and adolescents tended to perceive their families as somewhat-balanced or balanced families. 4. While the two groups of adolescent mothers and adolescents showed, on the whole, the same types for all the indicators like abo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ore detailed elements.

Keywords

References

  1. 김규수,류태보(1998). 교류분석치료 -성격개선. 상담. 심리치료. 서울: 형설출판사
  2. 김만지(2001a). 미혼모 스트레스의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8), 53-65
  3. 김만지(2001b). 임신한 청소년들을 위한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9), 27-48
  4. 김부자(1986). 미혼모의 가정환경과 성태도에 대한 연구. 이화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용숙(1982). 미혼모 실태를 통한 대책과 방향. 사회복지, 72, 103-121
  6. 김윤희(1989). 부부관계, 부모-자녀의 의사소통, 가족기능과 청소년자녀의 비행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정심(1988). 미혼모 욕구에 대한 조사 연구: 정책 및 서비스 프로그램을 위한 방향모색.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현주(1997). 교류분석훈련이 비행청소년의 자율성과 생활자세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노현조(2000). 한국 미혼모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도수경(1990). 가출경험 소녀와 비가출경험 소녀간의 가족관계 연구 -순환모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류태보(1996). 교류분석치료가 비행청소년의 성격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미혼모 정의 http://www.women.hanyang.ac.kr/inforrnation/FIRST.htrn
  13. 민하영(1992). 청소년 비행정도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가족의 응집 및 적응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13(1), 112-124
  14. 박미정(1999). 가출청소년의 자아상태 변화를 위한교류분석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박수천(1998). 미혼모 실태 및 예방 . 보호정책 방향. 춘계학술대회 연제집. http://rich.chonnam.ac.kr
  16. 박인선(1998). 미혼모에 대한 사회복지적 접근. 춘계학술대회 연제집집. http://rich.chonnam.ac.kr
  17. 박현주(1996). 교류분석에 의한 재결단 훈련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인간관계 및 인생태도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배미영(2000). 미혼모 발생 요인 분석 -미혼모집단과 비교집단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서대선(1994). 청소년의 품행장애와 가족관계 특성.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손홍숙(1995). 가정복지변에서 본 미혼모 발생요인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5), 51-62
  21. 스기다미네야스(1988). 교류분석. 김현수 역,서울: 민지사
  22. 안순덕,강정숙,김원,김연옥,김경애,이주원,제갈정(1984). 미혼모 실태에 관한 연구: 발생요인 규명과 복지대책 모색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23. 안양희(1988). 고등학교 남학생 가족의 가족의 기능적 특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안정현(2000). 교류분석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오재숙(1999). 아기장래결정 집단프로그램이 미혼모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윤형옥(1993). 부산지역 미혼모의 성경험,임신,분만 실태 및 향후 생활계획에 대한 조사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
  27. 이명홍(1981). 미혼모 실태와 예방: 제1회 여성보호 세미나. 홀트아동복지회
  28. 이원순(1999). 우리나라 미혼모복지제도와 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9. 임용우(1984). 가족체계 유형과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전귀연(1993).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응집성,가족적 응성 및 가족체계유형이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전귀연, 최보가(1993).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가족적웅성 및 가족체계유형이 부모-청소년기 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1(3), 157-173
  32. 주숙남(1999). 미혼모의 출산경험에 관한 연구. 중앙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3. 주연옥(1997). 일부 보호시설에 등록된 미혼모의 특성.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조성훈(1999). 한국의 미혼모 복지제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청소년 기본법 http://www.youthnara.pe.kr/qq20.htm
  36. 한국부인회 총본부(1996). 윤락여성 및 미혼모에 대한 자료집. 서울: 한국부인회 총본부
  37. 한국여성개발원(1984). 미혼모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38. 한상분(1992). 아동의 자아개념과 가족체계의 기능유형.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함영희(1996). 미혼모의 실태, 한국 미혼모 복지의 현황과 발전방향-여성복지세미나. 서울: 부녀복지연합회
  40. 황수영(2000). 정상 및 비행청소년의 부모 양육태도,가족기능과 비행향상성의 차이.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Elster, A. B., Lamb, L., Peters, L., Kahn, J., & Tavare, J. (1987). Judicial involvement and conduct problems of fathers of infants born to adolescent mothers. Pediatrics, 79, 230-234
  42. Fisher, T. D. (1989). Family sexual communication and adolescent sexual behavior.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1,637-639 https://doi.org/10.2307/352163
  43. Longwe, S.H. (1996). Adolescent Pregnancy: When It Is a Problem, What Is the Solution?[Part 1 of 2]. Reproductive Health Matters, 8, 110-120
  44. Miller, B. C. & Bingham, C. R. (1989). Family configuration in relation to the sexual behavior of female adolescent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1, 499-506 https://doi.org/10.2307/352511
  45. Moore, K. M., Simms, C. & Betsy, C. L. (1986), Choise and Circumstance.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Books
  46. Olson, D. H., Portner, J. & Sprenkle, D. H. (1983). Circumplex Model of marital family systems: VI. Theoretical update. Family Process, 18, 3-28
  47. Olson, D. H, McCubbin, H. I., Barnes, H L., Muxen M. J., Larsen A. S. & Wilson, M. A. (1989). Families: What makes them work. London: SAGE Publications, Inc
  48. Rodgers, J. (1983). Family configuration and adolescent sexual behavior. Population and Environment, 6, 73-83 https://doi.org/10.1007/BF01362288
  49. Russell, S. T. (1994). Life course antecedents of premarital conception in Great Britai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6,480-492 https://doi.org/10.2307/353114
  50. South, S. J. (1999). Historical changes and life course variation in the determinants of premarital childbearing.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1(3), 752-763 https://doi.org/10.2307/353575
  51. Wu, L. L. (1996). Effects of family instability, income, and income instability on the risk of a premarital birth.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1,386-406 https://doi.org/10.2307/2096355